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설명하는 글 쓰기

by 정은정 이야기 2023. 9. 21.
728x90

1. 설명하는 글 쓰기

설명하는 글 쓰기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이 내용은 초 · 중 · 고등학생의 설명문 쓰기의 이해와 학교 수행평가 글쓰기에 도움이 되고, 대학생 · 직장인 이상의 분들에게는 보고서​나 프레젠테이션에 도움이 될 것이며, 블로그나 SNS에 글을 쓰거나 유튜브 원고를 작성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2. '설명하는 글' 쓰기의 과정 ​

설명하는 글을 쓰는 과정은 5단계로 나누어 진행합니다.​

​계획하기 ​
내용 선정하기 ​
내용 조직하기 ​
초고 쓰기 ​
고쳐쓰기 ​

​설명하는 글, 다시 말해 설명문(說明文)이란 ​읽는 이들이 어떠한 사항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객관적이고 논리적으로 서술한 글입니다.

​說 : 말씀 설, 明 : 밝을 명, 文 : 글월 문 ​

저 글자만 봐도 그 이름과 글의 목적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즉 설명하는 글이란 무언가 '밝게' 만들어 주는 글이라는 말입니다.

누군가 필요한 사항이 있거나 잘 모르는 것이 있을 때 ​그 사람의 몸과 마음과 머리를 밝게 만들어 주는 글이고 설명이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설명하는 글, 다시 말해 설명문을 쓸 때는 읽는 사람 입장에서 최대한 쉽고 명쾌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이 가장 중요입니다.

​3. 계획하기 ​

'계획하기' 단계에서는 ​설명할 대상과 글을 쓰는 목적, 글의 예상 독자를 정합니다. 그리고 글에 담을 정보와 정보 수집 방법을 생각하는 단계입니다.

​​

글쓰기의 첫 단계로 글쓰기 계획을 세우는 활동입니다. 설명하려고 하는 대상을 정하고 예상 독자를 고려하여 글쓰기의 전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

설명할 대상을 정할 때에는 흥미가 있거나 잘 알고 있는 것 등 우리 생활과 밀접한 대상을 떠올려 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예를 들어 음식, 여행, 취미 등 평소 관심 있었던 대상을 떠올려 보는 것입니다.

​​

글은 써야 하는데, 평소 관심 있었던 대상을 떠올리기도 힘들다면 ​지금 바로 눈앞에 있는 것에 대해 생각해 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눈앞에 뭐가 있나요?

스마트폰? 컴퓨터? 책상? 나의 손? 볼펜? 과자? 그리고 그것을 처음 보는 사람에게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지 잠시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4. 내용 선정하기 ​

'내용 선정하기' 단계에서는 책, 사전, 신문, 면담, 인터넷 자료, 인터넷 게시판 등의 다양한 매체 자료를 수집합니다. 수집한 자료들 중 내 글에 필요한 내용을 선정하는 단계입니다.

글쓰기 계획을 바탕으로 글에 담을 내용을 정하고 글을 쓰는데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는 활동입니다.

​​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글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자료의 내용뿐만 아니라 출처도 함께 정리하도록 합니다.

​​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개요를 작성하고 글의 각 부분에서 사용할 자료와 설명 방법을 생각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앞에서 했던 활동들을 바탕으로 내용을 어떤 순서로 제시할지 생각해 보고 각 부분에서 사용할 자료와 설명 방법을 정리해 보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글의 구성은 ​'처음', '중간', '끝'의 3단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입니다. 글의 구조를 생각하며 개요를 작성하고, 작성한 개요를 다시 한번 점검하며 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합니다.

​5. 초고 쓰기 ​

'초고 쓰기'단계는 개요를 바탕으로 설명하는 글을 쓰는 단계입니다. 다양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여 설명 대상에 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습니다.

수집한 자료의 내용을 바탕으로 적절한 설명 방법을 사용하여 글을 쓰기 시작합니다.

​​

글쓰기에 두려움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그냥 쓰기 시작하면 되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다음 '고쳐쓰기'의 단계가 있기 때문에 그냥 마구 쓴다고 생각하고 떠오르는 데로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때 가장 중요한 생각은 이 글을 어떤 대상을 설명하는 글이라는 점을 머릿속에 항상 가지고 가야 하는 것입니다.

​​

그래야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쓸 수 있습니다.​

이미 자료 수집과 정리 과정에서 나는 어느 정도 이 대상에 대해 잘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어렵게 설명하는 실수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내가 잘 아는 것이니 남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나도 모르게 할 수 있습니다. 그렇게 글쓰기가 시작되면 읽는 사람들이 힘들 수 있겠지요?​

나의 동생 또는 초등학생에게 설명한다는 마음으로 접근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또한 수집한 자료의 내용을 그대로 베껴 쓰거나 자료를 통째로 인용하는 것은 잘못된 글쓰기 태도일 것입니다.​

자료를 재구성하고 나의 언어로 나의 생각으로 나의 말로 다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왜냐하면 이 글을 나의 글이기 때문입니다.

​6. 고쳐쓰기 ​

'고쳐쓰기' 단계는 작성한 글을 읽어 보며 고쳐 쓰는 활동입니다. 다양한 수준에서 글을 점검합니다.

고쳐쓰기의 목적은 글에서 잘못된 점을 찾는 것이 아닙니다.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글을 고치는 것이라는 것을 잊으면 안 됩니다.

​​

글을 고칠 때에는 단어나 문장의 표현에서 잘못된 부분을 찾는 것에만 집중하기보다는 문단이나 글 전체 수준에서도 글을 점검하고 고쳐 쓰는 것입니다.​

다음의 질문들을 적용해 보면서 고쳐쓰기를 할 수 있습니다.

​글 전체 수준에서 고쳐 쓸 내용은 없는가?
​주제에서 벗어난 내용은 없는가?
​문장이 자연스럽게 이어지지 않는 부분은 없는가?
​표현 효과를 고려하여 고칠 문장은 없는가?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단어는 없는가?

​한 번에 완성도 높은 글을 쓰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고쳐쓰기를 통해 글을 더 좋게 만들어가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그리고 이런 과정이 필수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글을 쓰기 시작하면 글을 시작하지 못하는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

​​

글을 다듬어 쓰면서 내가 전달하려고 하는 내용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과정입니다. 또한 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글을 개선하는 것입니다.

​7. 고쳐쓰기의 원리 ​

고쳐쓰기의 원리는 '추가', '삭제', '대치', '재구성'이 있습니다.

​추가

부족하거나 빠뜨린 내용을 보충함.

삭제

불필요한 내용을 지움.

대치

내용이나 표현을 더 적절한 것으로 바꿈.

재구성

글이 논리적으로 전개되도록 내용의 순서나 구성을 조정함.

설명하는 글 쓰기, 설명문, 고쳐 쓰기
설명하는 글 쓰기

​8. 결론, 설명하는 글 쓰기 정리 ​

설명하는 글을 쓸 때에는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설명하려는 대상을 간결하고 쉬운 문장으로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설명하는 글의 구조에 맞추어 '처음 - 중간 - 끝'으로 짜임새 있게 글을 쓰는 것입니다.

​​

독자가 글의 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대상의 특성에 맞는 설명 방법을 사용합니다.

​​

고쳐쓰기는 글에서 잘못된 점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독자가 이해하기 쉽게 글을 수정하는 것입니다.

​​

글을 고쳐 쓸 때는 글 전체, 문단, 문장, 단어 등 다양한 수준과 방법으로 나의 글을 수정합니다.

​​

글쓰기 과정 전반에 걸쳐 자신의 글을 점검하고 수정해서 설명하는 글을 완성합니다.

​​

여기까지 설명하는 글 쓰기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