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국어의 음운과 음절

by 정은정 이야기 2023. 7. 26.
728x90

음운과 음절
국어의 음운과 음절

1. 국어의 음운과 음절

국어의 음운과 음절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어의 음운은 기본적으로 말 뜻의 차이를 가져오게 하는 소리의 단위입니다. 그리고 음절은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를 뜻하는 말입니다.

2. 음운

국어의 음운이라는 말은 한자어입니다. '소리 음'이라는 글자와 '운자 운'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뜻은 '소리와 운율'이라는 것입니다. 따라서 국어의 음운은 말의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기능을 하는 소리의 최소 단위입니다.

 

예를 들어 '물'과 '불'이라는 말소리를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누가 말하느냐에 따라 음성의 높고 낮은 차이, 굵고 가는 차이, 빠르고 느린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어떤 사람이 말을 하든 '물'이라고 말하면 누구나 마시는 물이나 강물 같은 것을 떠올리게 됩니다. 그리고 '불'이라고 말하면 모닥불이나 화재 현장과 같은 불의 모습을 떠올리게 됩니다.

 

이렇듯 '물'과 '불'은 미음과 비읍의 차이만 있을 뿐인데, 전혀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됩니다. 이런 것처럼 말의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음운이라고 합니다.

 

말은 첫소리, 가운뎃소리, 끝소리 중 하나만 달라져도 뜻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공', '콩', '강'이라는 말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말의 첫소리, 가운뎃소리가 달라지면서 뜻이 완전히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겉으로 드러나지는 않지만 말소리를 구별해 주는 다른 요소도 있습니다. 그것은 말의 길이나 높낮이 등입니다. 이들은 자음이나 모음과 같이 소리값을 가지지는 않지만 단어나 문장의 뜻을 구별하는 데 쓰이기도 하고, 정서를 표현하는 요소로 쓰이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말'이라는 단어를 말할 때, 짧게 말하면 동물 '말'을 뜻하고, 길게 말하면 언어인 '말'을 표현하게 됩니다. 또한 '눈'이라는 말도 짧게 말하면 사람의 얼굴에 있는 눈을 말하고, 길게 말하면 하늘에서 내리는 눈을 뜻하게 됩니다.

 

이렇듯 말의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가장 작은 소리의 단위를 음운이라고 합니다.

3. 음절

국어의 음절이라는 말 역시 한자어입니다. '소리 음'이라는 글자와 '마디 절'이라는 글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 뜻은 '소리의 마디'라는 것입니다. 음절은 하나의 종합된 음의 느낌을 주는 말소리의 단위로 자음과 모음이 모여서 이루어집니다. 그러나 국어의 모음은 홀로 한 음절이 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국물'이라는 단어에서 '국'과 '물'이 음절이 되는 것입니다. 이렇듯 한 뭉치로 이루어진 각각의 소리 덩어리를 음절이라고 합니다. 즉 음절이란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를 뜻하는 말입니다.

 

국어에서 음절이 만들어지려면 반드시 모음이 있어야 합니다. 음절은 모음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도 있고, 모음을 중심으로 하여 그 앞뒤에 자음이 연결되어서 이루어지는 것도 있습니다. 자음은 혼자서는 음절이 될 수 없으므로 모음의 앞이나 뒤에 연결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국어의 음절은 '자음 + 모음 + 자음'의 구조를 지니게 됩니다.

 

정리해 보면 국어의 음절 구조는 '모음', '자음 + 모음', '모음 + 자음', '자음 + 모음 + 자음'의 4가지 형태로 나타납니다. 그리고 국어는 모음이 있어야 음절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이 네 가지 형태에서 공통적으로 '모음'이 나타납니다.

 

따라서 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문장에서 소리 나는 대로 적은 글자의 수를 세면 음절의 수를 알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분이 좋다.'라는 문장의 음절은 5음절인 것입니다.

4. 음운과 음절 정리

국어의 음운은 말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소리의 최소단위입니다. 음절은 발음할 때 한 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로 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와 일치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국어의 음운과 음절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