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어의 5언 9 품사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한 국어의 5언 9 품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어의 5언은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입니다. 그리고 국어의 9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입니다.
2. 품사의 정의와 분류 기준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사회 안의 대중을 우리는 언중이라고 합니다. 언중들은 계속 말을 새롭게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어마어마하게 많은 단어를 접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많은 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 놓은 것을 품사(品詞)라고 합니다.
※ 品 : 물건 품, 詞 : 말 사
품사는 문장 속에서 단어가 담당하는 기능, 문장 속의 일정한 자리에서 단어가 보이는 형태, 그리고 단어가 나타내는 의미를 기준으로 하여 나누고 있습니다.
- 품사 분류 기준
문장 속에서 단어가 담당하는 기능
문장 속의 일정한 자리에서 단어가 보이는 형태
단어가 나타내는 의미
3. 한국어의 9 품사
우리말에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등 총 9 품사가 있습니다. 띄어쓰기를 할 때 단어의 품사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따라서 품사에 대한 이해를 확실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명사, 의존 명사, 수사, 조사, 보조 용언의 개념에 대해서 확실하게 알아야 한답니다.
- 한국어의 9 품사
명사 / 대명사 / 수사
조사 / 동사 / 형용사
관형사 / 부사 / 감탄사
※ 의존 명사 / 보조 용언
우리말의 9 품사는 그 성질에 따라 체언, 관계 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이라는 또 다른 종류로 분류가 됩니다.
- 한국어의 5언
체언 / 관계 언 / 용언 / 수식언 / 독립언
이것을 우리말의 5언 9 품사라고 합니다.
4. 체언
우선 명사, 대명사, 수사는 '체언'으로 분류됩니다. 체언은 주로 주어가 되는 자리에 오며 때로는 목적어 혹은 보어가 되는 자리에 오는 단어로서 조사와 결합할 수 있으며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점이 일반적인 특징입니다.
- 체언
명사: 구체적인 대상의 이름
예) 학교, 하늘, 집, 바둑이
※ 의존명사: 명사 중에서 반드시 그 앞에 꾸며 주는 말인 관형어가 있어야만 문장에 쓰일 수 있음
예) 구두 한 켤레
'학교에는 칠판이 있어요.'라는 문장에서 명사는 '학교'와 '칠판'입니다.
- 체언
대명사: 대상의 이름을 대신하여 그것을 가리키는 말
예) 나, 우리, 누구, 아무
'이것이 너의 필통이야?'라는 문장에서 대명사는 '이것'과 '너'입니다.
- 체언
수사: 사물의 수량이나 순서를 가리키는 말
예) 하나, 둘, 삼, 첫째
'첫째, 달걀 5개에 소금과 썰어 놓은 당근과 대파를 넣고 젓가락으로 저어서 잘 섞어 주세요.'라는 문장에서 수사는 '첫째'입니다.
5. 관계언
이어서 조사는 관계언으로 구분됩니다. 문장에 쓰인 단어들의 다양한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기능을 합니다.
- 관계언
조사: 주로 체언 뒤에 붙어서 앞말이 그 문장의 다른 말에 대해서 가지는 관계를 나타내 주거나 앞말에 특별한 뜻을 더하여 주는 말
예) 이, 가, 는, 을, 의, 에서
'우리는 모두 성실한 학생이다.'라는 문장에서 조사는 '는', '이다'입니다.
6. 용언
또한 동사와 형용사는 용언으로 구분되며, 용언은 문장에서 주어의 움직임이나 성질, 상태 등을 서술하는 기능을 합니다.
- 용언
동사: 주어의 어떤 움직임이나 작용을 나타내는 단어
예) 가다, 먹다, 잡다, 받다, 견디다
형용사: 주어의 성질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단어
예) 달다, 고요하다, 아름답다, 이러하다
※ 보조 용언: 용언 중에는 혼자서 쓰이지 못하고 반드시 다른 용언 뒤에 붙어서 의미를 더하여 주는 말
예) 보다, 두다, 싶다, 않다
'우리 함께 일하자.'라는 문장에서 동사는 '일하다'입니다. '따뜻한 말 한마디가 이웃의 마음을 훈훈하게 만들어요.'라는 문장에서 형용사는 '따뜻하다'입니다.
7. 수식언
더불어 관형사와 부사는 수식언으로 구분됩니다. 이는 말 그대로 다른 말을 수식하는 기능을 하는 말을 가리킵니다.
- 수식언
관형사: 체언 앞에 놓여서 체언, 주로 명사를 꾸며 주는 단어로 조사와 결합할 수 없으며, 형태 변화 없음
예) 새, 헌, 온, 어떤
부사: 용언이나 문장을 수식하는 것을 본래의 기능으로 하는 단어
예) 참, 너무, 가장, 빨리
'나는 작년부터 새 가방이 갖고 싶었어요.'라는 문장에서 관형사는 '새'입니다. 그리고 '나는 발표를 앞두고 입이 바짝 말랐어요.'라는 문장에서 부사는 '바싹'입니다.
8. 독립언
마지막으로 감탄사는 독립언으로 구분되며 독립언이란 문장 속의 다른 성분에 얽매이지 않고 독립성이 있는 말이라는 의미입니다.
- 독립언
감탄사: 부름, 대답, 느낌 등을 나타내는 데 쓰이면서 다른 성분들에 비하여 비교적 독립성이 있는 말
예) 오, 아, 여보, 응, 쯧쯧, 맙소사
'오! 정말 멋지다.'라는 문장에서 감탄사는 '오'입니다.
여기까지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한 국어의 5언 9 품사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잠그다'와 '잠구다' 올바른 표현은? (1) | 2023.11.03 |
---|---|
'움큼'과 '웅큼' 맞춤법에 올바른 말 (1) | 2023.11.03 |
띄어쓰기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0) | 2023.11.02 |
언어의 본질 창조성 (0) | 2023.11.01 |
사회성 언어의 본질 (0) | 2023.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