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띄어쓰기16 띄어쓰기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1.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한국어 띄어쓰기는 참 어렵습니다. 여기서는 띄어쓰기를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전에 꼭 알아야 할 내용들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띄어쓰기의 기본 원칙'과 '띄어쓰기 규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어 올바르게 띄어쓰기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려면 한글 맞춤법 총칙과 함께 띄어쓰기 규정을 살펴봐야 합니다. 2. 띄어쓰기의 시작 요즘 건강은 어떠신가요? 뭐니 뭐니 해도 건강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주 사용해서 좋은 말은 아니지만 아래와 같은 말을 할 때 어떻게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안 V 아픈 V 데가 V 없다. 안 V 아픈데가 V 없다. 정답은 '아픈'과 '데가'를 띄어 쓴 '아픈 데가'로 표기하는 것이 맞습니다. 위의 문장에서 '데'가 머리, 목, 배.. 2023. 11. 2. '갈 거야'와 '갈거야' 올바른 띄어쓰기 1. '갈 거야'와 '갈거야' '갈 V 거야'와 '갈거야'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거야'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갈 V 거야 먼저 정답부터 알아보겠습니다. '갈 V 거야'라고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거야'라는 말은 '것이야'의 준말입니다.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일컫는 말로 앞말과 띄어 쓰는 것이 맞습니다. 우리가 말할 때 주로 쓰는 말입니다. '것'이라는 말은 의존명사로 항상 앞말과 띄어서 씁니다. 그리고 '것이야'의 준말인 '거야'도 마찬가지로 앞말과 띄어 써야 한답니다. '갈 거야', '늦은 거야?', '쉬울 거야', '숙제할 거야'처럼 쓰는 것입니다. 예문 오늘부터 우리 사귀는 거야? 오늘은.. 2023. 10. 28. '일 년 만'과 '한 시간만' 띄어쓰기 1. '일 년 만'과 '한 시간만' '만'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 년 V 만'과 '일 년만'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그리고 '한 시간만'과 '한 시간 V 만'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2. '만' 띄어쓰기 정답을 확인하겠습니다. '일 년 V 만'이 맞고 '한 시간만' 이 맞습니다. 의존 명사 '만'은 앞말과 띄어서 씁니다. 그리고 조사 '만'은 앞말에 붙여 씁니다. 3. 띄어 쓰는 의존 명사 '만' '만'이라는 말이 의존 명사로 쓰일 때 아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 예문 그가 화를 낼 만도 하다. 이 책은 중학생이 볼 만은 한 내용입니다. '앞말이 뜻하는 동.. 2023. 10. 21. '가량' 띄어쓰기, 한 시간가량? 1. '한 V 시간가량'과 '한 V 시간 V 가량' '한✔️시간가량'과 '한✔️시간✔️가량'중 어떤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일까요? 2. 접미사 '-가량' 가량은 '정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가량'은 ' 정도'를 뜻하며 앞말과 붙여 씁니다. 따라서 '한 ✔️시간가량'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두✔️시간가량', '삼만✔️원가량', '다섯✔️살가량', '이십✔️명가량'처럼 표현합니다. '가량'은 수량을 나타내는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정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3. 접미사 접미사란 파생어를 만드는 접사로, 어근이나 단어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가 되게 하는 말입니다. 접미사는 문법적 기능과 함께 어휘적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선생님'의 '-님'.. 2023. 10. 19. '대', '그중', '내지' 띄어쓰기 방법 1. '대', '그중', '내지' 띄어쓰기 '대', '그중', '내지'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대 띄어 쓰는 '대' 무엇인가를 세는 단위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따라서 '차, 기계, 악기'를 셀 때 쓰는 '대'도 항상 띄어 씁니다. 이때의 '대'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띄어서 씁니다. 한편, 경기의 점수를 말할 때도 '일 대 오'처럼 띄어 씁니다. 여기서의 '대'는 앞말과 뒷말의 대조를 보이는 말로 앞이나 뒤 어디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앞말에 붙여 쓰지 않습니다. 집 앞에 못 보던 차가 한 대 서 있다. 엉덩이에 주사를 한 대 맞았다. 오늘 3반과의 농구 경기에서 이십이 대 이십사로 아깝게 졌다. 붙여 쓰는 '대' '양쪽이.. 2023. 9. 15. '하던 대로', '마음대로', '대로' 띄어쓰기 1. '대로' 띄어쓰기 '대로'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하던 V 대로'와 '하던대로'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마음대로'와 '마음 V 대로' 그러면 위의 문장은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2. '대로' 띄어쓰기 정답 '대로' 띄어쓰기 정답부터 보시겠습니다. '하던 V 대로'가 맞고 '마음대로'가 맞습니다. '대로'라는 말이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쓰고 조사로 쓰일 때는 붙여서 씁니다. 3. 띄어 쓰는 '대로' 의존 명사 의존 명사 '대로'라는 말은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족족'을 뜻하는 말입니다. 의존 명사는 독립된 단어로 당연히 앞말과 띄어서 적습니다. .. 2023. 9. 6. '같이' 부사, 조사 띄어쓰기 1. '같이' 띄어쓰기 '같이'는 어떻게 띄어쓰기를 해야 할까요? 부사로 '둘 이상의 사람이나 사물이 함께', '어떤 상황이나 행동 등과 다름이 없이'라는 뜻으로 쓰이는 말입니다. 또한 조사로 '앞말이 보이는 전형적인 어떤 특징처럼', '앞말이 나타내는 그때를 강조'하는 뜻으로 쓰이기도 합니다. 2. '같이' 부사의 띄어쓰기 '친구와 같이'라는 말처럼 주로 격 조사 '와/과'나 여럿임을 뜻하는 말 뒤에 쓰이는 같이는 '부사'입니다. 우리말의 '부사'라는 품사는 '수식언'이라고 불러요. 말 그대로 문장에서 다른 단어를 꾸며 주는 기능을 하고 형태가 변하지 않습니다. 아래의 예를 보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친구와 같이 사업을 하다. 모두 같이 갑시다. 선생님이 하는 것과 같이 하세요. 세월이 물과 .. 2023. 8. 27. 띄어쓰기를 잘하는 방법 1. 띄어쓰기를 잘하는 방법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우선 단어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단어에 대한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이를 문장이나 의미로 확대 적용하여 띄어쓰기를 바르게 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사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2. 띄어쓰기란 무엇인가 띄어쓰기는 근본적으로 단어 단위를 인식하여 표기에 반영하는 언어활동입니다. 어떤 단어를 써서 어떤 구조로 문장을 쓸 것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3. 단어의 개념 단어의 개념을 알아볼 수 있도록 잠깐 문제를 풀어 보겠습니다. 다음 중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1번: 70 V 여송이 V 장미 2번: 70여 V 송이 V 장미 두 번째, ‘70여 송이 장미.. 2023. 8. 10.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1.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여러분은 띄어쓰기의 필요성을 체감해 보신 적 있으십니까? 생활 속에서 일어날 법한 예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비서님, 미안하지만 나물좀갖다주세요! A 회사에서 비서로 일하는 이 모 씨, 어느 날 팀장님으로부터 메시지 한 통을 받게 됩니다. 이 메시지를 받은 이 모 씨는 그 순간 당혹스러웠습니다. 이는 팀장님이 가져다 달라는 것이 물인지 나물인지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띄어쓰기는 문자와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띄어쓰기 필요성에 대한 과거의 예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띄어쓰기의 필요성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에서부터 강조되었습니다. 국문으로만 글을 쓰되, 구절을 띄어 씀으로써 글 읽기의 편의를 도.. 2023. 8. 8. 한국어 띄어쓰기의 유래 1. 한국어 띄어쓰기 ‘사랑해보고싶어.’ 여러분은 이 문장을 어떻게 해석하시겠습니까? 사람에 따라 ‘사랑해. 보고 싶어.’로 해석할 수도 있고, ‘사랑, 해 보고 싶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문장은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달라집니다. 여기서는 띄어쓰기란 무엇이며 어떻게 유래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 올바른 언어생활의 기본은 띄어쓰기입니다. 하지만 문법에 따라 알맞게 쓰기가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함께 하다’와 ‘함께하다’ 둘 중 어떤 표기가 맞을까요? 정답은 ‘둘 다’입니다. 하지만 이 띄어쓰기에 따라 뜻이 다르게 해석됩니다. ‘회의를 함께 하다’처럼 구체적인 행위를 한꺼번에 할 때, 혹은 구체적인 행위를 누군가와 함께 하는 경우에는 부사인 ‘함께’와 동사인 ‘하다’.. 2023. 8. 7. 이전 1 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