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나라 24 절기와 그 의미
우리나라 24 절기는 어떤 것들이 있고 그 의미는 어떻게 되는지 정리해 보겠습니다. 절기는 나누는 기준은 첫 번째, 밤낮의 길이입니다. 그리고 두 번째와 세 번째는 계절의 변화와 날씨의 변화입니다. 월별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1월
소한: 양력 1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대한: 양력 1월 20일, 겨울 큰 추위
3. 2월
입춘: 양력 2월 4일, 봄의 시작
우수: 양력 2월 19일, 봄비가 내리고 싹이 돋아남
4. 3월
경칩: 양력 3월 6일, 개구리가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 양력 3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함
5. 4월
청명: 양력 4월 5일, 봄 농사 준비
곡우: 양력 4월 20일, 농시비가 내림
6. 5월
입하: 양력 5월 6일, 여름의 시작
소만: 양력 5월 21일, 농사의 시작
7. 6월
망종: 양력 6월 6일, 씨 뿌리기 시작
하지: 양력 6월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8. 7월
소서: 양력 7월 7일, 여름 더위의 시작
대서: 양력 7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한 시기
9. 8월
입추: 양력 8월 8일, 가을의 시작
처서: 양력 8월 23일,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커짐
10. 9월
백로: 양력 9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양력 9월 23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11. 10월
한로: 양력 10월 9일,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상강: 양력 10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12. 11월
입동: 양력 11월 8일, 겨울의 시작
소설: 양력 11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13. 12월
대설: 양력 12월 7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양력 12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14. 생활 속 24 절기와 그 의미
여기까지 우리나라 생활 속 24 절기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24 절기는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만든 것입니다.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 15도 간격으로 점을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나타낸 것입니다. 우리나라는 24 절기 외 '절일'은 4대 명절인 설, 한식, 단오, 추석이 있고, 삼복으로 초복, 중복, 말복이 있습니다.
24 절기의 배치는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누고 각 계절을 다시 6 등분하여 양력 기준으로 한 달에 두 개의 절기를 배치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태양의 움직임에 따른 일조량, 강수량, 기온 등을 보고 농사를 짓는 데 사용하기 편하게 정한 것입니다. 절기에 따른 생활 속의 지혜가 필요한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 생활 속 24 절기와 그 의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 조사 구분 (0) | 2023.07.30 |
---|---|
'만' 의존 명사 띄어쓰기 조사 붙여쓰기 (0) | 2023.07.29 |
아름다운 순우리말 갈무리 겨끔내기 곰비임비 길섶 갓길 (0) | 2023.07.28 |
'몇일'과 '며칠' 중 맞는 말 (0) | 2023.07.27 |
국어의 음운과 음절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