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1. '잠그다'와 '잠구다'
'잠그다'와 '잠구다'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여닫는 물건을 열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걸거나 하다', '물, 가스 따위가 흘러나오지 않도록 차단하다', '옷을 입고 단추를 끼우다', '입을 다물고 아무 말도 하지 않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잠그다
'잠그다'라고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잠구다'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잠그다'라는 말의 품사는 동사로 '잠가, 잠가서, 잠그니' 등으로 활용되어서 쓰이는 단어입니다. 활용할 때 보면 '잠그다' 가운데 있는 'ㅡ'가 모음을 만나면 없어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잠가, 잠가서'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이 말을 '잠구다'라고 잘못 알고 사용하게 되면 '잠궈, 잠궈서'라고 또 잘못 쓸 수가 있습니다.
3. 국어사전의 잠그다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잠그다, 잠가, 잠가서'는 있지만 '잠구다, 잠궈, 잠궈서'는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기본형인 '잠그다'를 확실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좋겠지요?
예문
그는 자물쇠로 책상 서랍을 잠갔다.
그녀는 수도꼭지를 잠그는 것을 깜빡 잊었다.
바람이 많이 부니 외투의 단추를 단단히 잠그고 가거라.
회장님은 무엇이 못마땅하신지 요즈음 입을 잠그고 사신다.
4. 결론, '잠그다' 정리
'잠그다'라는 말은 여닫는 물건을 열지 못하도록 자물쇠를 채우거나 빗장을 거는 것을 '잠그다'라고 합니다. '잠가, 잠가서, 잠그니'로 활용해서 쓰는 말입니다. '잠구다'라고 쓰면 틀린 말이니 주의가 필요하겠지요?
예문
할아버지가 가스 잠그는 것을 자꾸 잊으셔서 걱정이에요.
그녀는 아무도 들어오지 못하게 문을 꼭꼭 잠갔다.
아이들이 나가지 못하도록 방문과 부엌문을 자물쇠로 잠갔다.
여기까지 '잠그다'와 '잠구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정말 좋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지랑이'와 '아지랭이' 이 모음 역행 동화에 대해서 (1) | 2023.11.04 |
---|---|
김윤나 '말그릇' 당신의 말에 당신의 그릇이 보인다 (2) | 2023.11.04 |
'움큼'과 '웅큼' 맞춤법에 올바른 말 (1) | 2023.11.03 |
국어의 5언 9품사 (0) | 2023.11.02 |
띄어쓰기 기본 원칙과 규정 및 단위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