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모음
국어의 모음은 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를 말합니다. 국어의 단모음, 이중 모음, 반모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단모음, 이중 모음
국어의 모음 중에서, 소리를 낼 때 중간에 입술이나 혀의 모양이 바뀌지 않는 모음을 단모음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소리를 낼 때 중간에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하여 다른 자리로 옮겨 가면서 나는 소리가 있는데, 이것을 이중 모음이라고 합니다.
단모음 10개 소리 내는 방법 :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음.
해당 모음 : ㅏ, ㅔ, ㅓ, ㅐ, ㅗ, ㅚ, ㅜ, ㅟ, ㅡ, ㅣ
이중 모음 11개 소리 내는 방법 :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움직임
해당 모음 :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3. 이중 모음의 발음
모음 'ㅑ'를 발음해 보면 발음하는 동안 혀의 위치와 입 모양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ㅣ'를 발음해 보세요.
[이]라고 하셨지요?
잘했습니다.
그러면 이제 'ㅏ'를 발음해 보세요.
[아]라고 하셨지요?
참 잘하셨습니다.
그러면 이제 'ㅣ'와 'ㅏ'를 차례차례 발음해 보세요.
[이], [아] 이렇게 하셨지요?
정말 잘하고 계십니다.
그러면 이제 연속해서 점점 더 빨리 발음해 보겠습니다.
[이] ~ [아], [이][아], [이아 이아 이아 이아], [야]
하다 보니 'ㅑ'를 발음하셨다면 성공입니다.
이와 같이 발음하는 동안 혀의 위치와 입술의 모양이 변하는 모음을 이중 모음이라고 합니다.
이중 모음을 발음할 때 혀의 위치와 입술의 모양이 변하는 이유는 반모음이 단모음과 어우러져서 소리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중 모음은 각각 원래의 모음이 가진 소릿값대로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니라 이들이 한 모음처럼 축약되어 소리는 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ㅑ'는 아주 짧은 순간 'ㅣ' 모음을 조음하는 자세를 취했다가 바로 미끄러지듯 'ㅏ' 모음을 조음하는 자세로 바뀌면서 소리가 나는데 여기에서 아주 짧게 머무르는 'ㅣ' 모음 비슷한 소리가 반모음이고 'ㅏ'가 주 모음입니다.
4. 반모음
반모음이란 음성학적 특성은 단모음과 유사하지만 반모음이 홀로 음절을 형성할 수 없는 특성은 자음과 유사합니다.
그래서 반모음을 반자음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또한 반모음은 조음 동작의 변화 속도가 빨라서 길이가 짧으며 음성학적으로는 미끄러지는 듯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활음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반모음은 온전한 모음이 아니기 때문에 반달표( ˘ )를 하여 아래와 같이 표시합니다.
반모음의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5. 울림소리
또한 모음은 구강이 울려서 발음되므로 자음에 비해 울림의 정도가 훨씬 큽니다.
그래서 국어의 모음은 모두 울림소리입니다.
6. 단모음, 이중 모음, 반모음 결론
여기까지 국어의 단모음, 이중모음, 반모음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국어의 단모음은 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달라지지 않는 모음입니다.
국어의 이중 모음은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를 처음과 나중이 서로 달라지게 하여 내는 모음입니다. 구성 요소 중 하나는 단모음이고 다른 하나는 반모음입니다.
국어의 반모음은 모음과 같이 발음하지만 음절을 이루지 못하는 아주 짧은 모음입니다.'j', 'w' 등입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짓궂다 짖굳다 짖궂다 중 올바른 표현 찾기 (0) | 2023.08.25 |
---|---|
'떨어트리다'와 '떨어뜨리다' 올바른 표현 (0) | 2023.08.24 |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 (0) | 2023.08.23 |
'비음 동화'와 'ㄹ비음화' (0) | 2023.08.23 |
육하원칙 개념과 적용하는 방법 (0) | 2023.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