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간띄어쓰기2

'친구 간', '형제간', '간' 띄어쓰기 1. '간' 띄어쓰기 '간'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친구 V 간'과 '친구간'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형제간'과 '형제 V 간'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2. ​의존 명사 '간' ​정답부터 공개하겠습니다.​ '친구 V 간' '형제간' 위와 같이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 의존 명사 '간'은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까지의 거리' ​서울과 부산 간 야간열차 그리고 ​일부 명사 뒤에 쓰여서 '관계'의 뜻을 나타내는 말 ​ ​부모와 자식 간에도 예의를 지켜야 한다. ​또한 ​'-고 -고 간에', '-거나 -거나 간에', '-든지 -든지 간에'의 구성으로 쓰여서 ​앞에 나열된 말 가운데 어느 쪽인지 가리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쓰입니다. ​공부를 하.. 2023. 9. 8.
가 이 간 같이 조사 접사 의존 명사 띄어쓰기 1. 가, 이, 간, 같이 띄어쓰기 평소에 헷갈리기 쉬운 '가, 이, 간, 같이'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먼저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단어와 조사, 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한국어의 띄어 쓰는 원칙은 단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두 번째,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시 말하면 '단어'는 띄어 쓰고,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면서 한국어의 띄어쓰기를 익혀야 합니다. 3. 가, 이 띄어쓰기 우리말 문장에는 '행동'과 '그 행동을 하는 주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 행동의 주체를 '주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어떤 단어를 '주어'로 만드는 조사의 이름을 '주격 조사'라.. 2023. 7.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