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마워'와 '고마와'
'고마워'와 '고마와' 중 어떤 표현이 올바른 것일까요? '남이 베풀어 준 호의나 도움에 대하셔 마음이 흐뭇하고 즐겁다'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2. 고마워
우리말에는 뒤에 붙는 말의 모음이 앞 글자 모음의 성격을 따르는 법칙이 있습니다. '막다'라는 말은 '막'에 'ㅏ'가 있어서 '막아'가 되고, '먹다'라는 말은 '먹'에 'ㅓ'가 있어서 '먹어'가 되는 것입니다.
옛날에는 앞말의 모음에 따라 뒷말의 모음 모양이 바뀌는 법칙이 아주 강력했습니다. 그러나 지금은 그 법칙이 거의 남아 있지 않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이 법칙을 지키지 않는 것이 더 많습니다.
'고마워'도 그중 하나입니다. '마'에 'ㅏ'가 있지만 뒷말은'어'와 연결된 것이랍니다.
'고마워'는 ㅂ불규칙 형용사 '고맙다'의 활용형입니다. 어간 '고맙-'에 종결 어미 '-어'가 붙어 '고맙-'이 '고마우-'로 바뀐 뒤, 줄어든 말입니다.
3. 어간
여기서 어간이란 무엇인가요? '먹다 - 먹고 - 먹으니'처럼 단어가 여러 형태로 변해 사용될 때 '먹'처럼 변하지 않는 부분을 '어간'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ㅂ불규칙이란 무엇일까요?
4. 불규칙 활용
'줍다'가 활용할 때 '주워, 주우니, 주었다'처럼 기본형에 있는 '줍'의 모양이 바뀌게 됩니다. 그 이유는 '줍'의 받침 'ㅂ' 때문입니다.
이렇게 앞말의 받침 'ㅂ' 뒤에 모음(ㅏ, ㅑ, ㅓ, ㅕ, ㅜ, ㅠ, ㅡ, ㅣ 등)이 올 때는 'ㅂ'이 'ㅜ'로 변합니다.
하지만 '굽고, 굽지, 쉽고, 쉽지'처럼 앞말의 받침 'ㅂ' 뒤에 모음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ㅂ'이 그대로 남아 있습니다.
이렇게 '줍다'가 '주워'로 바뀌는 것처럼 어간이 불규칙하게 바뀌는 것을 '불규칙 활용'이라고 합니다.
아름다워, 보드라워 등도 앞말의 모음에 따라 뒷말의 모음 모양이 바뀌는 법칙을 지키지 않는 예입니다.
5. '고마워' 예문
오늘 교과서를 빌려줘서 고마워. 깨끗하게 보고 돌려줄게.
친절히 대답해 주셔서 정말 고마워요.
이렇게까지 나를 배려해 줘서 고마워.
와, 합격 선물 정말 고마워요!
나는 나를 생각해 주는 아버지의 마음이 너무 고마워 눈물을 흘렸다.
너는 이 자리에 있기까지 누가 가장 고마워?
6. 결론, '고마워' 정리
'고마워'라는 단어는 '고맙다'라는 형용사의 활용형입니다. '고마워'는 ㅂ 불규칙 형용사 '고맙다'의 활용형으로 어간 '고맙-'에 종결 어미 '-어'가 붙어 '고맙-'이 '고마우-'로 바뀐 뒤 줄어든 말입니다. 해체의 평서형, 의문형 등으로 쓰입니다. 그리고 뒷말의 서술어나 문장을 꾸미는 말입니다.
여기까지 '고마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고마워'를 확실하게 기억하는 여러분! "고마워요."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 공부가 중요한 이유와 독해 (1) | 2023.10.30 |
---|---|
책을 읽는 순서와 방법 (0) | 2023.10.30 |
'성장률'과 '성장율' 올바른 표현은? (0) | 2023.10.29 |
'예닐곱'과 '예일곱'과 '여닐곱' 바른 말 찾기 (0) | 2023.10.28 |
'갈 거야'와 '갈거야' 올바른 띄어쓰기 (0) | 2023.10.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