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표준어 규정 제1장 제1항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어 규정 제1장 제1항은 표준어를 조사하고 심사하여 결정하는 원칙입니다. 조선어 학회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총론 제2항에서 정한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가 이렇게 바뀐 것입니다.
1-1 '표준말'을 '표준어'로 바꾼 것은 비표준어와의 대비에서 '표준말 - 비표준말'이 말결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1-2 '중류 사회'는 그 기준이 모호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경향도 감안하여 '교양 있는 사람들'로 바꾼 것입니다. 이 구절의 또 하나의 의도는, 이렇게 정함으로써 앞으로는 표준어를 못하면 교양 없는 사람이 된다는 점의 강조도 포함된 것입니다. 표준어는 국민 누구나가 공통적으로 쓸 수 있게 마련한 공용어이므로, 공적 활동을 하는 이들이 표준어를 익혀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한 필수적 교양인 것입니다. 그러기에 영국 같은 데서는 런던에 표준어 훈련 기관이 많이 있어 국회의원이나 정부 관리 등 공적인 활동을 자주 하는 사람들에게 정확하고 품위 있는 표준어 발음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표준어 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그 기본이 닦어야 합니다. 그러기에 모든 교육자는 무엇보다도 정확한 표준어를 말할 줄 알아야 합니다. 이렇게 볼 때, 표준어는 교양의 수준을 넘어 국민이 갖추어야 할 의무 요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1-3 '현재'를 '현대'로 한 것은 역사의 흐름에서의 구획을 인식해서입니다.
1-4 '서울말'에 대해서 어떤 이는 3대 이상 서울에 뿌리박고 사는 인구가 서울 인구의 불과 20%도 못 되는 현실에 비추어, 차라리 79년 국어심의회 안에서처럼 '서울 지역에서 쓰이는 말'이라 할 것을 주장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서울 지역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말은 확실히 어떤 공통적인 큰 흐름이 있어, 지방에서 새로 편입해 온 어린이가 얼마 안 가 그 흐름에 동화되는 예를 자주 볼 수 있습니다. 이 공통적인 큰 흐름이 바로 서울말인 것입니다. 지방에서 서울로 옮겨 와 살 때 2세대, 3세대로 내려갈수록 1세대의 말씨와는 확연히 구분되는 서울 지역에서 쓰이는 큰 흐름의 말에 도오하되는 현상도 서울말의 엄연한 존재를 웅변적으로 증명해 주는 것입니다. 그래서 '서울 지역에서 쓰이는 말'에서 선명하게 '서울말'이라고 굳혀진 것입니다.
1-5 그런데 제1항의 개정으로 표준어 선정의 기준이 바뀐 것은 없습니다. 다시 말하면, '현재'가 '현대'로 바뀌고, '중류 사회'의 말이 '교양 있는 사람들'의 말로 바뀐 것이 이 개정에 영향을 준 것은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1항의 개정은 내용보다는 표현의 개정이라고 보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2. 표준어 규정 제1장 제2항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
외래어는 표준어 사정의 중요한 대상입니다. 물밀듯이 쏟아져 들어오는 외래어는 그때그때 사정하여 국어의 일원으로 수용할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해 주어야 합니다. 외래어 표기법은 문교부 고시 제85-11호로 1986년 1월 7일 공표되었습니다. 외래어 표기법은 외국의 고유 명사의 표기까지 포괄하는 표기법으로 표준어 규정과는 성격이 다릅니다.
<제1장 외래어 표기의 기본 원칙>
제1항 외래어는 국어의 현용 24 자모만으로 적는다.
제2항 외래어의 1 음운은 원칙적으로 1 기호로 적는다.
제3항 받침에는 'ㄱ, ㄴ, ㄹ, ㅁ, ㅂ, ㅅ, ㅇ'만을 쓴다.
제4항 파열음 표기에는 된소리를 쓰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제5항 이미 굳어진 외래어는 관용을 존중하되, 그 범위와 용례는 따로 정한다.
3. 마무리
여기까지 표준어 규정 제1장 총칙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제2항 '외래어는 따로 사정한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치다'와 '닫히다'의 확실한 구분 및 유래 (0) | 2023.06.28 |
---|---|
표준 발음법 원칙 자음과 모음 받침의 발음 (0) | 2023.06.27 |
한글 맞춤법 제1장 총칙 해설 (0) | 2023.06.27 |
'마치다'와 '맞히다'에 대한 정확한 설명 (0) | 2023.06.25 |
'목거리'와 '목걸이' 두 단어는 다른 말일까요 (0) | 2023.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