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소고기2

'소고기와 쇠고기' 그리고 '소달구지와 쇠달구지' 복수표준어? 1. '소고기'와 '쇠고기', '소달구지'와 '쇠달구지' '소고기'와 '쇠고기', '소달구지'와 '쇠달구지'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 앞에 있는 두 단어는 '소의 고기'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소고기, 쇠고기 ​ '소고기, '쇠고기'라고 쓰는 것 모두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역시 둘 다 표준어입니다. 이런 표준어를 복수 표준어라고 합니다. ​​ 예전에는 음식으로 먹는 소의 고기를 '쇠고기'라고 표기했었는데, 요즘은 '소고기'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 그래서 '소고기'와 '쇠고기'를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였습니다. ​예문 ​숙성이 잘 된 소고기는 육질이 부드러워요. ​어머니께서는 쇠고기를 넣은 미역국을 끓여 주셨어요. ​수입 쇠고기보.. 2023. 10. 27.
늑장 늦장 올바른 맞춤법 찾기 1. '늑장'과 '늦장' '늑장'과 '늦장' 중 어떤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뜻하는 말로 '늑장'이 맞을까요? '늦장'이 맞을까요? 어떤 것이 표준어일까요? ​ 2. 늑장과 늦장 모두 표준어​ '늑장'과 '늦장' 모두 쓸 수 있습니다. 그것뿐만 아니라 둘 다 표준어입니다. 이렇게 같은 뜻을 가진 여러 말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을 '복수 표준어'라고 부릅니다. ​3. 표준어 규정​ 표준어 규정 3장 5절 26항에 보면 '늑장'과 '늦장'이 모두 많이 쓰이므로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다고 되어 있답니다. '늑장'과 '늘짱' 중에서 '늑장'이 널리 쓰이므로 '늑장'을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 2023. 10.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