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언어의 창조성
국어 문법 첫 단원 언어의 본질 중 언어의 창조성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언어의 창조성 정의는 '인간은 이미 알고 있는 언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어나 문장을 무한히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특성을 언어의 창조성이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다 같이 청소를 해야 할 때 이렇게 말할 수 있겠지요? "청소를 시작합시다." 그런데 우리가 '모두 함께 청소를 하자'라는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말이 위에 있는 말 하나일까요? 당연히 그렇지 않습니다. 다르게 할 수 있는 말이 많이 있습니다. 또 다른 예로 "우리가 사용하는 이 공간을 깨끗하게 만들어 볼까요?" 또는 "청소할 시간입니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어떤 말이 또 가능할까요? "이제 청소를 시작할까요?" 이것 말고도 무한히 많은 말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언어의 특성을 언어의 창조성이라고 합니다.
2. 언어의 창조성 예 - 김밥
여러분은 김밥의 이름을 어느 정도 알고 있나요? '불고기 김밥', '참치 김밥', '돈가스 김밥' 등 다양한 김밥의 이름들이 있습니다. 김밥 안에 들어 있는 재료를 나타내기 위한 이름들입니다. 이러한 김밥의 이름들 말고도 많이 있겠지요? 편의점에서 파는 세모 모양의 '삼각김밥'도 있습니다. 여기까지는 이해하기 쉬운 이름들일 수 있습니다. 그러면 '버블 김밥, 고참 김밥, 고불 김밥' 이것은 무엇일까요? '버블 김밥'은 버섯 불고기 김밥, '고참 김밥'은 고추 참치 김밥, '고불 김밥'은 고추장 불고기 김밥 등등 정말 많은 이름들이 가능합니다. 이것 역시 언어의 창조성의 예로 알아볼 수 있는 것입니다.
3. 언어의 창조성의 예 - 먹고 싶어요
또 하나의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이제 말을 한참 배우기 시작한 3세 또는 4세 아이에게 엄마가 "우유 마시자."라고 이야기합니다. 그리고 또 이 아이는 엄마가 주신 딸기를 맛있게 먹었습니다. 엄마가 아이에게 딸기를 주면서 비슷한 말을 하셨겠지요? 엄마는 뭐라고 말했을까요? "딸기 먹자." 이렇게 '우유 마시자'라는 말과 '딸기 먹자'라는 말을 배운 아이는 며칠이 지나 놀라운 말을 하며 엄마와 아빠를 놀라게 합니다. 뭐라고 했을까요? "우유 먹고 싶어요!" 이렇게 아이는 배운 적이 없는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내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아이가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은 이미 알고 있는 언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문장을 만들어 낸다는 측면에서 볼 때 언어의 창조성을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일상생활에서 언어의 창조성을 찾아볼 수 있는 예는 아주 많이 있답니다.
4. '클리어런스 세일' 대체어 '재고 할인'
아래의 내용은 2021년 12월 국립국어원 '우리말 다듬기'에서 홍보했던 내용입니다. 언어의 창조성과 언어의 본질을 생각하면서 한번 읽어 보겠습니다.
소비의 즐거움 클리어런스 세일
소비의 즐거움 중 하나는 할인을 잘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중 클리어런스 세일을 현명하게 소비하는 자신만의 비결이 있겠지요? 사람이 붐비지 않는 시간대를 이용한 타임 서비스나 쇼룸을 단기간 운영하는 팝업 스토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클리어런스 세일 → 재고 할인
타임 서비스 → 반짝 할인
쇼룸 → 체험 전시실
팝업 스토어 → 반짝 매장
이렇게 바꿔서 다시 읽어 보겠습니다.
소비의 즐거움 재고 할인
소비의 즐거움 중 하나는 할인을 잘 이용하는 것입니다. 그중 재고 할인을 현명하게 소비하는 자신만의 비결이 있겠지요? 사람이 붐비지 않는 시간대를 이용한 반짝 할인이나 체험 전시실을 단기간 운영하는 반짝 매장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알뜰한 지출로 누리는 소비의 즐거움! 다듬은 말로 말글살이의 즐거움도 누려 보세요.
5. 언어의 본질 적용
어떤가요? 조금 어색한가요? 그래도 외래어나 외국어를 대신할 좋은 우리말을 찾아 쓰는 것이 아름다운 우리말을 가꾸는 일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아름다운 우리말은 아름다운 우리의 삶이니까요. 그러면 여기서 우리는 위의 글을 통해 '언어의 본질'이라는 관점에서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요? 국립국어원에서 '클리어런스 세일'이라는 말의 대체어로 '재고 할인'이라는 말을 선정해서 사용하자는 과정은 언어의 창조성뿐만 아니라 언어의 자의성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그것뿐인가요? 앞으로는 '재고 할인이라는 말을 공식적으로 쓰자.'라고 우리 사회가 약속을 하게 된다면 그것은 또한 언어의 사회성과도 관련이 있는 것입니다.
6. 결론, 언어의 창조성 정리
여기까지 국어 문법 첫 단원 언어의 본질 중 언어의 창조성이었습니다. 언어의 창조성은 '인간은 이미 알고 있는 언어를 바탕으로 새로운 단어나 문장을 무한히 만들어 낼 수 있다.'라는 것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어의 5언 9품사 (0) | 2023.11.02 |
---|---|
띄어쓰기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0) | 2023.11.02 |
사회성 언어의 본질 (0) | 2023.11.01 |
독서 감상문 글감 소재 질문으로 쓰기 (0) | 2023.10.31 |
핵심 정보가 드러나게 내용을 구성하여 발표하기 (0) | 2023.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