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낟알 낱알 낮 낯 낫 올바른 맞춤법 구분하기

by 정은정 이야기 2023. 7. 17.
728x90

낟알 낱알 낮 낯 낫 헷갈리는 맞춤법
낟알, 낱알, 낮, 낯, 낫 헷갈리는 맞춤법 구분하기

1. '낟알, 낱알', '낮, 낯', '낫' 올바른 맞춤법

'낟알'과 '낱알', ''과 ''과 '낫'이라는 말은 발음도 비슷하고 모양도 비슷해서 헷갈리는 말들입니다. 여기서는 그 의미를 확실하게 알고 맞춤법에 맞게 잘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낟알'과 '낱알'

'낟알'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곡식의 알을 뜻하는 말입니다. 그리고 '낱알'이라는 말은 '하나하나 따로따로인 알'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이 둘은 다른 말이기 때문에 구별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두 말은 발음이 똑같이 [나:달]이라고 같은 소리가 나는 말입니다. 그래서 구분하기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우리가 ''이라는 말에 대해 알고 있으면 '낟알'과 '낱알'을 어렵지 않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낱'이라는 말은 '셀 수 있는 물건의 하나하나'라는 뜻의 명사입니다. 예를 들어 '낱개, 낱낱, 낱장, 낱권' 등으로 쓸 수 있습니다.


예문 1) 낟알을 줍다.

예문 2) 낟알을 떨다.

예문 3) 요란한 소리와 함께 거친 낟알을 먹어 치운 기계는 잠시 후 하얀 쌀들을 토해 내기 시작했다.

예문 4) 봉수는 마당에서 도리깨를 들고 곡식의 이삭을 두드려서 낟알을 떨어내고 있었다.

예문 5) 올해는 워낙 흉작이라 가을걷이가 끝난 들녘에도 낟알 하나 남아 있지 않다.

예문 6) 힘들게 농사일을 해 보니 작은 낟알마다 농민의 피와 땀이 어려 있는 것이란 생각이 들었다.

예문 7) 가을이 되면 벼의 낟알이 누렇게 익어 가요.


예문 8) 낱알을 털어내다.

예문 9) 참새들이 땅바닥에 떨어진 쌀의 낱알을 쪼아 먹기 시작했다.

예문 10) 우리 조상들은 음식을 소홀히 하지 않고 낱알을 아까워하며 살았다.

예문 11) 구슬 목걸이가 끊어지면서 낱알로 흩어졌다.


예문 12) 사과를 으로 판다.

예문 13) 연필을 으로 네 자루만 샀다.

예문 14) 그는 감자 을 세 쪽, 네 쪽으로 잘라 밭에 심었다.

예문 15) 티끌 한 도 없는 맑은 공기.


'낟알'과 관련된 관용구로 '낟알 구경을 하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완곡한 표현으로 '오래간만에 밥을 먹어 보다'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추수 때나 돼야 겨우 낟알 구경을 할 수 있을 것 같다'와 같이 사용됩니다. 또한 관련된 속담으로 '낟알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은 '벼 이삭은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라는 속담과 같은 말입니다. 그 뜻은 '교양이 있고 수양을 쌓은 사람일수록 더욱 겸손해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입니다.

3. '낮'과 '낯'과 '낫'

''은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의 동안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리고 ''은 '얼굴'을 가리키는 말입니다. 역시 발음이 같은 ''은 곡식이나 나무, 풀 등을 벨 때 쓰는 농기구입니다.


''의 사전적 의미는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의 동안', '아침이 지나고 저녁이 되기 전까지의 동안', '낮의 한가운데. 곧, 낮 열두 시를 전후한 때'를 이르는 말입니다.

예문 1) 과 밤.

예문 2) 겨울철은 이 짧고 밤이 길다.

예문 3) 오늘은 늦었으니 내일 에 이야기하자.

예문 4) 아침부터 쏟아지던 폭우는 이 되면서 빗줄기가 약해졌다.

예문 5) 하지는 일 년 중 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입니다.


''의 사전적 의미는 '눈, 코, 입 따위가 있는 얼굴의 바닥', '남을 대할 만한 체면'을 뜻하는 말입니다.

예문 1) 을 깨끗이 씻어라.

예문 2) 을 찡그리다.

예문 3) 이 뜨겁다.

예문 4) 그녀는 늘 웃는 이다.

예문 5) 혜수는 부끄러워서 이 붉어졌다.


예문 6) 그를 대할 이 없다.

예문 7) 제가 그런 일을 저질러 놓고 무슨 으로 부모님을 뵙겠습니까?

예문 8) 을 세워 주다.

예문 9) 아비로서 자식들을 볼 이 없었다.

예문 10) 번번이 신세만 짓는 내가 무슨 으로 너희에게 언니 노릇을 하겠니?


''의 사전적 의미는 '곡식, 나무, 풀 따위를 베는 데 쓰는 농기구. 시우쇠로 'ㄱ'자 모양으로 안쪽으로 날을 내고, 뒤 끝 슴베에 나무 자루를 박아 만든' 것을 뜻하는 말입니다.

예문 1) 두 자루.

예문 2) 밀밭에서 노비들이 으로 밀을 베고 있었다.

예문 3) 아버지는 나에게 억새를 베라고 새 한 자루를 주셨다.

예문 4) 그녀는 무 껍질을 으로 벗기더니 나에게 불쑥 내밀었다.

예문 5) 아버지는 할아버지 무덤 주변의 잡초를 으로 베어 내셨다.

4. '낟알, 낱알', '낮, 낯, 낫' 정리

'낟알'은 '아직 껍질을 벗기지 않은 곡식의 알맹이'를 뜻하는 말이고, '낱알'은 '알곡 따위의 하나하나의 알'을 뜻하는 말입니다. ''의 기본 의미는 '해가 뜰 때부터 질 때까지의 동안'을 뜻하는 말이고, ''의 기본 의미는 '눈, 코, 입 등이 있는 얼굴의 앞쪽 면'을 뜻하는 말이며, ''은 '풀, 나무, 곡식 등을 벨 때 쓰는 'ㄱ'자 모양의 농기구'를 뜻하는 말입니다. 참고로 '낫'을 세는 단위는 '자루'입니다. 여기까지 발음과 모양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낟알, 낱알'과 '낮, 낯, 낫'이라는 말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헷갈릴 때마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며 익히고 여러 번 사용해 보는 것이 맞춤법을 익히는 가장 빠른 방법입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