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
품사는 한자어로 '品詞'라고 씁니다. '물건 품', '말 사'라는 글자입니다. 한국어에서 성질이 비슷한 낱말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낱말들을 모두 모아놓고 성질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놓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품사라고 부릅니다. 한국어의 품사는 총 9가지로 나눕니다. 이것을 9 품사라고 부릅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동사, 형용사, 조사, 감탄사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2. 형태 변화에 따른 분류
문장에서 사용될 때 형태가 변하는 것을 가변어, 변하지 않는 것을 불변어라고 부릅니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형, 책, 나무, 집, 자동차
형태가 변하는 단어: 먹다, 걷다, 아름답다, 높다
3. 기능에 따른 분류
문장에서의 기능에 따라 체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 용언으로 분류합니다. 한국어의 9 품사를 5언 9 품사라고도 합니다.
체언: 문장에서 주체적인 성분으로 쓰이는 단어 → 명사, 대명사, 수사
수식언: 다른 말을 꾸미는 역할을 하는 단어 → 관형사, 부사
관계언: 문장에서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 단어 → 조사
독립언: 문장의 다른 말들과 관련을 맺지 않고 독립적으로 쓰이는 단어 → 감탄사
용언: 문장에서 주어를 서술하는 기능을 지닌 단어 → 동사, 형용사
4. 5언 9 품사, 의미에 따른 분류
한국어의 단어를 공통된 성질을 가진 것들끼리 모아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한국어 품사의 분류 기준은 '형태, 기능, 의미'입니다. 형태 변화에 따라 '가변어, 불변어'로 구분합니다. 그리고 문장 내에서의 기능에 따라 '체언, 수식언, 관계언, 독립언, 용언'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한국어의 품사는 모두 9개로 그 공통된 의미에 따라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조사', '감탄사', '동사, 형용사'로 나누어 탐구할 수 있습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제 한자말 순우리말 (0) | 2023.08.09 |
---|---|
한국어 체언 이해하기 (0) | 2023.08.09 |
한국어 형태소, 언어의 기초 이해 (0) | 2023.08.08 |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0) | 2023.08.08 |
한국어 띄어쓰기의 유래 (0) | 2023.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