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거의존명사2

'거야'와 '꺼야' 올바른 쓰임 1. '거야'와 '꺼야' '거야'와 '꺼야' 중에 어떻게 쓰는 것이 맞을까요? 먼저 예문을 보시겠습니다. ​1번 "그래, 늦은 가을이었을 거야." ​2번 "그래, 늦은 가을이었을 꺼야." ​정답은? 몇 번인가요? ​2. 거야​ '거야'라는 말은 '것이야'라는 말을 줄여 쓴 것입니다. ​ [거야]로 소리 납니다. 그런데 '할 거야'처럼 앞에 꾸미는 말과 'ㄹ'받침이 오면 '거야'가 [꺼야]로 소리가 납니다. ​​ 이때도 적을 때는 본래의 말인 '거야'로 써야 합니다.​ 3. '거'와 의존 명사 또한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의존 명사입니다.​ ​ 여기서 말하는 '구어'란 글에서만 쓰는 특별한 말이 아닌, 일상적인 대화에서 쓰는 말입니다. ​ 그리고 의존 명사는 앞말과 띄어 적습니다.​ ​ 또한 .. 2023. 10. 22.
'것', '거' 의존 명사 띄어쓰기 1. '것'. '거' 띄어쓰기 '먹을 V 것'과 '먹을것' ​'내 V 거다'와 '내거다'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 '것', '거'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2. 먹을 V 것, 내 V 거다 ​ 먼저 정답부터 알아보겠습니다. '먹을 V 것', '내 V 거다'라고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 '것'이라는 말은 의존명사로 하나의 단어입니다. 그러니까 당연히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 그리고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이 '거'입니다. 당연히 같은 말이니까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 ​이때 '거'에 조사 '이'가 붙을 때는 '게'라고 형태가 변하지만 같은 역할을 하는 말입니다.​ ​ 이 '것'이라는 말은 '거', '거야('것이야'의 준말)', '걸.. 2023. 9. 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