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갈 거야'와 '갈거야'
'갈 V 거야'와 '갈거야'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거야'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갈 V 거야
먼저 정답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갈 V 거야'라고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거야'라는 말은 '것이야'의 준말입니다.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일컫는 말로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우리가 말할 때 주로 쓰는 말입니다.
'것'이라는 말은 의존명사로 항상 앞말과 띄어서 씁니다.
그리고 '것이야'의 준말인 '거야'도 마찬가지로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답니다.
'갈 거야', '늦은 거야?', '쉬울 거야', '숙제할 거야'처럼 쓰는 것입니다.
예문
오늘부터 우리 사귀는 거야?
오늘은 학교 끝나고 바로 도서관으로 갈 거야.
난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할 거야.
3. 의존명사 '것'
의존명사 '것'은
3.1. 사물, 일, 현상 따위를 추상적으로 이르는 말
예문
너는 웃는 것이 예쁘다.
3.2. 사람을 낮추어 이르거나 동물을 이르는 말
예문
오늘 태어난 강아지 중에서 점무늬 있는 것이 제일 예쁘다.
3.3. (사람을 나타내는 명사나 대명사 뒤에 쓰여) 그 사람의 소유물임을 나타내는 말
이 우산은 언니 것이다.
3.4. ('-는/은 것이다' 구성으로 쓰여) 말하는 이의 확신, 결정, 결심 따위를 나타내는 말
분명, 좋은 책은 좋은 독자가 만드는 것이다.
3.5. ('-ㄹ/을 것이다' 구성으로 쓰여) 말하는 이의 전망이나 추측, 또는 주관적 소신 따위를 나타내는 말
이 제품은 틀림없이 인기를 끌 것이다.
3.6. ('-ㄹ/을 것' 구성으로 쓰여) 명령이나 시킴의 뜻을 나타내면서 문장을 끝맺는 말
내일 아침 일곱 시까지 학교로 모일 것.
4. '갈 거야', '거야' 정리
'거야'라는 말은 '것이야'의 준말입니다. '것'은 의존명사로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항상 앞말과 띄어 적는답니다. 그리고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일컫는 말로 앞말과 띄어서 씁니다.
예문
내일은 아마 비가 올 거야.
사람 마음속 심리란 참 묘한 거야.
그렇게 착한 사람은 없을 거야.
당신 아들은 그 학교에 분명히 합격할 거야.
여기까지 '갈 거야', '거야'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장률'과 '성장율' 올바른 표현은? (0) | 2023.10.29 |
---|---|
'예닐곱'과 '예일곱'과 '여닐곱' 바른 말 찾기 (0) | 2023.10.28 |
'너머'와 '넘어' 구분해서 사용하기 (0) | 2023.10.27 |
'소고기와 쇠고기' 그리고 '소달구지와 쇠달구지' 복수표준어? (3) | 2023.10.27 |
'마음껏'과 '마음것' 바르게 쓰기 (0) | 2023.10.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