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너비와 넓이란?
너비와 넓이는 무엇인가요? 너비와 넓이는 비슷한 듯 하지만 다른 개념입니다. 너비(width)는 어떤 도형의 가로 방향 길이를 말하며, 넓이(area)는 어떤 도형의 모든 부분을 덮는 데 필요한 크기를 의미합니다. 즉 '너비'는 평면의 가로로 건너지른 거리를 뜻하며, '넓이'는 평면에 걸쳐 있는 공간이나 범위의 크기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즉, '너비'는 가로의 길이나 폭을 말하고, '넓이'는 면적의 개념입니다.
예문 1) 강의 너비
예문 2) 너비를 줄이다.
예문 3) 도로의 너비를 재다.
예문 4) 어깨너비.
예문 5) 강의 너비가 넓다.
예문 6) 측량 기사들이 도로의 너비를 쟀다.
예문 7) 대한 해협의 너비는 가장 좁은 곳이 약 50킬로미터이다.
예문 8) 이 옷의 가슴너비.
예문 9) 책상 너비가 135cm라서 가로길이가 긴 모니터도 충분히 올릴 수 있습니다.
예문 10) 한 평 넓이의 땅.
예문 11) 책상 넓이만 한 지도.
예문 12) 넓이가 넓다.
예문 13) 넓이가 좁다.
예문 14)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다.
예문 15) 방은 두 사람이 겨우 누울 만한 넓이였다.
예문 16) 그는 날이 갈수록 사고의 넓이와 깊이를 더해 갔다.
예문 17)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사막의 넓이는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예문 18) 그 평야는 넓이가 무척 넓어서 끝이 보이지 않았다.
예문 19) 웬만한 넓이의 방은 이 많은 인원을 다 수용할 수가 없다.
2. 각 도형의 너비와 넓이의 구별법
사각형의 너비와 넓이
사각형은 가로와 세로의 길이를 각각 너비(width)와 높이(height)라고 합니다. 사각형의 너비는 가로길이이고, 사각형의 넓이는 가로길이와 세로 길이를 곱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가로길이가 5cm이고 세로 길이가 3cm인 사각형의 넓이는 15㎠입니다.
삼각형의 너비와 넓이
삼각형의 너비는 특정 방향으로 측정된 가장 긴 길이를 의미합니다. 삼각형의 넓이는 밑변의 길이와 높이를 곱하여 2로 나눈 값입니다. 예를 들어, 밑변의 길이가 6cm이고 높이가 4cm인 삼각형의 넓이는 12㎠입니다.
원의 너비와 넓이
원의 너비를 정의하기는 어렵지만, 보통 원의 지름을 가로 방향의 길이로 볼 때 해당 길이를 너비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원의 넓이는 반지름의 제곱에 π(3.14)를 곱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반지름이 5cm인 원의 넓이는 약 78.54 ㎠입니다.
3. 너비와 넓이의 활용
실생활에서의 너비와 넓이 활용
너비와 넓이는 우리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예를 들어 의자의 너비를 통해 좌석이 몇 인승인지 측정할 수 있으며, 건물의 넓이를 통해 주거 공간이나 사무실의 면적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건축과 너비, 넓이
건축 분야에서도 너비와 넓이는 중요한 개념입니다. 건물의 평면도를 그릴 때, 도면에 표시되는 너비와 넓이를 바탕으로 건물을 효율적으로 설계하고 공사를 진행할 수 있습니다.
4. 너비와 넓이의 이해를 돕는 다양한 예문
사각형 예문
가로 너비가 20cm이고 세로 길이가 10cm인 사각형의 넓이를 구하라.
답: 20cm × 10cm = 200㎠
삼각형 예문
밑변의 길이가 8cm이고 높이가 5cm인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라.
답: (8cm × 5cm) ÷ 2 = 20㎠
원 예문
반지름이 7cm인 원의 넓이를 구하라.
답: π × (7cm) ² = 153.94 ㎠
이러한 예문을 활용해 너비와 넓이의 개념을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습니다. 두 개념의 차이를 명확히 인식하면 일상생활에서도 더욱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5. 너비와 넓이 정리하기
너비는 평면이나 넓은 물체의 가로를 잰 길이를 뜻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도로의 너비를 재다'라고 쓸 수 있습니다. 그리고 넓이는 일정한 평면에 걸쳐 있는 공간이나 범위의 크기를 뜻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한평 넓이의 땅'이라고 쓸 수 있습니다. 즉, 너비는 가로의 길이나 폭을 말하고, 넓이는 면적의 개념이라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너비와 넓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날 며칠' 띄어쓰기 (0) | 2023.07.19 |
---|---|
넓적하다 넙적하다 바르게 쓰기 (0) | 2023.07.19 |
그동안 그중에서 띄어쓰기 (0) | 2023.07.18 |
낟알 낱알 낮 낯 낫 올바른 맞춤법 구분하기 (0) | 2023.07.17 |
꼬리 꽁지 올바로 구분하기 관련 관용구 속담 (0) | 2023.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