1. 말하기 불안 극복하기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할 때 부딪치는 어려움을 스스로 점검해 보고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말하기 불안 증상 점검하기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할 때 사람들이 흔히 경험하는 말하기 불안 증상을 제시한 자료를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 얼굴이 붉어진다.
- 목소리가 작아지거나 떨린다.
- 손이나 발에 땀이 나고 온몸이 떨린다.
- 머릿속이 하얗게 되면서 아무 생각이 나지 않는다.
- 말을 하다가 실수할까 봐 입이 잘 떨어지지 않는다.
- 사람들과 눈을 마주치지 못하고 시선이 불안해진다.
3. 긴장을 푸는 데 도움이 되는 체조
- 머리를 기댈 수 있는 편안한 의자에 앉아 10초간 마음을 가라앉힙니다.
- 한 손은 가슴 위에, 다른 한 손은 배꼽 위에 놓고 길게 숨을 쉬어 봅니다. 숨을 쉬면서 속으로 '편안하다.'라고 말합니다.
- 머리와 목에 힘을 빼고 천천히 좌우, 아래위로 돌려줍니다.
- 어깨, 팔, 손, 가슴, 등, 배, 엉덩이, 다리, 발의 순서로 힘을 빼면서 몸의 긴장을 풀어줍니다.
4.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직접적인 해결책부터 장기적인 대책까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긍정적인 마음가짐: 불안감은 대화 상대에게도 영향을 미치므로, 긍정적인 마음가짐으로 대화를 시작합니다. 오늘의 목표를 잘 이루어낼 것이라는 자신감을 가지는 것입니다.
- 천천히 말하기: 말하기 속도를 조절하면 불안함을 줄일 수 있습니다. 천천히 말하며 생각을 정리하고, 상대방도 이해할 시간을 줍니다.
- 숨을 깊게 쉬어 긴장을 풀기: 불안감이 눈썹, 어깨, 숨쉬기 등에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시간을 내어 깊게 숨을 쉬며 몸의 긴장을 풀어봅니다.
- 자주 연습하기: 앞으로의 대화나 발표 상황에서 자신감을 얻기 위해 자주 연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혼자 거울 앞에서 말을 연습하거나 친구와 연습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발표할 주제 미리 준비하기: 발표할 내용을 충분히 미리 준비하고 이해하면, 말하기 불안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발표 내용을 다양한 방면에서 공부해 봅니다.
- 스크립트 없이 말하기 연습: 스크립트에 너무 의존하지 않도록 연습해 봅니다. 스크립트를 외우는 것이 아니라 내용을 이해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길러보는 것입니다.
- 그룹 활동 참여: 사람들과의 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 그룹 활동에 참여하는 것이 좋습니다. 논의를 통해 서로의 생각을 듣고 나누며 소통 능력을 키웁니다.
장기적으로 말하기를 통한 불안감을 극복하려면 꾸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방법들을 지속적으로 실천해 보시길 바랍니다.
5. 발표할 때 시선을 처리하는 방법
참고로 발표나 대화를 할 때 시선이 흔들리면 상대방도 그 불안함을 같이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마음이 약한 사람들이 상대의 눈을 똑바로 쳐다보는 것은 힘든 일일 수 있고 자연스럽지 않은 상황이 생길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상대방의 얼굴을 볼 때 눈 바로 밑 부분을 쳐다보는 것을 추천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그 시선을 느끼는 상대도 편안하게 느낄 수 있고 보는 나도 편안할 수 있습니다.
청중이 많은 경우에도 마찬가지입니다. 발표를 하는 사람이 땅을 쳐다본다거나 사람이 없는 맨 뒷부분을 쳐다보면 청중들은 말하는 사람에게 집중하기 힘들게 됩니다. 또한 그 발표의 신뢰도 떨어지게 됩니다.
하지만 청중과 눈이 마주치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다면 사람과 사람 사이를 번갈아 가며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때로 공감을 표시하는 사람들의 눈 바로 밑부분과 뺨 사이를 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것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친한 사람들에게 편안한 시선을 주는 것을 연습해 보고 실제 발표 시에 청중들에게 시선을 골고루 편안하게 주는 방법도 연습하면 나중에는 자연스럽게 다양한 시선을 주면서 대화나 발표를 할 수 있습니다.
6. 심리적인 방법
심리적인 방법을 통해 말하기 불안을 극복해 볼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심리적 대처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마음에 드는 명상 연습: 불안 감소를 위해 마음에 드는 명상을 찾아서 꾸준히 연습해 보는 것입니다. 정신을 집중하며 명상하는 것이 불안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긍정적 자기 대화 연습: 자신에게 격려의 말을 건네며 긍정적인 마음가짐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에게 칭찬하고 격려하는 말을 쓰고 연습해 보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오늘 나는 그 누구보다도 멋지고 당당하게 발표할 수 있어!" 또는 "긴장해서 떨리는 것이 아니라 설레어서 두근거리는 것이니 즐기면서 자신 있게 발표하자!" 등이 있습니다.
- 시각화 기법 활용: 머릿속에서 말하기 상황을 상상하며 긍정적인 결과를 연출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성공적인 상황을 시각화함으로써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인지 행동 치료: 인지 행동 치료 (CBT)는 불안, 스트레스 등 감정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치료법입니다. 전문가와 함께 현실적이고 건강한 자기 인식을 성장시켜 불안을 극복할 수 있습니다.
- 심리적 자기 평가: 자신의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을 인지하며, 향후 발전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성장하며 불안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감정 표현: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데 능숙해지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감정을 정리하면서 불안을 완화할 수 있습니.
자신에게 맞는 심리적인 방법을 선택해 연습하며, 조금씩 불안을 극복해 가는데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자기 조절 기술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면 좋은 결과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7. 말하기 불안 극복하기 결론
여러 사람 앞에서 말할 때의 불안은 누구에게나 있습니다. 또한 그것을 극복하는 방법도 다양할 것입니다. 나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 연습하면 분명히 극복할 수 있습니다.
말하기 불안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회복하도록 자신의 다짐을 적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것을 읽으면서, 잘할 수 있다는 암시를 하며 적극적인 자세를 기르시기를 바랍니다. 가장 확실한 것은 준비와 연습과 경험입니다. 여기까지 말하기 불안 극복하기였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설의 개념과 갈등 (0) | 2023.08.20 |
---|---|
시의 개념과 시적 자아의 역할 (0) | 2023.08.20 |
청중을 고려하는 말하기, 발표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 (0) | 2023.08.17 |
공감하는 대화의 중요성, 방법 (0) | 2023.08.16 |
한글, 정보화 시대에 두드러지는 우수성, 다른 언어와의 비교 (0) | 2023.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