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활유법, 비유법 예시

by 정은정 이야기 2023. 9. 10.
728x90

1. 활유법, 비유법

활유법 예시와 비유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2. 활유법 ​

활유법은 무생물을 생물인 것처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숨을 쉰다거나, 생명 현상을 드러내거나, 감정이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이 활유법입니다.

활유법(活喩法) 活 : 살 활, 喩 : 깨우칠 유, 法 : 법 법 ​

나를 에워싸는 산
​울음 우는 바다

위의 예에서 보는 것처럼 '산'이나 '바다'는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나를 에워싸거나 울음을 울 수 없습니다. 하지만 생명이 없는 무생물을 생명이 있는 것처럼 감정이 없는 것을 감정이 있는 것처럼 표현을 했습니다.​

아마도 글쓴이는 산속에서 산이 주는 자연의 풍요로움에 안긴 느낌이라는 표현을 생생하게 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바다를 보고 있는 글쓴이는 환경오염 등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바다를 보며 그 슬픔을 좀 더 효과적으로 표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런 표현 방법이 활유법입니다.

​​

의인법이 사람이 아닌 대상에 인격을 부여하여 사람처럼 표현하는 것인데 비해 활유법은 사람을 포함하여 생물처럼 대하는 표현 방법입니다.

​3. 활유법 예시 ​

다양한 예시를 통해 활유법에 대해 확실히 이해하도록 하겠습니다.

힘차게 달리는 산맥 ​
긴 날개를 펼친 산 ​

역시 산맥과 산은 생물이 아니기 때문에 달리거나 날개를 펼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표현한 이유는 산맥의 힘찬 기운과 날개를 펼친 듯 멋지게 펼쳐진 산을 좀 더 생생하게 빗대어 표현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꼬리를 감추며 달리는 기차 ​

이 표현 역시 활유법을 사용한 표현입니다. 당연히 꼬리 같은 것은 없는 기차를 보고 글쓴이는 아주 빠르게 달리는 기차를 꼬리를 감추었다고 표현했습니다.

​저녁 해를 집어삼킨 바다 ​

이 표현도 바다 위로 해가 지는 모습을 바다가 해를 집어삼켰다고 표현하여 바다를 살아있는 생물처럼 표현한 활유법입니다.

​​

활유법은 시, 동화, 우화 등과 같은 작품에서 널리 쓰입니다. 표현의 생동성을 높이거나 서정적 정서를 높이는 효과를 거두기 위해 사용합니다.

​4. '활유법'이 사용된 '시' 예시 

목이 긴 메아리가

자맥질을 하는 곳 ​

《유재영, 둑방길》 ​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

《정지용, 향수》 ​

우리가 눈 감고 한 밤 자고 나면

이슬이 나려 와 같이 자고 가고 ​

《정지용, 해바라기 씨》 ​

차창에 서리는 황혼 저 머얼리

노을은

나어린 향수처럼 희미한 날개를 펴고 있었다.

​《김광균, 성호 부근》 ​

모든 산맥들이

바다를 연모해 휘달릴 때에도

차마 이곳을 범하던 못하였으리라.

​《이육사, 광야》 ​

이상하게도 내가 사는 데서는

새벽녘이면 산들이 학처럼 날개를 쭉 펴고

날아와서는

종일토록 먹도 않고 말도 않고 엎뎄다가는

해 질 무렵이면 기러기처럼 날아서

틀만 남겨 놓고 먼 산속으로 간다.

《김광섭, 산》 ​

활유법, 비유법
활유법, 비유법

5. 비유법 ​

글쓴이가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그중 비유법은 표현하려고 하는 대상을 그와 유사한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

비유하여 표현하려고 하는 실제의 대상이나 의미를 원관념이라고 합니다. 원관념의 뜻이나 분위기가 잘 드러나도록 도와주는 대상은 보조 관념이라고 합니다. 나타내려는 원관념과 빗대어지는 보조 관념의 결합으로 표현됩니다.

​​

그래서 원관념과 보조 관념 사이에는 유사성이 있어야 비유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이 비유법은 추상적인 정서나 사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기법입니다. 직접 설명하는 것보다 선명하고 생동감 있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비유법에는 직유법, 은유법, 대유법, 활유법, 의인법, 중의법, 의성법, 의태법, 풍유법 등이 있습니다.

​6. 결론: 활유법, 비유법 정리 ​

활유법은 무생물을 생물처럼 표현하는 수사법입니다. 유재영의 〈둑방길〉에서 '목이 긴 메아리가 자맥질을 하는 곳'의 자맥질은 생물적 표현이기 때문에 ​메아리를 생물처럼 나타낸 활유법이 사용된 표현입니다. 활유법은 숨을 쉰다거나 생명 현상을 드러내거나 감정이 있는 것처럼 표현하는 것입니다.

 

비유법은 직유법, 은유법, 대유법, 활유법, 의인법, 중의법, 의성법, 의태법, 풍유법 등이 있습니다.​

여기까지 활유법 예시와 비유법을 정리했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