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by 정은정 이야기 2023. 8. 8.
728x90

1.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여러분은 띄어쓰기의 필요성을 체감해 보신 적 있으십니까? 생활 속에서 일어날 법한 예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비서님, 미안하지만 나물좀갖다주세요!

A 회사에서 비서로 일하는 이 모 씨, 어느 날 팀장님으로부터 메시지 한 통을 받게 됩니다. 이 메시지를 받은 이 모 씨는 그 순간 당혹스러웠습니다. 이는 팀장님이 가져다 달라는 것이 물인지 나물인지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띄어쓰기는 문자와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띄어쓰기 필요성에 대한 과거의 예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띄어쓰기의 필요성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에서부터 강조되었습니다. 국문으로만 글을 쓰되, 구절을 띄어 씀으로써 글 읽기의 편의를 도모하고자 했습니다. 이는 현대적 띄어쓰기의 태동기에 그 필요성을 간명하게 드러낸 것입니다. 이렇듯 띄어쓰기의 필요성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강조되어오고 있는 만큼, 띄어쓰기를 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구체적으로 하나씩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한글 띄어쓰기 필요성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3. 정확한 의미 파악

다음 문장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앞뒤의 문맥을 통해 문자의 의미를 유추할 수 있다.’

맞을까요? 이는 틀린 말은 아니지만 늘 정답이 될 수도 없습니다. 문맥으로 의미를 유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선 띄어쓰기는 정확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 글을 쓰는 사람이나 글을 읽는 사람 모두에게 꼭 필요합니다. 띄어쓰기를 하지 않거나 띄어쓰기를 잘못하는 경우, 독자들이 그 글의 의미를 잘못 파악한다든지, 의미 파악에 불필요하게 많은 시간을 소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글을 쓰는 사람들은 독자들이 글을 쓴 사람의 의사를 정확하고 신속히 파악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띄어쓰기를 합니다. 띄어쓰기를 함으로써 문장의 각 부분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나타낼 수 있고 이를 통해 그 의미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전달하고 전달받을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오늘밤나무사온다’

이 문장은 여덟 개의 음절로 구성되어 있지만 어떻게 띄어 쓰는가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오늘 밤’, ‘나무’, ‘사’와 ‘온다’의 사이를 띄어 쓰는 경우, ‘오늘 밤에 나무를 사서 온다’는 의미로 해석되지만, 여기서 ‘나’와 ‘무’ 사이를 추가적으로 띄어 쓰게 되면, ‘오늘 밤에 나는 무를 사서 온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또 다른 형태로 ‘오늘’과 ‘밤나무’, ‘사’와 ‘온다’ 사이를 띄어 쓰는 경우에는, ‘오늘 밤나무를 사서 온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추가적으로 ‘밤’과 ‘나무’ 사이를 띄어 쓸 경우, ‘오늘 밤과 나무를 사서 온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합니다.

 

또한 ‘오’와 ‘늘’, ‘밤나무’, ‘사’, ‘온다’ 사이를 각각 띄어 쓰게 되면, ‘오, 항상 밤나무를 사서 온다’는 의미로 해석되기도 하며, 여기서 ‘밤’과 ‘나무’ 사이에 띄어쓰기가 추가되면, ‘오, 항상 밤과 나무를 사서 온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습니다.

 

이렇게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문장은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의 전달이 확연히 달라지므로 글을 쓰는 사람은 본인의 의도를 정확히 전달하기 위해 올바른 띄어쓰기를 해야 하는 것입니다.

 

4. 호흡의 표시

또한 띄어쓰기는 글을 읽을 때 자연스럽게 호흡하게 하는 표시이기도 합니다. 이는 대화할 때의 휴지(休止)와 관련되기도 하는데요, 적절한 호흡은 낭독을 부드럽게 하고 읽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 그 의미를 쉽게 이해하도록 도와줍니다.

 

5. 언어적 민감성과 문법 능력 향상

띄어쓰기는 또한 언어적 민감성과 문법 능력의 향상을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언어 단위와 관련한 문법적 인식이 필요합니다. 띄어쓰기는 단어, 어절, 구, 문장 등의 언어 단위, 특히 단어에 대한 지식과 정보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어는 교착어적 성격으로 인해 단어의 경계가 모호한 편이고, 문법 형태소의 발달로 띄어쓰기가 어렵습니다. 하지만 올바르게 띄어쓰기를 한다면 언어 단위나 문법 구조를 인식하면서 글을 쓰기 때문에 문법 능력과 문법적 사고력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고, 이로써 언어적 민감성을 증진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6. 띄어쓰기와 한글 맞춤법

띄어쓰기는 한글 맞춤법 규정에서도 중요하게 다루고 있습니다. 글을 쓰는 사람이 띄어쓰기 지식을 지닌 채 올바르게 띄어쓰기를 해야 글의 내용을 분명하게 전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양을 갖추고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합니다. 한글 맞춤법 규정을 정확히 알고 규정에 맞게 언어를 사용하는 것은 교양인이 갖추어야 할 자세입니다.

 

7. 교양인의 언어생활

우리는 주변에서 종종 비규범적인 언어생활을 하는 사람들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교양인이라면 국어의 규범을 지킬 수 있도록 국어 지식을 쌓고, 말의 가벼운 재미를 추구하기보다는 국어 규범을 지키려고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