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서정적자아2

은유법의 개념과 예시, 그리고 시의 화자 1. 은유법 은유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은유법의 개념과 은유법이 사용된 대표적인 시 분석의 예시를 통해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은유법 - 원관념, 보조 관념 ​ 은유법은 은근하게 숨겨 비유하는 표현방식입니다. 보통 'A는 B이다.'처럼 표현한다고 기억합니다. 여기서 A는 원관념 B는 보조관념이라고 합니다. 원관념이라는 말은 빗대어 표현할 때 나타내려고 하는 원래의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표현하려고 하는 실제의 내용입니다. ​​ 그리고 보조 관념은 원관념을 비유한 대상입니다. 다시 말하면 원관념의 뜻이나 분위기가 잘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관념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내 마음은 호수요.'라고 했을 때 ​원래 표현하려고 했던 '내 마음'이 원관념이고, .. 2023. 9. 11.
시의 개념과 시적 자아의 역할 1. 시, 시적 자아란 무엇인가 '시'는 일반적으로 감정, 관념, 사건 등을 자유로운 언어로 표현하는 문학 장르로, 독특한 언어 구조와 운율이 특징입니다. 시는 표현의 다양성을 허용하며, 내용과 형식 모두에서 창의적인 표현이 가능합니다. '시'는 문학의 한 장르입니다. 자연이나 인생에 대하여 일어나는 감흥과 사상 등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표현할 글입니다. 형식에 따라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또한 내용에 따라 서정시, 서사시, 극시로 나눌 수 있습니다. '시적자아'는 시 언어의 주체를 의미하며, 시인이나 독자와는 분리된 독립적인 개체입니다. 시적자아는 시 중심의 경험과 감정을 대변하며, 시인의 실제 생활 경험과는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이 때문에 시를 해석할 때 주의해.. 2023. 8.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