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설명하는 글 쓰기
설명하는 글 쓰기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초 · 중 · 고등학생의 설명문 쓰기의 이해와 학교 수행평가 글쓰기에 도움이 되고, 대학생 · 직장인 이상의 분들에게는 보고서나 프레젠테이션에 도움이 될 것이며, 블로그나 SNS에 글을 쓰거나 유튜브 원고를 작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설명하는 글' 쓰기의 과정
설명하는 글을 쓰는 과정은 5단계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계획하기
내용 선정하기
내용 조직하기
초고 쓰기
고쳐쓰기
설명하는 글, 다시 말해 설명문(說明文)이란 읽는 이들이 어떠한 사항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서술한 글입니다.
說 : 말씀 설, 明 : 밝을 명, 文 : 글월 문
저 글자만 봐도 그 이름과 글의 목적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즉 설명하는 글이란 무언가 '밝게' 만들어 주는 글이라는 말입니다.
누군가 필요한 사항이 있거나 잘 모르는 것이 있을 때 그 사람의 몸과 마음과 머리를 밝게 만들어 주는 글이고 설명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설명하는 글, 다시 말해 설명문을 쓸 때는 읽는 사람 입장에서 최대한 쉽고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입니다.
3. 계획하기
'계획하기' 단계에서는 설명할 대상과 글을 쓰는 목적, 글의 예상 독자를 정합니다. 그리고 글에 담을 정보와 정보 수집 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입니다.
글쓰기의 첫 단계로 글쓰기 계획을 세우는 활동입니다. 설명하려고 하는 대상을 정하고 예상 독자를 고려하여 글쓰기의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설명할 대상을 정할 때에는 흥미가 있거나 잘 알고 있는 것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대상을 떠올려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예를 들어 음식, 여행, 취미 등 평소 관심 있었던 대상을 떠올려 보는 것입니다.
글은 써야 하는데, 평소 관심 있었던 대상을 떠올리기도 힘들다면 지금 바로 눈앞에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눈앞에 뭐가 있나요?
스마트폰? 컴퓨터? 책상? 나의 손? 볼펜? 과자? 그리고 그것을 처음 보는 사람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잠시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4. 내용 선정하기
'내용 선정하기' 단계에서는 책, 사전, 신문, 면담, 인터넷 자료, 인터넷 게시판 등의 다양한 매체 자료를 수집합니다. 수집한 자료들 중 내 글에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입니다.
글쓰기 계획을 바탕으로 글에 담을 내용을 정하고 글을 쓰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활동입니다.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글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의 내용뿐만 아니라 출처도 함께 정리하도록 합니다.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개요를 작성하고 글의 각 부분에서 사용할 자료와 설명 방법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앞에서 했던 활동들을 바탕으로 내용을 어떤 순서로 제시할지 생각해 보고 각 부분에서 사용할 자료와 설명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글의 구성은 '처음', '중간', '끝'의 3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글의 구조를 생각하며 개요를 작성하고, 작성한 개요를 다시 한번 점검하며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합니다.
5. 초고 쓰기
'초고 쓰기'단계는 개요를 바탕으로 설명하는 글을 쓰는 단계입니다. 다양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 대상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수집한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쓰기 시작합니다.
글쓰기에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쓰기 시작하면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다음 '고쳐쓰기'의 단계가 있기 때문에 그냥 마구 쓴다고 생각하고 떠오르는 데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생각은 이 글을 어떤 대상을 설명하는 글이라는 점을 머릿속에 항상 가지고 가야 하는 것입니다.
그래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이미 자료 수집과 정리 과정에서 나는 어느 정도 이 대상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렵게 설명하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내가 잘 아는 것이니 남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나도 모르게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글쓰기가 시작되면 읽는 사람들이 힘들 수 있겠지요?
나의 동생 또는 초등학생에게 설명한다는 마음으로 접근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또한 수집한 자료의 내용을 그대로 베껴 쓰거나 자료를 통째로 인용하는 것은 잘못된 글쓰기 태도일 것입니다.
자료를 재구성하고 나의 언어로 나의 생각으로 나의 말로 다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글을 나의 글이기 때문입니다.
6. 고쳐쓰기
'고쳐쓰기' 단계는 작성한 글을 읽어 보며 고쳐 쓰는 활동입니다. 다양한 수준에서 글을 점검합니다.
고쳐쓰기의 목적은 글에서 잘못된 점을 찾는 것이 아닙니다.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글을 고치는 것이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글을 고칠 때에는 단어나 문장의 표현에서 잘못된 부분을 찾는 것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문단이나 글 전체 수준에서도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쓰는 것입니다.
다음의 질문들을 적용해 보면서 고쳐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글 전체 수준에서 고쳐 쓸 내용은 없는가?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은 없는가?
문장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는 부분은 없는가?
표현 효과를 고려하여 고칠 문장은 없는가?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는 없는가?
한 번에 완성도 높은 글을 쓰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고쳐쓰기를 통해 글을 더 좋게 만들어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런 과정이 필수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글을 쓰기 시작하면 글을 시작하지 못하는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글을 다듬어 쓰면서 내가 전달하려고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과정입니다. 또한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7. 고쳐쓰기의 원리
고쳐쓰기의 원리는 '추가', '삭제', '대치', '재구성'이 있습니다.
추가
부족하거나 빠뜨린 내용을 보충함.
삭제
불필요한 내용을 지움.
대치
내용이나 표현을 더 적절한 것으로 바꿈.
재구성
글이 논리적으로 전개되도록 내용의 순서나 구성을 조정함.
8. 결론, 설명하는 글 쓰기 정리
설명하는 글을 쓸 때에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설명하려는 대상을 간결하고 쉬운 문장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명하는 글의 구조에 맞추어 '처음 - 중간 - 끝'으로 짜임새 있게 글을 쓰는 것입니다.
독자가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대상의 특성에 맞는 설명 방법을 사용합니다.
고쳐쓰기는 글에서 잘못된 점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글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글을 고쳐 쓸 때는 글 전체, 문단, 문장, 단어 등 다양한 수준과 방법으로 나의 글을 수정합니다.
글쓰기 과정 전반에 걸쳐 자신의 글을 점검하고 수정해서 설명하는 글을 완성합니다.
여기까지 설명하는 글 쓰기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의문 쓰기와 읽기, 개념과 특징 (0) | 2023.09.22 |
---|---|
한국어 어휘 체계와 양상 (0) | 2023.09.22 |
'해님'과 '햇님' 중 맞춤법에 맞는 표현 (0) | 2023.09.21 |
수행 평가 종류 및 유형, 중학교 고등학교 국어 (0) | 2023.09.20 |
'직유법'의 개념과 예시, 포근한 봄 (0) | 2023.09.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