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조사6

국어의 5언 9품사 1. 국어의 5언 9 품사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한 국어의 5언 9 품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어의 5언은 '체언, 관계언, 용언, 수식언, 독립언'입니다. 그리고 국어의 9 품사는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동사, 형용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입니다. 2. 품사의 정의와 분류 기준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사회 안의 대중을 우리는 언중이라고 합니다. 언중들은 계속 말을 새롭게 만들어 쓰고 있습니다. 우리는 일상에서 어마어마하게 많은 단어를 접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수많은 단어들을 성질이 공통된 것끼리 모아 갈래를 지어 놓은 것을 품사(品詞)​라고 합니다. ※ 品 : 물건 품, 詞 : 말 사 품사는 문장 속에서 단어가 담당하는 기능, 문장 속의 일정한 자리에서 단어가 보이는 형.. 2023. 11. 2.
'일 년 만'과 '한 시간만' 띄어쓰기 1. '일 년 만'과 '한 시간만' '만'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일 년 V 만'과 '일 년만'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 그리고 ​ '한 시간만'과 '한 시간 V 만'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 2. '만' 띄어쓰기 ​ 정답을 확인하겠습니다. '일 년 V 만'이 맞고 '한 시간만' 이 맞습니다. ​​ 의존 명사 '만'은 앞말과 띄어서 씁니다. 그리고 조사 '만'은 앞말에 붙여 씁니다. ​3. 띄어 쓰는 의존 명사 '만' ​'만'이라는 말이 의존 명사로 쓰일 때 아래와 같은 의미로 사용됩니다.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음을 나타내는 말' ​예문 그가 화를 낼 만도 하다. ​이 책은 중학생이 볼 만은 한 내용입니다. ​'앞말이 뜻하는 동.. 2023. 10. 21.
'하던 대로', '마음대로', '대로' 띄어쓰기 1. '대로' 띄어쓰기 '대로'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하던 V 대로'와 '하던대로'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 '마음대로'와 '마음 V 대로' 그러면 위의 문장은 어떻게 띄어쓰기를 하는 것이 맞을까요? 2. '대로' 띄어쓰기 정답 '대로' 띄어쓰기 정답부터 보시겠습니다.​ '하던 V 대로'가 맞고 '마음대로'가 맞습니다.​ '대로'라는 말이​ 의존 명사로 쓰일 때는 띄어 쓰고​ 조사로 쓰일 때는 붙여서 씁니다. 3.​ 띄어 쓰는 '대로' 의존 명사 의존 명사 '대로'라는 말은​ '어떤 모양이나 상태와 같이',​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그 즉시',​ '어떤 상태나 행동이 나타나는 족족'을 뜻하는 말입니다. 의존 명사는 독립된 단어로 당연히 앞말과 띄어서 적습니다.​ .. 2023. 9. 6.
'만큼' 띄어쓰기 의존명사 조사 구분 1. '만큼' 띄어쓰기 '만큼'이라는 말은 앞 말과 붙여서 적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띄어 적는 것이 맞을까요? 이 '만큼'이라는 말의 품사는 '의존명사'로 쓰일 때와 '조사'로 쓰일 때의 띄어쓰기가 다릅니다. 당연히 의존명사일 때는 하나의 단어이기 때문에 띄어서 적습니다. 그리고 조사일 경우에는 앞의 체언이나 조사에 붙여서 적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의존명사와 조사를 구분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띄어 쓰는 의존명사 '만큼' '만큼'이라는 말이 의존명사로 쓰일 때는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집니다. 앞의 내용에 상당한 수량이나 정도를 나타내는 말 주로 어미 '-은, -는, -을' 뒤에 쓰입니다. 예문 1) 노력한 만큼 대가를 얻었습니다. 예문 2) 그는 딸에게 희망을 건.. 2023. 7. 30.
'만' 의존 명사 띄어쓰기 조사 붙여쓰기 1. '만' 띄어쓰기 헷갈리는 띄어쓰기 '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만'은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만'이 의존 명사라면 하나의 단어이니까 띄어 쓰는 것이 맞고, 조사라면 당연히 붙여 쓰는 것이 맞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말은 의존 명사일까요? 조사일까요? 2. 띄어 쓰는 의존 명사 '만' '만'이 의존 명사로 쓰이면 앞말과 띄어 씁니다. 이때 '만'은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진 말입니다. 앞말이 뜻하는 동작이나 행동에 타당한 이유가 있거나 가능함 나타내는 말 예문 1) 그가 화를 낼 만도 하다. 예문 2) 듣고 보니 좋아할 만은 한 이야기입니다. 예문 3) 3시간 동안 연락이 안 되다니, 네가 화날 만하다. 예문 4) 이 책은 중학생이 볼 만은 한 내용입니다. 예문 5).. 2023. 7. 29.
가 이 간 같이 조사 접사 의존 명사 띄어쓰기 1. 가, 이, 간, 같이 띄어쓰기 평소에 헷갈리기 쉬운 '가, 이, 간, 같이'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먼저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단어와 조사, 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한국어의 띄어 쓰는 원칙은 단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두 번째,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시 말하면 '단어'는 띄어 쓰고,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면서 한국어의 띄어쓰기를 익혀야 합니다. 3. 가, 이 띄어쓰기 우리말 문장에는 '행동'과 '그 행동을 하는 주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 행동의 주체를 '주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어떤 단어를 '주어'로 만드는 조사의 이름을 '주격 조사'라.. 2023. 7. 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