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좋은 정보

'베짱이, 배짱이' 올바른 표기 찾기

정은정 이야기 2023. 10. 11. 18:22
728x90

1. '베짱이'와 '배짱이'

'베짱이'와 '배짱이'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기일까요? '여칫과에 하나. 몸의 길이는 3~3.6cm이며 옅은 녹색이나 드물게 갈색도 있는' 곤충의 이름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이솝 우화의 주인공 중 한 곤충의 이름입니다.

베짱이, 배짱이, 올바른 표기,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베짱이? 배짱이?

​2. 베짱이​

그 이름은 바로 '베짱이'입니다. 개미와 '베짱이'라는 이야기를 우리는 잘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원제는 개미와 매미였다고 합니다. 국내로 이야기가 들어오면서 개미와 여치로 불리기도 했었고, 결국 '개미와 베짱이'로 자리를 잡은 것이라고 합니다.

​​

'개미와 베짱이'라는 이솝 우화의 이야기는 두 곤충들의 특성이 확실하게 나누어지고, 그에 따른 결과도 분명하게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래서 양 극단에 있기 때문에 서로 상반되는 것이라면 어떤 소재가 되었든 개미와 베짱이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고, 찬 · 반 토론도 재미있게 할 수 있습니다.

​​

또한 과연 그 이야기가 현실성이라는 것에서 어떤 비판점이 있는가를 찾기 시작하면 정말 다양한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

'과학'에서는 그 곤충들의 실제 생애와 이야기, '문학'에서는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 이어 쓰기', '철학(도덕 · 사회)'에서는 두 곤충의 가치 판단과 우리의 삶이라는 다양한 주제를 만들어 볼 수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랍니다.

​​

또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베짱이는 육식성 곤충이라는 것입니다. 그래서 만약에 이야기처럼 베짱이가 겨울에 먹을 것이 없어서 개미를 찾아갔다면, 그것은 개미를 잡아먹으려고 갔을 것이라는 추측이 훨씬 과학적일 수 있다는 말도 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이지요?

하지만 이솝 우화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

참고로 '우화'라는 말은 한자말 문학 용어로 '인격화한 동식물이나 기타 사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그들의 행동 속에 풍자와 교훈의 뜻을 나타내는 이야기'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3. '베짱이' 표준어 규정​

여기서 중요한 것은 그 이야기의 교훈이 아닙니다.

 

표준어 규정 2장 4절 17항에 의하면 '베짱이'의 의미로 '배짱이'를 쓰는 경우가 있으나 '베짱이'만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4. '베짱이' 역사​

그런데 '개미'와 '베짱이' 때문에 개미의 'ㅐ'와 베짱이의 'ㅔ'를 잘못 쓰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둘의 이름은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

또한 한참 일할 시기에 노래만 하는 '배짱' 좋은 곤충이라는 의미로 그렇게 쓰는 경우도 있는데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

'베짱이'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납니다. 17세기부터 조금씩 변화를 겪다가 현대 국어의 '베짱이'로 형태를 정하게 된 것입니다.

​5. 문헌 속 '베짱이'​

생활민속 문헌에 보면 베짱이의 울음소리는 베를 짜는 베틀이 움직이는 소리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중국에서는 '직조 충(織造蟲)'이라는 말로 부르기도 했다고 합니다. 또한 베짱이가 알을 많이 낳는 모습에서 자손 번창의 의미로 보았다고도 합니다.

​​

베짱이는 동화 속에 부지런한 개미와는 달리 대표적인 게으름쟁이인데 동양에서는 조금 달랐습니다. 모든 것이 사실이라면 베짱이 입장에서는 속상할 수 있겠네요.

​​

15세기 문헌에도 '베'의 옛말인 명사 '뵈'에 동사 '짜다'의 옛말이 결합한 형식으로 사용했다고 합니다.

​​

따라서 위의 '베를 짜는 베틀' 이야기와 연관성이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6. 결론, '베짱이'가 올바른 말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배짱이'가 아니고 '베짱이'가 맞는다는 것이겠지요?

예문
베짱이의 울음소리가 들리는 걸 보니 여름이 맞긴 맞는구나.
​개미와 베짱이의 우화는 게으름이 어떤 결과를 가져오는지 잘 보여 주었다는 점에서 교훈적이다.
베짱이의 날개는 겨우 들릴까 말까 할 정도의 찌르륵 소리를 내고 있었다.
딱정벌레나 베짱이는 풍뎅이같이 억센 주둥이로 무장되어 있는 벌레를 상대하기가 힘들다.
개미는 베짱이보다 작나요?

여기까지 '베짱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