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사동사2 '알아맞히다'와 '알아맞추다' 틀리기 쉬운 한글 맞춤법 1. 알아맞히다? 알아맞추다? '알아맞히다'와 '알아맞추다'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요구되거나 기대되는 답을 알아서 맞게 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2. '알아맞히다' '알아맞히다'라는 말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입니다. '알아맞히다'라는 말은 '알다'라는 말과 '맞히다'라는 말이 합쳐진 말입니다. 3. 알다 '알다'라는 말은 우리가 이미 다 잘 알고 있지만 정확한 뜻을 한번 찾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교육이나 경험, 사고 행위를 통하여 사물이나 상황에 대한 정보나 지식을 갖추다. 어떤 사실이나 존재, 상태에 대해 의식이나 감각으로 깨닫거나 느끼다. 심리적 상태를 마음속으로 느끼거나 깨닫다. 위와 같은 뜻을 가지고 있는 '동사'랍니다. 그런데 우리가 쉽게 .. 2023. 10. 6. 놀라다 놀래다 사동사 사동 접미사 잘 구분하기 1. 놀라다, 놀래다 '놀라다'와 '놀래다'는 무슨 차이가 있을까요? 혹시 맞는 말과 틀리는 말이 있을까요? 평상시에 헷갈리기 쉽고 틀리게 쓰기 쉬운 '놀라다'와 '놀래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2. 놀라다 '놀라다'라는 말은 갑자기 무서움을 느낀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반대로 남을 놀라게 하는 것은 '놀래다'입니다. '놀라다'라는 말은 '-에' 또는 '-고'나 '-어서' 등과 함께 쓰입니다. '놀라다'라는 말의 품사는 동사로 그 사전적 의미는 '뜻밖의 일이나 무서움에 가슴이 두근거리다', '뛰어나거나 신기한 것을 보고 매우 감동하다', '어처구니가 없거나 기가 막히다', 신체 부위를 나타내는 말과 함께 쓰여서 '평소와 다르게 심한 반응을 보이다'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예문 1) 고함 소리에 .. 2023. 7. 20.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