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가 이 간 같이 조사 접사 의존 명사 띄어쓰기

by 정은정 이야기 2023. 7. 3.
728x90

1. 가, 이, 간, 같이 띄어쓰기

평소에 헷갈리기 쉬운 '가, 이, 간, 같이'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먼저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단어와 조사, 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한국어의 띄어 쓰는 원칙은 단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두 번째,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시 말하면 '단어'는 띄어 쓰고,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면서 한국어의 띄어쓰기를 익혀야 합니다.

띄어쓰기 가 이 간 같이

3. 가, 이 띄어쓰기

우리말 문장에는 '행동'과 '그 행동을 하는 주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 행동의 주체를 '주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어떤 단어를 '주어'로 만드는 조사의 이름을 '주격 조사'라고 합니다. 그것은 '주어의 자격을 주는 조사'라는 뜻입니다. '가'와 '이'는 한국어의 대표적인 '주격 조사'입니다. '가'는 '아버지'처럼 앞말에 받침이 없을 때 쓰고, 앞말에 받침이 있을 때는 '이'를 씁니다. '산'와 같이 쓰입니다.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가, 이'는 모두 앞말에 붙여 씁니다.

'가, 이'는 받침이 없는 체언 뒤에 붙어서 쓰인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여기서 체언이라고 부르는 말은 '명사, 대명사, 수사'입니다. '가, 이'는 어떤 상태를 보이는 대상이나 일정한 상태나 상황을 겪는 경험주 또는 일정한 동작의 주체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입니다. 문법적으로는 앞말이 서술어와 호응하는 주어임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가'와 '이'는 주격 조사, 즉 '조사'이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씁니다.

 

예문) 주격 조사 '가' 붙여쓰기

 

우리 학교에 갈 때, 동생 채율이는 유치원에 간다.

오늘은 날씨 덥다.

우리 이기는 것은 분명하다.

아버지도 저 종소리 들리세요?

 

예문) 주격 조사 '이' 붙여쓰기

 

높다.

밝다.

내 친구는 책 많다.

직장인이 된 형 용돈을 준 것이다.

4. '간' 띄어쓰기

'간'은 띄어 쓰는 '간'과 '붙여 쓰는 '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무엇과 무엇의 사이를 가리키는 '간'은 띄어 씁니다.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까지의 '사이', '관계'의 뜻을 나타내는 말, 그리고 앞에 나열된 말 가운데 어느 쪽인지를 가리지 않는다는 뜻의 말인 '간'은 '의존 명사'이므로 띄어 씁니다.

 

예문) 의존 명사 '간' 띄어쓰기

 

서울과 부산 야간열차.

국가와 개인 .

친구 에도 하지 말아야 할 말이 있어요.

부모와 자식 에도 예의를 지켜야 한다.

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에 열심히만 해라.

시간이 얼마가 걸리든 에 그 일을 끝내고 말겠다.

 

단, '모자간, 부녀간, 부부간, 남매간, 형제간'은 이미 많이 사용되어서 하나의 단어로 인정된 합성어이기 때문에 붙여서 적습니다.

 

예문) '간' 합성어 붙여쓰기

 

모자간이라는데 어머니가 젊어서 오누이 같다.

오랜만에 부녀간에 정겨운 대화를 나누었다.

부부간에 금실이 좋다.

부부간에도 예의는 지켜야 한다.

사내와 여자는 매우 닮아 있어서 첫눈에도 그녀와 남매간임을 알 수 있었다.

옆집은 형제간에 우애가 좋기로 소문이 났다.

 

그리고 붙여 쓰는 '간'으로 '동안', '장소'의 뜻을 가진 '-간'은 언제나 앞말에 붙여 쓰는 '접미사'입니다. '간'이라는 말 앞에 있는 '-'표시는 접미사를 뜻하는 기호입니다. 사전을 찾을 때에도 '-'과 '간'을 함께 적으면 '접사'와 '접미사'인 '-간'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문) 접미사 '-간' 붙여 쓰기

 

이틀.

한 달.

삼십 일.

며칠.

대장.

외양.

5. '같이' 띄어쓰기

'같이' 역시 띄어 쓰는 '같이'와 붙여 쓰는 '같이'가 있습니다. '함께'라는 의미로 쓰이는 '같이'는 앞말과 띄어 쓰는 '부사'입니다. 주로 격 조사 '과'나 여럿임을 뜻하는 말 뒤에 쓰여서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이 함께', '어떤 상황이나 행동 따위와 다름이 없이'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예문) 부사 '같이' 띄어쓰기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다.

모두 같이 갑시다.

선생님이 하는 것과 같이 하세요.

예상한 바와 같이 주가가 크게 떨어졌다.

세월이 물과 같이 흐른다.

오늘 점심은 모두 같이 먹읍시다.

고향은 어머니의 품과 같이 편안한 곳이다.

우리의 예상과 같이 오늘 공연은 대성공이었다.

오늘 학교 끝나고 같이 놀자.

 

그리고 체언 뒤에 붙어서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의 뜻을 나타내는 '격 조사', 때를 나타내는 일부 명사 뒤에 붙어 '앞말이 나타내는 그때를 강조하는 '격 조사'인 '같이'는 조사이기 때문에 붙여 씁니다.

 

예문) 격 조사 '같이' 붙여쓰기

 

얼음장같이 차가운 방바닥.

같이 일만 하다.

새벽같이 떠나다.

매일같이 지각하다.

찬호같이 공부 잘하는 사람.

나도 너같이 누나가 있었으면 좋겠다.

그는 태산같이 큰 몸집이었지만 의외로 동작이 빨랐다.

나는 우리 아빠같이 멋진 사람이 될 거야.

6. 가, 이, 간, 같이 띄어쓰기 정리

'가'와 '이'는 주격 조사이기 때문에 앞말과 붙여서 씁니다. '간'은 띄어 쓰는 '간'과 붙여 쓰는 '간'을 구별해야 합니다. 띄어 쓰는 '간'은 의존 명사이고, 붙여 쓰는 '간'은 접미사입니다. 그리고 '간'은 하나로 인정된 합성어도 있습니다. '같이'라는 말 역시 띄어 쓰는 '같이'와 붙여 쓰는 '같이'가 있습니다. 띄어 쓰는 '같이'는 부사로 쓰이는 말이고, 붙여 쓰는 '같이'는 격 조사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