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대', '그중', '내지' 띄어쓰기 방법

by 정은정 이야기 2023. 9. 15.
728x90

1. '대', '그중', '내지' 띄어쓰기

'대', '그중', '내지'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대 그중 내지 띄어쓰기
대, 그중, 내지 띄어쓰기

2. 대

띄어 쓰는 '대'

​무엇인가를 세는 단위는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따라서 '차, 기계, 악기'를 셀 때 ​쓰는 '대'도 항상 띄어 씁니다.

 

이때의 '대'는 의존명사입니다. 의존명사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띄어서 씁니다.

한편, 경기의 점수를 말할 때도 ​'일 대 오'처럼 띄어 씁니다. 여기서의 '대'는 앞말과 뒷말의 ​대조를 보이는 말로 ​앞이나 뒤 어디에도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앞말에 붙여 쓰지 않습니다.

​집 앞에 못 보던 차가 한 서 있다.
엉덩이에 주사를 한 맞았다.
​오늘 3반과의 농구 경기에서 이십이 이십사로 아깝게 졌다.
붙여 쓰는 '대'

​'양쪽이 같은 비율'이라는 의미를 가지는 ​'일대일'은 붙여 써야 합니다. 이 경우는 '일 + 대 + 일'이 합쳐져서 ​새로운 의미의 한 단어가 된 것이기 때문입니다.

 

이 '일대일'은 명사로 '양쪽이 같은 비율이나 같은 권리로 상대함. 또는 한 사람이 한 사람을 상대함.'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장사하고 남은 이윤을 일대일로 나누기로 했다.
​우유와 초코 가루를 일대일로 섞어야 맛있는 초코 유유가 돼요.​ ​

3. 그중

​원래 '중'은 앞말과 띄어 쓰는 말입니다. '너희 중에'처럼 쓰입니다. 하지만 ​'범위가 정해진 여럿 가운데'라는 ​의미를 가진 ​

'그중'은 붙여 씁니다.

'그'와 '중'이 합쳐져서 ​아주 많이 쓰이다 보니 ​하나의 단어가 되었습니다. 하나의 단어이니 ​붙여 써야 합니다. '그중'의 품사는 명사입니다.

책을 세 권 샀는데 그중의 한 권이 파본이다.
내 입맛에는 떡볶이와 순대가 그중 최고다.
​레고 종류는 아주 많지만 그중 이게 제일 좋아요.​ ​

4. 내지​

'내지'는 '또는'이라는 말입니다. '또는'은 앞말과 띄어 씁니다. 뜻이 같은 '내지' 역시 ​앞말과 띄어 써야 합니다.

 

'내지'의 품사는 부사입니다. '앞 내용이거나 뒤 내용임을 선택적으로 나타낼 때 쓰여 두 어구를 이어 주는 말.', '주로 수량을 나타내는 말 사이에서 범위를 나타낼 때 쓰여 두 어구를 이어 주는 말'입니다.

이 '내지'는 앞말과 뒷말을 ​공평하게 이어 주기 때문에 ​띄어 쓰는 것입니다.

요즘 많은 기업들이 변화 내지 혁신을 내세우며 발전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매일 저녁 식사 후 삼십 분 내지 한 시간 정도 산책을 한다.
오늘 내지 내일, 오빠의 대학 합격 발표가 나온대.

여기까지 '대', '그중', '내지'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