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은유법의 개념과 예시, 그리고 시의 화자

by 정은정 이야기 2023. 9. 11.
728x90

1. 은유법

은유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은유법의 개념과 은유법이 사용된 대표적인 시 분석의 예시를 통해 완벽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은유법 - 원관념, 보조 관념 ​

은유법은 은근하게 숨겨 비유하는 표현방식입니다. 보통 'A는 B이다.'처럼 표현한다고 기억합니다. 여기서 A는 원관념 B는 보조관념이라고 합니다. 원관념이라는 말은 빗대어 표현할 때 나타내려고 하는 원래의 것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표현하려고 하는 실제의 내용입니다.

​​

그리고 보조 관념은 원관념을 비유한 대상입니다. 다시 말하면 원관념의 뜻이나 분위기가 잘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관념을 말합니다.

​​

예를 들어 '내 마음은 호수요.'라고 했을 때 ​원래 표현하려고 했던 '내 마음'이 원관념이고, '내 마음'의 상황과 분위기가 잘 드러나도록 돕는 '호수'가 보조 관념이 것입니다.

보조 관념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이유는 원관념의 의미 또는 전달하려고 하는 것의 속성 등을 좀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원관념과는 다른 대상을 보조 관념으로 활용함으로써 ​새로운 이미지와 의미를 발견하고 그것을 하나로 합쳐서 생각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합니다.​

이제 '원관념'과 '보조 관념'에 대해 확실히 이해할 수 있으시겠지요?

​3. '은유법' 사전적 의미 ​

사실 '은유법'이라는 말 자체에 그 의미가 다 들어 있습니다. 은유법(隱喩法)의 한자말을 보면 ​

隱 : 숨을 은, 喩 : 깨우칠 유, 法 : 법 법 ​

​말 자체를 보면 숨겼지만 깨우치게 하는 방법, 숨겨놓고 깨닫게 하는 방법이라는 말입니다.

​​

그러니까 은근히 비유하는 방법이라고 기억하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은유법'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사물의 상태나 움직임을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수사법이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암시적이라는 말도 명확히 드러내지 않고 넌지시 알리는 것이라는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은유법은 비유법에 하나로 작가가 사상이나 감정을 독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가볍게 숨겨놓는 방식입니다.

​​

우리는 그 가볍게 숨겨진 부분을 쉽게 찾을 수도 있고 어렵게 찾을 수도 있습니다. 작가는 그 은근히 숨겨진 비유를 통해 독자인 우리에게 약간의 생각할 틈을 주는 것이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 짧을 수도 있고 길 수도 있는 시간을 통해 작가가 이야기하려고 하는 것을 우리는 감상할 수 있습니다.

​​

대표적인 예로 위에서 한번 언급했던 《김동명, 내 마음은》이 있습니다. 이 시를 통해 은유법을 완벽하게 이해해 보도록 하겠습니.

​​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노 저어 오오.

​은유법을 공부할 때 이 시가 꼭 나오는 이유는 정확하게 'A는 B이다.'의 형식을 보여주기 때문입니다.

은유법, 시의 화자
은유법, 시의 화자

4. 시의 화자 ​

이 시의 화자는 시의 각 연에서 자신의 마음을 은유법 활용하여 네 가지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화자'는 말 그대로 '말하는 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

시의 화자란 시 속에서 말하는 이를 가리킵니다. 시적 자아, 서정적 자아라고도 합니다. 시 속의 화자는 시인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시인이 창조한 인물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

그래서 화자는 시인일 수도 있고 시인이 아닌 제3의 인물인 경우가 더 많습니다.

​​

그리고 시의 화자는 시 속에서 드러나기도 하고, 직접 드러나지 않기도 합니다.

​​

화자는 시의 분위기와 어조를 형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가 보통 '시적 화자의 정서'라고 말하면 그것은 ​시에 나타난 상황이나 대상에 대해 느끼는 화자의 기분 또는 감정이나 심리적인 자세를 뜻합니다.

​​

시에서는 시 속에서 말하는 사람, ​다시 말해 '화자'의 정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내 마음은 ​

'내 마음은'이라는 시는 다양한 비유를 사용하여 사랑을 감미롭게 노래한 서정시입니다. 이 시의 화자는 ​1연에서 화자의 마음을 '호수'의 이미지를 가지고 와서 은유법으로 표현합니다.

​​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노 저어 오오.

​​

이렇게 내 마음이 호수처럼 맑고 잔잔하고 평화로운 상태이기 때문에 ​그대는 노를 저어서 나에게 올 수 있는 것입니다. 내가 당신을 간절히 기다린다는 마음을 직접 말하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나는 그대의 흰 그림자를 안고 옥같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리라.

​그래서 그대가 배를 타고 잔잔한 호수인 나에게 오면 그대의 뱃전에 부서지는 사랑의 기쁨을 느끼게 되는 것입니다.

 

2연에서 화자의 마음은 '촛불'의 이미지로 역시 은유법으로 표현했습니다. 촛불은 자기를 태워서 빛을 만드는 존재입니다.

​내 마음은 촛불이요.
그대 저 문을 닫아 주오.

​내 마음이 은유법을 통해 촛불이 되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이 공간 속에서 ​'문을 닫아 주오'라는 표현을 가능하게 하고 ​당신의 관심과 사랑을 원한다는 화자의 마음을 전달합니다.

​나는 그대의 비단 옷자락에 떨며, 고요히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타오리다.

​내 마음이 은유법을 통해 촛불이 되었기 때문에 최후의 한 방울도 남김없이 태울 수 있는 열정과 희생적인 사랑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

3연에서 화자의 마음은 '나그네' 이미지의 은유법으로 표현합니다. 시적인 공간은 '나그네의 길'로 바뀝니다. 나그네는 외롭게 떠도는 존재입니다.

​내 마음은 나그네요.
그대 피리를 불어 주오.

​나그네는 외롭기 때문에 그대에게 피리 소리를 부탁하게 됩니다. 여기서 피리 소리는 떠도는 나그네의 시름과 힘듦을 달래주는 것이 될 수 있습니다.

​나는 달 아래 귀를 기울이며 호젓이
나의 밤을 새이오리다.

​이 표현을 통해 그대의 피리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그대를 그리워하는 ​사랑의 그리움과 애잔함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4연에서 화자의 마음은 '낙엽' 이미지의 은유법으로 표현됩니다. 시적 공간도 낙엽이 떨어지는 뜰로 이동하게 됩니다. 낙엽의 운명은 오래 머물 수 없는 것입니다. 그리고 낙엽 진 거리는 쓸쓸함을 표현합니다.

​내 마음은 낙엽이요.
잠깐 그대의 뜰에 머무르게 하오.

​그렇게 잠깐 그대의 뜰에 머무를 수 있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하지만 낙엽은 오래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이제 바람이 일면 나는 또 나그네같이,
외로이
그대를 떠나오리다.

​그렇게 바람이 불면 나는 또 나그네가 되어 외롭게 그대를 떠난다는 이별과 그에 따른 아픔을 말하고 있습니다.

​​

결국 이 시는 '사랑의 기쁨과 애달픔'에 대해 노래하고 있는 시입니다. 그래서 이 '내 마음은'이라는 시는 추상적인 원관념을 다양한 구체적 보조관념으로 바꾸어 표현하는 은유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상상력의 세계를 펼쳐 보였다는 평가를 받는 시입니다.

​​

이제 '은유법'과 예시로 든 '내 마음은'이라는 시를 잘 이해할 수 있으시겠지요?

6. 결론: 은유법 핵심 정리

은유법은 'A는 B이다.'와 같은 형식으로 두 대상이 동일한 것처럼 표현하는 비유의 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표현입니다.

​내 마음은 호수요.
​나는 나룻배 / 당신은 행인​ ​
봄은 고양이로다.

​여기까지 은유법의 개념과 시 분석 예시를 통해 은유법에 대해 자세하게 알아봤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