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어띄어쓰기3 띄어쓰기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1.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한국어 띄어쓰기는 참 어렵습니다. 여기서는 띄어쓰기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과 '띄어쓰기 규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어 올바르게 띄어쓰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려면 한글 맞춤법 총칙과 함께 띄어쓰기 규정을 살펴봐야 합니다. 2. 띄어쓰기의 시작 요즘 건강은 어떠신가요? 뭐니 뭐니 해도 건강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주 사용해서 좋은 말은 아니지만 아래와 같은 말을 할 때 어떻게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안 V 아픈 V 데가 V 없다. 안 V 아픈데가 V 없다. 정답은 '아픈'과 '데가'를 띄어 쓴 '아픈 데가'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위의 문장에서 '데'가 머리, 목, 배.. 2023. 11. 2.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1.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여러분은 띄어쓰기의 필요성을 체감해 보신 적 있으십니까? 생활 속에서 일어날 법한 예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비서님, 미안하지만 나물좀갖다주세요! A 회사에서 비서로 일하는 이 모 씨, 어느 날 팀장님으로부터 메시지 한 통을 받게 됩니다. 이 메시지를 받은 이 모 씨는 그 순간 당혹스러웠습니다. 이는 팀장님이 가져다 달라는 것이 물인지 나물인지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띄어쓰기는 문자와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띄어쓰기 필요성에 대한 과거의 예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띄어쓰기의 필요성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에서부터 강조되었습니다. 국문으로만 글을 쓰되, 구절을 띄어 씀으로써 글 읽기의 편의를 도.. 2023. 8. 8. 한국어 띄어쓰기의 유래 1. 한국어 띄어쓰기 ‘사랑해보고싶어.’ 여러분은 이 문장을 어떻게 해석하시겠습니까? 사람에 따라 ‘사랑해. 보고 싶어.’로 해석할 수도 있고, ‘사랑, 해 보고 싶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문장은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달라집니다. 여기서는 띄어쓰기란 무엇이며 어떻게 유래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 올바른 언어생활의 기본은 띄어쓰기입니다. 하지만 문법에 따라 알맞게 쓰기가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함께 하다’와 ‘함께하다’ 둘 중 어떤 표기가 맞을까요? 정답은 ‘둘 다’입니다. 하지만 이 띄어쓰기에 따라 뜻이 다르게 해석됩니다. ‘회의를 함께 하다’처럼 구체적인 행위를 한꺼번에 할 때, 혹은 구체적인 행위를 누군가와 함께 하는 경우에는 부사인 ‘함께’와 동사인 ‘하다’.. 2023. 8. 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