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한글3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 1.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 우리가 다 잘 알고 있을 것 같지만, 사실 잘 모르고 있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한글 맞춤법은 문교부 고시 제88-1호(1988.1.19)에 따라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된 맞춤법이 2014년 10월 27일 의 용법을 보완하여 일부 개정 고시되고,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규정을 다시 2017년 3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로 일부 수정한 것이 현재의 《한글 맞춤법》입니다. ​​ 2. 한글 맞춤법 제4항 ​ 한글 맞춤법 제4항에 한글 자모의 이름이 함께 표기되어 있는데 일부러 이름을 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름을 어떻게 쓰는 것이 맞는지 한번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 2023. 8. 23.
한글, 정보화 시대에 두드러지는 우수성, 다른 언어와의 비교 1. 한글 한글은 과학적이고 독창적인 원리에 따라 만들어진 글자입니다. 여기서는 한글의 우수성, 한글이 다른 언어와 다른 점, 한글과 한자의 비교, 한글과 영어 알파벳의 비교, 정보화 시대에 두드러지는 한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한글의 우수성 한글은 한국의 고유 문자입니다. 조선시대에 세종 대왕이 창제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글의 우수성은 다음과 같은 특징들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 과학적 구조: 한글은 14개의 자음과 10개의 모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을 모아 다양한 음절을 만들 수 있습니다. 한글 문자는 구강의 모양과 발음 위치를 고려한 디자인으로 되어 있어, 발음하기 쉽고 학습하기에도 용이합니다. 2.2. 효율적인 표기 체계: 표음문자인 한글은 음절단위로 작성되.. 2023. 8. 16.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 쉽게 알아보기 1.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왕(1397~1450, 재위 1418~1450)입니다. 이름은 도(祹)이고, 자는 원정(元正)이며, 시호는 장헌(莊憲)입니다. 1418년에 왕세자에 책봉되고, 그해 8월에 22세의 나이로 태종의 왕위를 받아 즉위하였습니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유교 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 제도를 정비하였으며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 사업을 이루었습니다. 또한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 농업과 과학 기술의 발전, 의약 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의 제정, 국토의 확장 등 수많은 사업을 통하여 민족 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세종.. 2023. 8.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