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간' 띄어쓰기
'간'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친구 V 간'과 '친구간'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형제간'과 '형제 V 간'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2. 의존 명사 '간'
정답부터 공개하겠습니다.
'친구 V 간'
'형제간'
위와 같이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습니다.
의존 명사 '간'은 '한 대상에서 다른 대상까지의 거리'
서울과 부산 간 야간열차
그리고 일부 명사 뒤에 쓰여서 '관계'의 뜻을 나타내는 말
부모와 자식 간에도 예의를 지켜야 한다.
또한 '-고 -고 간에', '-거나 -거나 간에', '-든지 -든지 간에'의 구성으로 쓰여서 앞에 나열된 말 가운데 어느 쪽인지 가리지 않는다는 뜻을 나타내는 말로 쓰입니다.
공부를 하든지 운동을 하든지 간에 열심히만 해라.
이렇게 의존 명사 '간'은 한글 맞춤법 1장 2항의 단어마다 띄어 쓴다는 원칙에 따라, 의존 명사 '간'은 하나의 독립된 단어이기 때문에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3. 합성어로 인정된 말
그러면 '형제간'은 뭘까요? 물론 오타는 아닙니다. '형제간'이라고 쓰는 것은 맞습니다. 국어사전에서 찾아봐도 하나의 단어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형제간'이라는 말은 '형과 아우 사이'라는 말입니다.
옆집은 형제간에 우애가 좋기로 소문이 났다.
'형제간'이라는 말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명사]라고 나와있습니다. '형제간'이라는 말이 명사라면 이 말은 '형제' + '간'이 아니라 하나의 단어인 '명사'라는 말입니다.
이렇게 '형제간', '남매간', '자매간', '부부간', '모자간', '부자간', '동기간'과 같은 말들은 하나의 낱말로 굳어진 경우이기 때문에 합성어로 인정되었습니다.
아이들이 어느 정도 자라고 경제적 여유도 생기면서 부부간에 대화 시간도 늘어나고 취미 생활도 함께 즐기게 되었어요.
모자간이라는데 어머니가 젊어서 오누이 같아요.
따라서 하나의 낱말이니까 당연히 붙어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혈육 V 간'이 맞을까요? '혈육간'이 맞을까요?
여기서는 '혈육 V 간'이 맞습니다.
혈육 V 간의 간절한 정이 느껴져요.
이것을 구분하는 방법은 '사전'을 찾는 것입니다. 사전에 하나의 단어로 검색이 되면 합성어이기 때문에 붙여 쓰고 그 이외의 의존 명사 '간'은 띄어 적습니다.
4. 결론: '간' 띄어쓰기 정리
의존 명사 '간'은 두 대상의 사이나 관계를 뜻하며 앞말과 띄어 씁니다.
하지만 '형제간, 남매간, 자매간, 부부간, 모자간, 부자간, 동기간' 같이 하나의 낱말로 굳어진 합성어는 붙여서 쓴다는 것도 함께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간'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을 쳐다보다? 처다보다? 바른 표현은? (0) | 2023.09.09 |
---|---|
불을 켜다? 키다? 올바른 표기는? (0) | 2023.09.09 |
'데', '대로', '동안' 띄어쓰기 (0) | 2023.09.08 |
영탄법, 점층법, 열거법, 과장법, 반복법, 대조법, 강조법 예시 (0) | 2023.09.07 |
'헷갈리다'와 '헛갈리다' 복수 표준어 (0) | 2023.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