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표준어규정5

늑장 늦장 올바른 맞춤법 찾기 1. '늑장'과 '늦장' '늑장'과 '늦장' 중 어떤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라는 의미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 느릿느릿 꾸물거리는 태도를 뜻하는 말로 '늑장'이 맞을까요? '늦장'이 맞을까요? 어떤 것이 표준어일까요? ​ 2. 늑장과 늦장 모두 표준어​ '늑장'과 '늦장' 모두 쓸 수 있습니다. 그것뿐만 아니라 둘 다 표준어입니다. 이렇게 같은 뜻을 가진 여러 말을 모두 표준어로 인정하는 것을 '복수 표준어'라고 부릅니다. ​3. 표준어 규정​ 표준어 규정 3장 5절 26항에 보면 '늑장'과 '늦장'이 모두 많이 쓰이므로 모두 표준어로 인정한다고 되어 있답니다. '늑장'과 '늘짱' 중에서 '늑장'이 널리 쓰이므로 '늑장'을 표준어로 삼는다.라고 나와 있습니다. ​.. 2023. 10. 14.
'부리나케, 불이나케' 바른 말은? 1. '부리나케'와 '불이나케' '부리나케'와 '불이나케'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기일까요? '서둘러서 아주 급하게'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2. '부리나케' 어원 ​ '부리나케'의 어원은 '불이 나게'라는 말입니다. 불이 났으니 아주 급하겠지요. 여기까지는 우리가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왜 '불이 나게'가 '부리나케'가 되었을까요? ​​ 그것에 대한 정답을 기대하셨나요?​ ​ 그렇다면 실망하시지는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확실한 것은 '알 수 없다'랍니다. ​ 이렇게 우리말에서 어원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말은 소리 나는 대로 적는 것이 원칙입니다. 이 원칙도 기억해 두시면 편할 때가 있습니다. ​​ 그래서 소리 나는 대로 '부리나케'라고 적는 것입니다. ​3. '부리나케.. 2023. 10. 11.
'왠지, 웬일, 왠일' 올바른 표현 찾기 1. '왠지', '웬일', '왠일' 왜인지 알고 보면 참 쉬운데 우리가 많이 틀리는 '왠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그리고 그와 함께 항상 따라다니는 '웬일' 그리고 '왠일'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 '어찌 된 일. 또는 어떻게 된 일'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 2. '왜인지'의 준말 '왠지' 분명 올 것이 왔다는 느낌이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왠지'는 알고 보면 참 쉬운데 우리가 많이 틀리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왠지'의 논란은 오늘로 종결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립니다.​ ​딱 하나만 꼭 기억하세요! ​'왜인지'의 준말인 '왠지'를 빼고 모두 '웬'으로 쓰면 됩니다. ​너무 쉬워서 놀라셨나요? 그러실 수 있습니다. 마음을 진정시키시.. 2023. 10. 10.
'으스대다'와 '으시대다' 올바른 맞춤법 표준어 찾기 1. '으스대다'와 '으시대다' '으스대다'와 '으시대다' 중 어떻게 쓰는 것이 한글 맞춤법에 올바른 표기일까요? '어울리지 아니하게 우쭐거리며 뽐내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2. 으스대다 ​ '으스대다'라는 말은 '우쭐거리다, 우쭐대다, 뽐내다, 뻐기다, 잘난 체하다, 재다'와 비슷한 말입니다. '으스대, 으스대고, 으스대니, 으스대어, 으스대면, 으스대더니, 으스대지만'으로 활용되어서 쓰입니다. 이 말을 '으시대다, 으시댄다'라고 쓰면 틀린 표현입니다. ​​ 잘 기억하는 방법으로 아래에 있는 활용형들을 여러 번 읽어 보시면 자연스럽게 실수하지 않고 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으스대다 으스대 으스대고 으스대어 으시대면 으스대더니 으스대지만 ​3. 표준어 규정 ​ 표준어 규정 2장 4절 17항.. 2023. 10. 7.
표준어 규정 제1장 총칙 해설 1. 표준어 규정 제1장 제1항 표준어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로 정함을 원칙으로 한다. 표준어 규정 제1장 제1항은 표준어를 조사하고 심사하여 결정하는 원칙입니다. 조선어 학회가 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총론 제2항에서 정한 "표준말은 대체로 현재 중류 사회에서 쓰는 서울말로 한다."가 이렇게 바뀐 것입니다. 1-1 '표준말'을 '표준어'로 바꾼 것은 비표준어와의 대비에서 '표준말 - 비표준말'이 말결에 맞지 않기 때문입니다. 1-2 '중류 사회'는 그 기준이 모호하여 세계 여러 나라의 경향도 감안하여 '교양 있는 사람들'로 바꾼 것입니다. 이 구절의 또 하나의 의도는, 이렇게 정함으로써 앞으로는 표준어를 못하면 교양 없는 사람이 된다는 점의 강조도 포함된 것입니다. 표준어.. 2023. 6. 2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