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비음 동화, ㄹ비음화
우리말 음운의 변동 현상 중에 비음화(비음 동화)와 'ㄹ'의 비음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동화
동화(同化)는 한 음운이 앞이나 뒤에 있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서로 닮는 현상입니다. 말 그대로 '같아진다'라는 뜻입니다.
※ 同 : 한가지 동 化 : 같을 화
비음화(비음 동화)와 유음화를 합쳐서 자음동화라고 합니다.
국 → [국]
물 → [물]
국물 → [궁물]
위의 두 발음을 비교했을 때 달라지는 소리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맞습니다. '국'의 발음이 달라졌습니다.
이것은 안울림소리인 받침 [ㄱ] 뒤에서 이어서 오는 울림소리 [ㅁ]을 편하게 발음하기 위해서, [ㄱ]이 자신의 성격을 버리고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울림소리 [ㅇ]이 된 것입니다.
이러한 현상이 '동화'현상입니다.
일반적으로 말소리는 발음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표현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변합니다.
여기서 표현 효과를 높인다는 것은 '찰찰'이라는 말을 '철철'로 바꾸었을 때의 바뀌는 느낌을 말합니다.
3. 동화의 종류
한국어의 동화는 '순행 동화'와 '역행 동화'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순행 동화는 앞 음운이 뒤 음운에 영향을 주어 일어나는 동화입니다.
예) 설날 → [설랄]
역행 동화는 뒤 음운이 앞 음운에 영향을 주어 일어나는 동화입니다.
예) 국물 → [궁물]
4. 비음화(비음 동화)
비음의 영향을 받아 원래 비음이 아닌 받침으로 쓰이는 파열음 'ㄱ, ㄷ, ㅂ'이 비음 'ㄴ, ㅁ'의 영향을 받아 각각 비음 'ㅇ, ㄴ, ㅁ'으로 바뀌는 현상을 비음화라고 합니다.
비음화는 조음 위치는 그대로이고, 조음 방법만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입니다.
음절의 끝소리 규칙이나 자음군 단순화를 겪은 후에 나타나게 됩니다.
쉽게 말하면 비음의 영향으로 비음이 아닌 자음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비음화 또는 비음 동화라고 합니다.
5. ㄱ + ㄴ, ㅁ
ㄱ(ㄲ, ㅋ, ㄳ, ㄺ) + ㄴ, ㅁ → [ㅇ] + ㄴ, ㅁ
- 먹는다 → [멍는다]
- 국물 → [궁물]
- 깎는 →(음절의 끝소리 규칙) [깍는] →(비음화) [깡는]
6. ㄷ + ㄴ, ㅁ
ㄷ(ㅌ, ㅅ, ㅆ, ㅈ, ㅊ, ㅎ) + ㄴ, ㅁ → [ㄴ] + ㄴ, ㅁ
- 받는다 → [반는다]
- 맏며느리 → [만며느리]
- 옷맵시 → [옫맵씨] → [온맵씨]
7. ㅂ+ ㄴ, ㅁ
ㅂ(ㅍ, ㄼ, ㄿ, ㅄ) + ㄴ, ㅁ → [ㅁ] + ㄴ, ㅁ
- 잡느냐 → [잠느냐]
- 밥먹다 → [밤먹따]
- 밟는 →(자음군 단순화) [밥는] → (비음화) [밤는]
8. ㄹ 비음화
비음화에는 'ㄹ'의 비음화가 있습니다. 'ㄹ'의 비음화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ㄹ'이 'ㄴ'으로 바뀌어 소리 나는 것을 말합니다.
ㅁ + ㄹ → ㅁ + [ㄴ]
- 감로 → [감노]
- 삼라 → [삼나]
ㅇ + ㄹ → ㅇ + [ㄴ]
- 종로 → [종노]
- 중력 → [중녁]
또한 'ㄹ'이 'ㄱ, ㄷ, ㅂ' 끝소리에 이어날 때에는 'ㄹ'이 먼저 'ㄴ'이 되고 앞의 'ㄱ, ㄷ, ㅂ'은 뒤의 'ㄴ'을 닮아 각각 'ㅇ, ㄴ, ㅁ'으로 바뀌는 것입니다.
ㄱ + ㄹ → ㄱ + [ㄴ] → [ㅇ] + [ㄴ]
- 백리 → [백니] → [뱅니]
ㄷ + ㄹ → ㄷ + [ㄴ] → [ㄴ] + [ㄴ]
- 핫라인 → [핟라인] → [핟나인] → [한나인]
ㅂ + ㄹ → ㅂ + [ㄴ] → [ㅁ] + [ㄴ]
- 압력 → [압녁] → [암녁]
9. 비음화(비음 동화), 'ㄹ' 비음화 정리
비음화(비음 동화)는 어떤 음의 조음(調音)에 비강의 공명이 수반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십만'이 '심만', '먹는다'가 '멍는다'가 되는 것 등입니다.
또한 'ㄹ' 비음화는 '치조 비음화', '유음의 비음화'라고도 합니다.
'치조 비음화'는 유음 'ㄹ'이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서 치조 비음인 'ㄴ'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입니다. '섭리'가 '섬니'로, '결단력'이 '결딴녁'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유음의 비음화'는 'ㄹ'을 제외한 자음 뒤에 'ㄹ'이 올 때, 'ㄹ'이 'ㄴ'으로 바뀌는 음운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음운론'이 '음운논'으로 발음되는 경우입니다.
여기까지 비음화(비음 동화)와 'ㄹ' 비음화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의 단모음, 이중 모음, 반모음 (0) | 2023.08.24 |
---|---|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 (0) | 2023.08.23 |
육하원칙 개념과 적용하는 방법 (0) | 2023.08.22 |
논설문의 개념과 필요한 자료 수집, 근거를 제시하는 방법 (0) | 2023.08.22 |
설명문의 개념과 작성하는 방법 (0) | 2023.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