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같아'와 '같애' 헷갈리는 맞춤법

by 정은정 이야기 2023. 10. 18.
728x90

1. '같아'와 '같애'

'같아'와 '같애'라는 말은 어떻게 쓰는 것일까요? 어떤 말이 맞고 어떤 말은 틀린 걸까요?​

'같다'라는 말은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같아, 같애, 같다, 같아요, 같애요
같아? 같애?

​2. 같아

​'같다'라는 말의 말끝에 붙이는 말인 '-아'가 붙어서 '같아'가 만들어졌습니다.​

'좋아', '날아'와 같은 형태의 단어입니다.​

그렇다면 이것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국어사전 찾기, '같다'와 '같아'

먼저 '같다'라는 말을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당연히 있습니다.​

'같다'라는 말은 형용사로 '1.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2.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 3. 그런 부류에 속한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이라고 나옵니다.​

그리고 이번에는 '같아'를 찾아보겠습니다.​

사전에 '같아'라는 말은 역시 '형용사로 '같다'의 활용형이고 어간 '같-'에 종결어미 '-아'가 붙어서 이루어진 말이다.'라고 나와있습니다.

그러면 '같다'와 '같아'가 사전에 있으니 맞는 말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이번에는 '같애'를 찾아보겠습니다. 찾기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없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

우리가 평소에 쉽게 사용하고 있지만 확실하지 않다고 느껴질 때 국어사전을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웬만해서는 그 궁금증이 해결될 수 있으실 겁니다.

​예문 ​
​2반 영진이랑 4반 우진이는 쌍둥이라서 생김새가 같아.
​둘 중에서 누가 이길 것 같아?
하늘을 보니 비가 올 것 같아 우산을 가지고 나왔다.
난 우리 팀이 이길 거 같아.

4. 결론, '같아'가 맞는 말

그렇다면 '같아요'가 맞을까요? '같애요'가 맞을까요? 당연히 '같아요'가 맞습니다.

 

'같다'의 어간 '같-' 뒤에 물음의 뜻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 '-아'가 붙고, 그 뒤에 높임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요'가 붙은 것이기 때문에 '같아요?'와 같이 표현하는 것이 맞습니다.

 

'같애'라는 말은 없습니다. '같다'와 '같아'를 사용한다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같아'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