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2

'걸' 띄어쓰기, 종결 어미와 의존 명사 1. '걸' 띄어쓰기 '걸'은 어떻게 띄어쓰기를 해야 할까요? 구어체로 해체로 쓰이며, '화자가 추측한 어떤 사실을 상대에게 가볍게 반박하여 나타내거나 스스로 가볍게 감탄하여 나타내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 또한 '걸'은 의존 명사 '것'의 구어적인 표현으로 '구체적이거나 구체적이지 않은 일이나 사건, 사실, 사물, 일, 현상 등을 나타내는' 뜻으로 쓰이는 말이기도 합니다. ​2. '걸' 종결 어미의 띄어쓰기 ​ '-ㄹ걸'이 '이다'의 어간, 받침 없는 용언의 어간, 'ㄹ' 받침인 용언 어간 또는 어미 '-으시' 뒤에 붙어서 종결 어미로 쓰일 때는 붙여 씁니다. 당연히 '어미'니까 붙여 적는 것입니다. ​​ 여기서 '어미'라는 말은 용언(동사, 형용사) 및 서술격조사(이다)가 활용하여 변하는 부.. 2023. 9. 30.
개 거야 걸 것 겸 띄어쓰기 1. 개, 거야, 걸, 것, 겸 띄어쓰기 자주 혼동되는 띄어쓰기 '개, 거야, 걸, 것, 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개' 띄어쓰기 '한 개', '두 개' 할 때의 '개'는 물건을 세는 단위로 띄어 씁니다. 이 말은 의존 명사이고, 낱개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문) 의존 명사 '개' 띄어쓰기 사탕 한 개. 사과 몇 개. 빵 한 개만 사 오너라. 별을 한 개 두 개 다 세려면 얼마나 오래 걸릴까요? 이 물건은 세 개씩 묶어서 팝니다. 볼이 네 개가 연속하여 들어오면 타자는 일루에 진루할 수 있다. 그러나 '1, 2, 3'과 같이 아라비아 숫자가 앞에 올 때는 앞말에 붙여서 씁니다. '2개, 3개'처럼 쓰는 것이 맞습니다. 3. '거야' 띄어쓰기 '거야'라는 말은 '것이야'라는.. 2023. 7.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