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조법, 강조 표현
영탄법, 점층법, 열거법, 과장법, 반복법, 대조법 등의 강조법, 강조 표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2. 강조하기 표현법
강조하기 표현법은 자신의 의도를 강하게 드러내는 방법입니다. 독자에게 선명한 인상을 주기 위해 표현하려는 부분을 강하고 두드러지게 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글의 다른 부분과 구별이 될 수 있도록 강조한 부분은 독자에게 선명한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
강조한 부분은 글의 주제와 깊은 관련이 있는 부분입니다. 강조하기 표현법은 영탄법, 점층법, 열거법, 과장법, 반복법, 대조법, 비교법, 현재법, 연쇄법 등이 있습니다.
3. 영탄법
영탄법은 감탄하는 말로 놀라움, 슬픔, 기쁨 등의 감정을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화자의 감정을 표출하는 감탄사, 조사, 감탄형 어미 등을 통해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오오! 나의 임이여!
아름다운 꽃이여!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김소월, 초혼≫
님은 갔습니다. 아아, 사랑하는 나의 님은 갔습니다.
≪한용운, 님의 침묵≫
4. 점층법
점층법은 문장의 뜻을 점점 강하게, 크게, 정도가 높아지게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작은 것에서 큰 것으로, 약한 것에서 강한 것으로, 좁은 것에서 넓은 것으로, 확대하여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참고로 점층법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점점 강도를 낮추는 것을 점강법이라고 합니다.
학교와 나라와 전 세계의 주인이 되자.
가정을 위해, 국가를 위해 더 나아가 세계를 위해 노력하자.
눈은 살아 있다.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마당에 떨어진 눈은 살아 있다.
≪김수영, 눈≫
5. 열거법
열거법은 내용적으로 연결되거나 비슷한 어구를 여러 개 늘어놓아 의미를 강조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그 마을엔 밤나무, 소나무, 느티나무가 서 있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별 하나에 쓸쓸함과
별 하나에 동경과
별 하나에 시와
별 하나에 어머니, 어머니
≪윤동주, 별 헤는 밤≫
아버님은
풀과 나무와 흙과 바람과 물과 햇빛으로
집을 지으시고
≪김용택, 농부와 시인≫
6. 과장법
과장법은 대상을 실제보다 매우 크거나 작게, 또는 지나치게 많거나 적게 표현하는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얼굴이 달덩이만 하다.
간이 콩알만 해졌다.
배가 남산만 하다.
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마를 건가
이별의 눈물은 해마다 푸른 물결에
보태어질 터인데
≪정지상, 송인≫
7. 반복법
반복법은 같거나 비슷한 단어, 어구, 문장 등을 되풀이하여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살어리 살어리랏다 청산에 살어리랏다.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정지용, 향수≫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김소월, 접동새≫
8. 대조법
대조법은 서로 반대되는 대상이나 내용을 대립시켜 주제를 강조하거나 인상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방법입니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봄은
가까운 땅에서 숨결과 같이 일더니
가을은
머나먼 하늘에서
차가운 물결과 같이 밀려온다.
≪김현승, 가을≫
겨울은,
바다와 대륙 밖에서
그 매서운 눈보라 몰고 왔지만
이제 올
너그러운 봄은 삼천리 마을마다
우리들 가슴속에서
움트리라.
≪신동엽, 봄은≫
여기까지 영탄법, 점층법, 열거법, 과장법, 반복법, 대조법 강조 표현, 강조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친구 간', '형제간', '간' 띄어쓰기 (0) | 2023.09.08 |
---|---|
'데', '대로', '동안' 띄어쓰기 (0) | 2023.09.08 |
'헷갈리다'와 '헛갈리다' 복수 표준어 (0) | 2023.09.07 |
'겠다' 띄어쓰기, 해야겠다, 먹어야겠다 (0) | 2023.09.06 |
'하던 대로', '마음대로', '대로' 띄어쓰기 (0) | 2023.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