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비유와 상징

by 정은정 이야기 2023. 9. 11.
728x90

1. 비유와 상징

비유와 상징의 개념과 구분하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비유와 상징
비유와 상징

​2. 비유의 개념 ​

비유는 표현하려는 대상을 다른 대상에 빗대어 나타내는 표현 방법입니다. 여기서 표현하려는 대상을 원관념이라고 하고 다른 대상을 보조 관념이라고 합니다.

시에서 비유를 사용하면 ​대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것보다 참신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대상을 구체적으로 사물에 빗대어 표현하여 더욱 생생한 느낌을 줍니다.

​3. '비유' 사전적 의미 ​

'비유' 사전적 의미는 어떤 현상이나 사물을 직접 설명하지 아니하고 다른 비슷한 현상이나 사물에 빗대어 설명하는 일입니다. 유의어로 '비교, 은유, 인유'가 있습니다.

​그것 참 적절한 비유네.
​누나는 내가 모르는 것이 있으면 비유를 들어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 주었다.

​4. 비유의 종류 ​

비유의 종류는 많이 있지만 여기서는 '직유', '은유', '의인'으로 비유의 개념을 확실하게 하도록 하겠습니다.​

직유는 '같이', '처럼', '-듯이' 등의 연결어를 활용하여, 한 대상(원관념)을 다른 대상(보조 관념)에 직접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구름에 달 가듯이

가는 나그네 ​

《박목월, 나그네》 ​

은유는 'A는 B이다.' 또는 'A의 B'라는 형식으로 한 대상을 다른 대상에 암시적으로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

나는 나룻배

당신은 행인 ​

《한용운, 나룻배와 행인》 ​

의인은

사람이 아닌 것을 사람처럼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같이 ​

《김영랑, 돌담에 속삭이는 햇발》 ​

5. 상징의 개념 ​

상징은 표현하려는 추상적인 개념을 직접 드러내지 않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여기에서도 추상적인 개념을 원관념, 구체적인 대상을 보조 관념​이라고 합니다.

​​

시에서 상징을 사용하면 ​대상이 지닌 본래의 의미에서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여 보다 넓고 풍부한 의미를 표현할 수 있습니다.

​​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길 새로운 길 ​

《윤동주, 새로운 길》 ​

위의 시에서 '길'의 상징적 의미는 '삶, 인생'입니다.

​​

'인생(삶)'이라는 추상적 개념을 '길'이라는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어 머릿속에 쉽게 떠올릴 수 있도록 도와준 것입니다. 그러면서 시의 주제인 '언제나 새로운 마음으로 인생(삶)을 살아가겠다고 하는 의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6. '상징' 사전적 의미 ​

'상징' 사전적 의미는 추상적인 개념이나 사물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거나 그렇게 나타낸 표지, 기호, 물건 등을 말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표지'라는 말은 어떠한 표시나 특징으로 어떤 사물을 다른 것과 구별하게 하는 것, 또는 그 표시나 특징을 뜻하는 말입니다.

​비둘기를 평화의 상징으로 삼다.
​태극기는 우리 민족정신의 상징이다.

​7. 비유와 상징의 활용 ​

시에서 비유와 상징을 활용하면 ​대상을 참신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대상을 구체적이고 생생하게 표현할 수 있고, 그 대상의 의미를 다양하게 깊이 있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8. 비유와 상징의 구분 ​

비유는 유사성, ​상징은 동일성이라는 말을 기억하면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두 대상이 있을 때 ​비유는 A와 B라는 대상이 비슷하면 비유입니다. 왜냐하면 빗대에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비슷한 것이고 그것이 바로 비유인 것입니다.

​​

'내 마음​은 호수요'라고 말할 때 ​원관념인 '마음'과 보조 관념인 '호수'를 보면 원관념이 겉으로 드러나고, ​'호수'와 '내 마음'은 잔잔하고 평화롭다는 유사성이 있습니다.

​​

하지만 두 대상이 있을 때 ​상징은 A와 B가 비슷한 것이 아니라 동일한 것입니다. 사실 A와 B가 아니라 결국 이야기하고 있는 것은 A와 A인 것입니다.

​​

구체적인 것과 추상적인 것이 동일하다고 보는 것이 상징입니다. 형태가 있는 구체적인 것과 형태가 없는 추상적인 것은 비슷할 수가 없습니다.

​​

예를 들어 '반지'는 '약속' 또는 '결혼'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반지랑 결혼이 닮은 것일 수는 없겠지요? 아니면 반지랑 결혼이 비슷한 것일까요? 비슷한 것일 수는 없고 동일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는 있습니다. 그래서 그 구체적인 것인 '반지'와 추상적인 것인 '결혼'이 동일하면 상징입니다.

​​

비둘기를 ​평화의 상징으로 생각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클로버​를 보고 행운이라고 여기는 것과 같습니다.

 

그래서 비유는 유사성 즉 비슷한 것이고 상징은 동일성 즉 같은 것입니다. 이렇게 근본적인 비교를 통해 비유와 상징을 구분하는 것입니다.

​9. 결론: 비유와 상징 정리 ​

비유는 표현하려는 대상을 그와 비슷한 다른 대상에 빗대어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상징은 인간의 감정, 사상 등의 추상적인 관념을 구체적인 사물로 나타내는 방법입니다. 여기까지 비유와 상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