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구나', '그동안', '그중' 띄어쓰기
'예쁘구나'와 '예쁘 구나'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띄어쓰기일까요? '그동안'과 '그 동안'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띄어쓰기일까요? '그중에서'와 '그 중에서' 중 어떤 말이 바르게 사용한 말일까요? '구나, 그동안, 그중'이라는 말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구나
'-구나'라는 말은 '어미'입니다. 우리말의 '어미'는 용언, 즉 동사와 형용사가 활용할 때 변하는 부분입니다. 어미는 단어의 끝에 오는 '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 앞에 오는 '선어말 어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나'라는 어미는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서 쓰입니다. 그 뜻으로는 '해라'라고 하는 자리나 혼잣말에 쓰여서, 화자가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종결 어미입니다. 흔히 감탄의 뜻이 있는 혼잣말에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멋지구나', '그랬구나', '중학생이구나'처럼 표현합니다.
예문 1) 경치가 참 아름답구나!
예문 2) 넌 웃을 때 보조개가 참 예쁘구나!
예문 3) 직접 해 보니 생각보다 쉽구나!
예문 4) 네가 벌써 대학생이구나!
예문 5) 너도 엄마가 미웠겠구나.
예문 6) 꽃이 참으로 아름답구나.
예문 7) 그녀가 주연 배우이구나.
3. 그동안
'그동안'이라는 말은 명사입니다. 지시 관형사 '그'와 명사 '동안'이 결합한 말입니다. 따라서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붙여서 씁니다. '그동안'이라는 명사는 앞에서 이미 이야기한 만큼의 시간적 길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또한 다시 만나거나 연락하기 이전의 일정한 기간 동안이라는 말입니다. 이렇게 '그동안'은 이전의 일정한 기간을 뜻하며 붙여 씁니다. '그동안 잘 지냈니?', '그동안 많이 컸구나'처럼 쓰이는 말입니다.
예문 1) 그동안 안녕하셨어요?
예문 2) 그동안 연락이 없어 궁금했습니다.
예문 3) 그동안 고생 많이 했다.
예문 4) 그동안 어떻게 지내셨나요?
예문 5) 이렇게 오랜만에 만났으니 그동안 있었던 이야기를 내게 들려 다오.
예문 6) 그동안 방송을 애청해 주신 청취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예문 7) 이사하던 날 아침에 인호는 집주인에게 그동안 밀렸던 방세를 내놓았다.
4. 그중
'그중'이라는 말은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라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그중'이라는 말 자체가 하나의 단어입니다. '그'와 '중'이라는 말이 합해진 말로 자주 쓰여서 하나의 단어가 된 말입니다. '그중에서', '그중 하나', '그중에 아는 사람', '그중 한 권', '그중 낫다' 등으로 표현하는 말입니다.
예문 1) 책을 세 권 샀는데 그중의 한 권이 파본이다.
예문 2) 그중에서 마음에 드는 게 있어요?
예문 3) 수많은 사람이 몰렸는데, 그중에 아는 얼굴도 있었습니다.
예문 4) 그는 벽에 걸린 옷에서 그중 깨끗하고 성한 옷을 골라 입었다.
예문 5) 내 입맛에는 떡볶이와 순대가 그중 최고다.
예문 6) 아이들의 실력은 나날이 향상되었지만, 그중에서도 영호의 기량이 크게 향상되었다.
예문 7) 서가에는 주로 여행과 외국어 학습에 대한 책들이 많았는데, 그중 눈에 확 들어오는 책이 한 권 있었다.
5. '구나', '그동안', '그중' 정리
'구나'라는 말은 감탄의 뜻이 있는 혼잣말에 주로 쓰이고 새롭게 알게 된 사실에 주목함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어미이기 때문에 앞말에 붙여 씁니다. '예쁘구나'가 맞는 말입니다. '그동안'이라는 말은 이전의 일정한 기간을 뜻하는 말로 붙여 씁니다. '그동안'이라고 쓰는 것이 맞습니다. '그중'이라는 말은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라는 뜻의 말로 '그중에서'와 같이 붙여 쓰는 것이 맞는 말입니다. 여기까지 '구나', '그동안', '그중'이라는 말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낫다 낳다 한글 맞춤법에서 헷갈리는 두 어휘 잘 알고 사용하기 (0) | 2023.07.13 |
---|---|
날 내 대 대로 띄어쓰기 (2) | 2023.07.12 |
건투 권투 교제 교재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맞춤법 (0) | 2023.07.05 |
그러므로 그럼으로 맞춤법 형태와 의미 구별하기 (0) | 2023.07.05 |
거치다 걷히다 곧 곳 차이 알아보기 (0) | 2023.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