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만' 띄어쓰기
헷갈리는 띄어쓰기 '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은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만'이 의존 명사라면 하나의 단어이니까 띄어 쓰는 것이 맞고, 조사라면 당연히 붙여 쓰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말은 의존 명사일까요? 조사일까요?
2. 띄어 쓰는 의존 명사 '만'
'만'이 의존 명사로 쓰이면 앞말과 띄어 씁니다. 이때 '만'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 말입니다.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거나 가능함 나타내는 말
예문 1) 그가 화를 낼 만도 하다.
예문 2) 듣고 보니 좋아할 만은 한 이야기입니다.
예문 3) 3시간 동안 연락이 안 되다니, 네가 화날 만하다.
예문 4) 이 책은 중학생이 볼 만은 한 내용입니다.
예문 5) 수년간 오지에서 고생한 그의 경험담은 생생하고 교육적이어서 학생들에게 되새기게 할 만도 합니다.
예문 6) 그냥 모르는 척 살 만도 한데 말이다.
예문 7) 그가 그러는 것도 이해할 만은 합니다.
예문 8) 그런 얘기를 들었느니 동생이 토라질 만도 합니다.
예문 9) 김치가 많이 시긴 했지만 먹을 만은 했습니다.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를 나타내는 말
예문 1) 십 년 만의 귀국입니다.
예문 2) 그녀가 도착한 지 두 시간 만에 떠났습니다.
예문 3) 그때 이후 칠 년 만입니다.
예문 4) 도대체 이게 얼마 만인가 모르겠습니다.
예문 5) 달리기 시작한 지 1Km 만에 다리에 힘이 빠졌습니다.
예문 6) 민지는 하루 만에 짝사랑을 접었습니다.
앞말이 가리키는 횟수를 끝으로의 뜻을 나타내는 말
예문 1) 저는 두 번 만에 그 시험에 합격했습니다.
예문 2) 그와 결혼을 결심한 것은 만난 지 일곱 번 만입니다.
3. 붙여 쓰는 조사 '만'
'만'이 조사로 쓰일 때는 앞말에 붙여 씁니다. 이때의 '만'은 '제한'의 의미를 가집니다. 아래 예문을 통해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다른 것으로부터 제한하여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문 1) 남편은 웃기만 할 뿐 아무 말이 없었습니다.
예문 2) 하루 종일 잠만 잤더니 머리가 띵하니 아픕니다.
예문 3) 모임에 그 사람만 참석했습니다.
예문 4) 그렇게 고기만 먹으면 몸에 좋지 않습니다.
예문 5) 나는 너 하나만 믿는다.
예문 6) 공부만 하면 건강을 해질 수 있습니다.
예문 7) 사람이 밥만 먹고살 수는 없지 않습니까?
예문 8) 너 혼자만 살겠다고 동생을 버리고 도망가는 게 말이 안 된다.
무엇을 강조하는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문 1) 그를 만나야만 모든 문제가 해결될 수 있습니다.
예문 2) 아버지는 할아버님께 허락을 받아야만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예문 3) 잠깐만 기다리시기 바랍니다.
예문 4) 계속 먹고만 있지 말고 내 얘기도 좀 들어 보세요.
예문 5) 우리의 미풍양속이 점점 사라져만 갑니다.
예문 6) 아이들이 잠들자 사방이 고요하기만 했습니다.
화자가 기대하는 마지막 선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문 1) 세 장의 복권 중에서 하나만 당첨되어도 바랄 것이 없습니다.
예문 2)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딱 하나만 주세요.
예문 3) 딱 맥주 한 잔만 더하고 일어서면 좋겠습니다.
예문 4) 삼천 원만 내시면 입장할 수 있습니다.
앞말이 나타내는 대상이나 내용 정도에 달함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문 1) 집채만 한 파도가 몰려옵니다.
예문 2) 백군이 청군만 못하다.
예문 3) 안 가느니만 못하다.
예문 4) 형만 한 아우 없습니다.
예문 5) 그의 실력은 나만 못합니다.
예문 6) 오이가 수박만 하다면 믿겠습니까?
예문 7) 준서는 신춘문예에 당선된 일이 아직도 꿈만 같습니다.
어떤 것이 이루어지거나 어떤 상태가 되기 위한 조건을 나타내는 보조사
예문 1) 너무 피곤해서 눈만 감아도 잠이 올 것 같습니다.
예문 2) 할머니는 나만 보면 못마땅한 듯 얼굴을 찌푸리셨습니다.
예문 3) 그는 술만 먹으면 울보가 됩니다.
예문 4) 전쟁이라는 것은 생각만 해도 끔찍합니다.
예문 5) 너는 왜 입만 열면 거짓말을 하니?
예문 6) 김 회장이 손만 움직여도 모두들 긴장한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4. '만' 띄어쓰기 정리
'만'이라는 말은 의존 명사로 쓰이면 앞말과 띄어 씁니다. 이때 '만'은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다', '꽉 채워서 세다', '앞말이 가리키는 동안이나 거리' 등의 뜻을 가집니다. 그리고 '만'이 조사로 쓰일 때는 앞말에 붙여 씁니다. 이때의 '만'은 '제한'의 의미를 가집니다.
의존 명사 '만'은 얼마간 계속되었음을 나타내는 말로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십 년 만의 귀국', '친구가 도착한 지 세 시간 만에 떠났다', '그때 이후 오 년 만이다', '도대체 이게 얼마 만인가'처럼 쓰입니다. 조사 '만'은 다른 것으로부터 제한하여 어느 것을 한정함을 나타내는 보조사로 자주 쓰입니다. 예를 들어 '일 년만 있으면 옵니다'와 같이 쓰입니다.
여기까지 '만'이라는 단어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하나의 글자에 하나의 단어이지만 의존 명사로 쓰일 때와 조사로 쓰일 때의 의미가 다르기 때문에 다양한 예문을 여러 번 읽어 보시고 맞춤법에 맞게 올바르게 잘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박며칠 몇박몇일 맞춤법에 올바른 표기 (0) | 2023.07.31 |
---|---|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 조사 구분 (0) | 2023.07.30 |
우리나라 24절기와 그 의미 (0) | 2023.07.29 |
아름다운 순우리말 갈무리 겨끔내기 곰비임비 길섶 갓길 (0) | 2023.07.28 |
'몇일'과 '며칠' 중 맞는 말 (0) | 2023.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