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종결어미3 종결 어미 '구나' 띄어쓰기 1. '구나' 띄어쓰기 '예쁘구나'와 '예쁘 ✔️ 구나'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렇다면 '예쁜가보구나'와 '예쁜가 ✔️ 보구나'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해라'라고 할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종결 어미 '-구나' 정답부터 공개하겠습니다. '예쁘구나'가 맞고 '예쁜가 ✔️ 보구나'가 맞습니다. 종결 어미 '-구나'라는 말은 '이다'의 어간이나 형용사의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서 쓰이는 '해라체'의 말입니다. '종결 어미'는 어말 어미로 문장의 끝에 와서 문장을 종결시킵니다. 그러니까 '예쁘구나'가 맞습니다. '-구나'라.. 2023. 10. 8. '걸' 띄어쓰기, 종결 어미와 의존 명사 1. '걸' 띄어쓰기 '걸'은 어떻게 띄어쓰기를 해야 할까요? 구어체로 해체로 쓰이며, '화자가 추측한 어떤 사실을 상대에게 가볍게 반박하여 나타내거나 스스로 가볍게 감탄하여 나타내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또한 '걸'은 의존 명사 '것'의 구어적인 표현으로 '구체적이거나 구체적이지 않은 일이나 사건, 사실, 사물, 일, 현상 등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기도 합니다. 2. '걸' 종결 어미의 띄어쓰기 '-ㄹ걸'이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서 종결 어미로 쓰일 때는 붙여 씁니다. 당연히 '어미'니까 붙여 적는 것입니다. 여기서 '어미'라는 말은 용언(동사, 형용사) 및 서술격조사(이다)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 2023. 9. 30. '게'와 '께' 올바른 종결 어미 사용하기 1. '게'와 '께' '-게'와 '-께' 중 아래의 뜻으로 사용될 때 어떤 말을 사용하는 것이 맞을까요? '어떤 행동에 대한 약속이나 의지'를 나타내는 종결 어미 어떤 행동을 하겠다고 말하는 경우, 그 의미가 어디에 들어 있을지 한번 생각해 보겠습니다. '-ㄹ게'에는 약속의 의미가 들어 있습니다. '-할게[할께]'처럼 앞에 '-ㄹ'이 있는 경우 '게'는 [께]로 소리 나지만 '게'로 적는다는 것을 기억해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ㄹ게' 뒤에 '요'가 붙으면 [께요]로 소리 나지만 '게요'로 적습니다. 이 내용은 '한글 맞춤법' 제53항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1988년 한글 맞춤법이 고시되기 이전에는 '-ㄹ게'가 아닌 '-ㄹ께'로 표기했던 적이 있습니다. '-ㄹ게'를 'ㄹ께'로 적던 것인데.. 2023. 9. 12.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