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 조사 구분

by 정은정 이야기 2023. 7. 30.
728x90

1. '만큼' 띄어쓰기

'만큼'이라는 말은 앞 말과 붙여서 적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띄어 적는 것이 맞을까요? 이 '만큼'이라는 말의 품사는 '의존명사'로 쓰일 때와 '조사'로 쓰일 때의 띄어쓰기가 다릅니다. 당연히 의존명사일 때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띄어서 적습니다. 그리고 조사일 경우에는 앞의 체언이나 조사에 붙여서 적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의존명사와 조사를 구분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띄어 쓰는 의존명사 '만큼'

'만큼'이라는 말이 의존명사로 쓰일 때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집니다.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말
주로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입니다.

 

예문 1)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었습니다.

예문 2) 그는 딸에게 희망을 건 만큼 실망도 컸습니다.

예문 3) 당신이 나에게 베푸는 만큼 나도 당신에게 베풀겠습니다.

예문 4) 주는 만큼 받아 오는 것입니다.

예문 5) 방 안은 숨소리가 들릴 만큼 조용했다.

 

뒤에 나오는 내용의 원인이나 근거가 됨을 나타내는 말
주로 어미 '-은, -는, -던' 뒤에 쓰입니다.

 

예문 1) 아이가 심하게 다그친 만큼 그녀의 행동도 달라져 있었습니다.

예문 2) 까다롭게 검사하는 만큼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합니다.

예문 3) 어머니가 야단친 만큼 아들의 행동도 달라졌습니다.

 

3. 붙여 쓰는 조사 '만큼'

'만큼'이라는 말이 조사로 쓰일 때는 앞말인 체언에 붙여 적습니다. 여기서 체언이라는 말은 문장에서 주어 등의 기능을 하는 '명사, 대명사, 수사'를 한꺼번에 이르는 말입니다. 

 

앞말과 비슷한 정도나 한도임을 나타내는 격 조사
체언이나 같은 조사 뒤에 붙어서 쓰입니다.

 

예문 1) 집을 대궐만큼 크게 지었습니다.

예문 2) 당신도 나만큼을 할 수 있습니다.

예문 3) 당신만큼 착한 사람은 없을 겁니다.

예문 4) 저도 형님만큼 요리를 잘할 수 있습니다.

예문 5) 동생도 언니만큼 똑똑합니다.

예문 6) 그 옷은 이 옷만큼 비싸지 않습니다.

예문 7) 농사만큼 자연의 섭리를 충실하게 존중해 온 일도 없을 것입니다.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 조사
의존명사, 조사 '만큼' 띄어쓰기

4. '만큼' 의존명사와 조사 구분하기

'만큼'이라는 말은 '예쁜 만큼'처럼 앞에 용언이 와서 이를 꾸미는 말로 쓰이면 의존명사이기 때문에 띄어서 적습니다. 용언은 문장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하는 동사와 형용사를 통틀어 부르는 말입니다. 그리고 '나만큼, 너만큼'처럼 사물이나 사람 뒤에 오는 '만큼'은 조사이기 때문에 붙여 써야 합니다.

 

정리하면 '만큼'은 앞말이 용언인 '동사, 형용사'인 경우에는 의존 명사로 쓰인 것이고, 앞말이 '체언'이나 '조사'일 경우에는 조사로 쓰인 것입니다. 따라서 의존 명사일 때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하고, 조사일 경우에는 앞말에 붙여 써야 합니다.

 

생각보다 구분하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앞 말이 동사와 형용사인지 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인지만 확실하게 알 수 있으면 의존명사 '만큼'과 조사 '만큼'을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만큼'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우리말에는 이렇게 같은 모양이지만 다른 품사로 사용되는 말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맞춤법과 띄어쓰기가 쉬운 것이 아니지요. 하지만 이렇게 자주 찾아보고 이해하고 사용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맞춤법과 띄어쓰기 달인이 될 수 있습니다. 국어사랑 아름다운 우리말! 큰 사랑 부탁드립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