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수께끼'와 '수수깨끼'
'수수께끼'와 '수수깨끼'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어떤 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빗대어 말하여 알아맞히는 놀이'라는 의미와 '어떤 사물이나 현상이 복잡하고 이상하게 얽혀 그 내막을 쉽게 알 수 없는 것'이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수수께끼
'수수께끼'라고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수수깨끼'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예문
수수께끼를 내다.
수수께끼를 알아맞히느라 몇십 분 동안 끙끙대었다.
그것은 영원한 수수께끼로 남아 있다.
사건의 수수께끼를 풀 수 있는 열쇠를 가지고 있는 박 씨가 사라졌다.
3. 헷갈리는 이유
세 번째 음절을 '께'라고 쓰는 것이 맞는지 '깨'라고 쓰는 것이 맞는 것인지 혼동될 수 있습니다. 우리말 모음 'ㅔ'와 'ㅐ'는 발음만으로 구분하기는 어렵습니다. 아쉽지만 올바로 쓰는 방법은 눈으로 익히고 조금 신경 쓰는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수수께끼'의 '께'를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4. 수수께끼의 역사
현대 국어 '수수께끼'의 옛말은 '슈지'라는 말이었습니다. 이 말은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고 합니다. '슈지'라는 말의 '슈'는 근대 국어 후기에 'ㅅ' 뒤에서 이중 모음 'ㅑ, ㅕ, ㅛ, ㅠ'등이 반모음 탈락으로 단모음화하는 현상에 따라 '수'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또한 '슈지'는 '휴지'의 옛말이기도 합니다. 우리가 아는 그 '휴지'라는 말입니다. 그 '휴지'는 "불필요하다"라는 뜻에서 "쓸모없는 말"이라는 뜻으로 쓰이다가 다시 "수수께끼"로 뜻이 변했습니다. 그리고 '슈슈 겻기'라는 말로도 쓰였습니다. 이 '슈슈 겻기'에서 '겻기'는 현대 국어의 '겨루다'의 옛말인 '겻구다'에서 온 말입니다. 따라서 '슈슈 겻기'는 "미어(謎語) 겨루기"라는 뜻을 가졌었다고 합니다.
※ 謎 : 수수께끼 미, 語 : 말씀 어
그런 과정을 거쳐서 현대 국어의 '수수께끼'로 정착하게 된 말이랍니다. 조금 어려운 내용이었나요? 아무튼 중요한 것은 '수수께끼'라고 적는 것이 올바른 표기라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5. 결론, '수수께끼' 정리
'수수께끼'라는 말은 '께'와 '깨'를 혼동할 수 있는 말입니다. '수수께끼'라고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단어 표기라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예문
우리는 매일 쉬는 시간에 수수께끼 놀이를 해요.
그 사건은 아직도 수수께끼로 남아 있습니다.
여기까지 '수수께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수능 날짜, 수험생 필수 확인 사항, 예비소집일, 시험실 입실 시간 (0) | 2023.11.12 |
---|---|
'온갖'과 '왼갖' 바른 표기 찾기 (1) | 2023.11.12 |
'욱여넣다'와 '우겨넣다' 맞춤법 (0) | 2023.11.11 |
예쁜 '아기'와 '애기' 올바른 표현 알기 (0) | 2023.11.10 |
'얼마큼'과 '얼만큼' 올바로 쓰기 (0) | 2023.1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