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말 좋은 정보

일으키다 이르키다 바른 표기

by 정은정 이야기 2023. 10. 15.
728x90

1. '일으키다'와 '이르키다'

'일으키다'와 '이르키다'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

'어떤 일이 일어나게 하다'라는 말입니다.

일으키다, 이르키다
일으키다? 이르키다?

​2. 일으키다 ​

'일으키다'라고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이르키다'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일으키다'라는 말은 '일어나게 하다'라는 의미와

몸을 일으키다.

'무엇을 시작하거나 흥성하게 하다.'라는 의미 ​

사업을 일으키다.

​'물리적이거나 자연적인 현상을 만들어 내다.'

​메아리를 일으키다.

'어떤 사태나 일을 벌이거나 터뜨리다.'

​사회 문제를 일으키다.

​'생리적이거나 심리적인 현상을 생겨나게 하다.'

​의견 충돌을 일으키다.

​'옷깃 등을 올리다'

​옷깃을 일으켜 세우다.

​위와 같은 뜻을 가진 말입니다.

​3. '일으키다'와 '일'

​'일으키다'라는 말은 '일어나게 하다' 또는 '일게 하다'라는 말과 의미가 연결됩니다.

​​

그래서 표기에 '일'을 밝혀 적는 것입니다.​

같은 의미는 같은 모양으로 적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소리 나는 대로 '이르키다'라고 적으면 안 되는 말입니다.

예문
​넘어진 아이를 안아서 일으켰어요.
​길동이는 늘 말썽을 일으키지.
​그는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학생이었다.

​4. 한글 맞춤법 4장 3절 22항 ​

한글 맞춤법 4장 3절 22항에 따르면 용언 어간 '일-'에 접미사 '-으키-'가 결합할 때는 그 원형을 밝혀 ​'일으키다​'로 적는다.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기-, -리-, -이-, -히-, -구-, -우-, -추-, -으키-, -이키, -애-'가 붙는 것으로 다음과 같습니다.

맡기다 옮기다 웃기다 쫓기다 뚫리다 울리다 낚이다 쌓이다 핥이다 굳히다 굽히다 넓히다 앉히다 얽히다 잡히다 돋구다 솟구다 돋우다 갖추다 곧추다 맞추다 일으키다 돌이키다 없애다 ​

​5. 결론, '일으키다' 정리 ​

'일으키다'라는 말은 일어나게 하다, 어떤 사태나 일을 벌이거나 터뜨린다는 뜻이 있습니다.​

[이르키다]라고 발음하는데, 발음 대로 표기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일으키다'가 올바른 표기라는 것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일으키다'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