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한국어 어휘 체계와 양상

by 정은정 이야기 2023. 9. 22.
728x90

국어 어휘 체계와 양상
국어 어휘 체계와 양상

1. 한국어 어휘 체계와 양상

한국어 어휘 체계와 양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어 어휘의 체계는 어종(語種)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분류합니다.​

※ 語 : 말씀 어, 種 : 씨 종 ​

​국어 어휘의 양상은 지역적 · 사회적 요인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표준어, 지역 방언, 사회 방언으로 탐구합니다.

또한 의미 관계에 따른 어휘의 양상은 유의어, 반의어, 상위어, 하위어, 동음이의어, 다의어로 나누어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고유어 · 한자어 · 외래어 ​

고유어는 우리말에 본디부터 있던 말이나 이것에 기초하여 새로 만들어진 말입니다.​

예를 들어 거울, 주머니, 지우개, 구름, 항아리, 푸르다, 하늘, 마음, 아름답다, 어머니, 꾸벅꾸벅, 빨갛다, 달다, 그네, 아쉽다, 예쁘다 등 많은 말이 있습니다.

한자어는 한자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말입니다.​

예를 들어 책상, 안경, 시계, 학교, 교실, 점심시간, 연필, 대화, 식구, 편지, 부모, 의견, 강, 산, 사고, 책, 수리, 치료 등 많은 말들이 있습니다.

외래어는 외국에서 들어온 말이지만 국어처럼 쓰이는 말입니다.

​​

예를 들어 컴퓨터, 볼펜, 에어컨, 텔레비전, 피자, 스키, 아파트, 피아노, 스마트폰, 버스, 빵, 바나나, 슈퍼마켓 등 많은 말들이 있습니다.

​빵 : 포르투갈어 pão ​

3. ​표준어와 방언 ​

표준어는 한 나라에서 공용어로 쓰도록 규범으로 정한 언어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했습니다.

방언은 한 언어에서 사용 지역이나 사회 계층에 따라 분화된 말로,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이 있습니다.​

지역 방언과 표준어는 서로를 보완해 주는 관계에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

예를 들어 표준어로 정한 '누룽지'라는 말의 전라 방언은 '깜밥', 충청 방언은 '강개', 함경 방언은 '가매티'라고 합니다.

​4. 사회 방언 ​

사회 방언이란 한 언어에서 직업, 나이, 성별 등 사회적 요인에 따라 각 집단에서 특징적으로 쓰는 말이라는 뜻입니다.​

사회 방언은 전문어와 은어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

전문어는 특정 분야에서 전문적인 개념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말입니다.

​​

예를 들어 법률 용어로 '재정 증인'이라는 말은 미리 증인으로 호출되거나 소환되지 아니하고 법정에서 선정된 증인을 뜻하는 말입니다.

의학 용어로 '코드 블루'라는 말은 기관 내 긴급 상황을 뜻하는 말입니다.

방송 용어로 '슛(shoot)'이라고 하면 영화 등의 촬영을 시작하는 일이라는 말입니다.

은어는 다른 사람들이 알아듣지 못하도록 특정 집단 안에서 사용하는 말입니다.​

예를 들어 청과물 상인은 숫자를 대신하여 1은 '먹주', 2는 '대', 3은 '삼패'라고 한다고 합니다.

또 심마니분들끼리의 말로 밥은 '무림', 호랑이는 '산개', 안개는 '데팽이', 산삼을 '부리시리'라고 한다고 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많이 사용하는 '담탱이', '뽀대', '간지' 등의 말들과 ​줄임말들로 사용하는 '육퇴', '케미 맛집', '이모카세', '에루샤', '네카라쿠배' 등의 말들이 있습니다.​

은어를 사용하면 집단에 대한 소속감과 동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은어를 알지 못하는 사람들과 소통에 지장을 주는 것은 물론 소외감과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사회 방언은 각 어휘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사용해야 하겠습니다.

​5. 결론, 국어의 어휘 체계와 양상 정리

​국어 어휘의 체계는 단어의 뿌리에 따라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로 나눕니다.​

어휘의 양상으로 표준어와 지역 방언 그리고 사회 방언으로 나누어 볼 수 있고, 그리고 사회 방언은 전문어와 은어로 나누어 탐구할 수 있습니다.

​​

여기까지 국어 어휘의 체계와 양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