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정말 좋은 정보260

'깨끗이'와 '깨끗히'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은? 1. '깨끗이'와 '깨끗히' '깨끗이'와 '깨끗히'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때나 먼지가 없이 말끔하게'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깨끗이 ​ '깨끗이'라고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깨끗히'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깨끗이'라는 말처럼 끝말이 분명하게 '이'로만 소리 나는 것은 '-이'로 적고, '히'로만 나거나 '이'나 '히'로 나는 것은 '-히'로 적는 것입니다. ​​ 발음도 [깨끄시]가 맞는 발음입니다. ​예문 ​저는 깨끗이 세탁해 둔 셔츠를 입고 집을 나섰습니다. ​이 부분을 지우개로 깨끗이 지우세요. ​책상 위를 깨끗이 치우고 공부하자. ​3. '-이'와 '-히'의 구별 ​ '깨끗이'와 '깨끗히'를 구별하는.. 2023. 10. 20.
'설거지'와 '설겆이' 중 바른 표기는? 1. '설거지'와 '설겆이' '설거지'와 '설겆이'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말, 표준어일까요? '먹고 난 뒤의 그릇을 씻어 정리하는 일'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단어입니다. 2. 설거지 '설거지'라고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준어입니다. 이 말을 '설겆이'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예전에는 '설겆다'라는 동사에 '이'가 붙어서 '설겆이'라는 말을 썼었습니다. '설겆다'라는 말은 '설거지하다'의 옛말입니다. 하지만 이제 '설겆다'라는 말이 없어지면서 '설겆다'라는 말에서 온 '설겆이'라는 말도 의미를 전달할 수 없는 말이 된 것입니다. ​ ​그래서 그냥 소리 나는 대로 '설거지'라고 쓰기로 한 것입니다. 예문 살림살이가 규모 있는 집일수록 잔치 설거지가 매서운 법이다. .. 2023. 10. 20.
'되뇌다'와 '되뇌이다' 올바른 말은? 1. '되뇌다'와 '되뇌이다' '되뇌다'와 '되뇌이다' 중 어떤 것이 맞는 말일까요?​ ​ '같은 말을 되풀이하여 말하다.'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2. 뇌다 요즘은 잘 사용하지 않는 말이지만 '뇌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의 뜻은 '지나간 일이나 한 번 한 말을 여러 번 거듭 말하다.'라는 뜻입니다. ​​ '되'라는 말은 '다시' 또는 '되풀이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말입니다.​ ​ 3. 되뇌다 그래서 이 '되뇌다'라는 말은 '(사람이 같은 말을) 되풀이하여 말하다.'라는 의미인 것입니다. ​​ 그리고 이 '되뇌다'라는 말은 주어가 스스로 하는 행동이기 때문에 '이'가 필요 없답니다. ​​ 보통 우리말의 '-이-'는 '사동'이나 '피동'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로 쓰입니다. '시키는 말'이나 .. 2023. 10. 19.
'가량' 띄어쓰기, 한 시간가량? 1. '한 V 시간가량'과 '한 V 시간 V 가량' '한✔️시간가량'과 '한✔️시간✔️가량'중 어떤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일까요? 2. 접미사 '-가량'​ ​가량은 '정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 '가량'은 ' 정도'를 뜻하며 앞말과 붙여 씁니다. 따라서 '한 ✔️시간가량'으로 쓰는 것이 맞습니다.​ ​ '두✔️시간가량', '삼만✔️원가량', '다섯✔️살가량', '이십✔️명가량'처럼 표현합니다. ​​ '가량'은 수량을 나타내는 명사 또는 명사구 뒤에 붙어 '정도'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입니다. ​3. 접미사​ 접미사란 파생어를 만드는 접사로, 어근이나 단어 뒤에 붙어 새로운 단어가 되게 하는 말입니다. 접미사는 문법적 기능과 함께 어휘적 의미도 가지고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선생님'의 '-님'.. 2023. 10. 19.
혼돈 그리고 혼동 구분하기 1. '혼돈'과 '혼동' '혼돈'이라는 말과 ​'혼동'이라는 말에는 ​모두 '뒤섞여 있다'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2. 구분하기 '혼돈'이라는 말은 '마구 뒤섞여 있어 갈피를 잡을 수 없는 상태 자체'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혼동'은 '생각'과 ​관련된다는 점이 ​'혼돈'과는 다릅니다. '구별하지 못하고 뒤섞어서 ​생각한다'라는 의미입니다. 또는 '서로 뒤섞이어 하나가 됨'이라는 뜻입니다. ​​ 상태를 가리킬 때는 '혼돈', ​우리가 생각을 말할 때는 ​'혼동'으로 구분해서 쓰면 됩니다. ​예문, 혼돈과 혼동 ​혼돈 속에서도 자신이 할 일은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 예문, 혼돈 ​그 나라는 극심한 정치적 혼돈으로 국민 복지에 신경 쓸 겨를이 없다. ​외래문화의 무분별한 수입은 가치관의 혼돈을 초래하였다.. 2023. 10. 18.
'같아'와 '같애' 헷갈리는 맞춤법 1. '같아'와 '같애' '같아'와 '같애'라는 말은 어떻게 쓰는 것일까요? 어떤 말이 맞고 어떤 말은 틀린 걸까요?​ ​ '같다'라는 말은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단어입니다. ​2. 같아 ​'같다'라는 말의 말끝에 붙이는 말인 '-아'가 붙어서 '같아'가 만들어졌습니다.​ ​ '좋아', '날아'와 같은 형태의 단어입니다.​ ​ 그렇다면 이것을 확인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국어사전 찾기, '같다'와 '같아' 먼저 '같다'라는 말을 국어사전에 찾아보면 당연히 있습니다.​ ​ '같다'라는 말은 형용사로 '1. 서로 다르지 않고 하나이다. 2. 다른 것과 비교하여 그것과 다르지 않다. 3. 그런 부류에 속한다는 뜻을 나.. 2023. 10. 18.
십상 쉽상 올바른 표현은? 1. '십상'과 '쉽상' 십상'과 '쉽상'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일이나 물건이 마침맞게 썩 잘 어울리거나 아주 알맞은 것', '꼭 맞게'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십상 ​'십상'이라고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쉽상'이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예문 ​고구마는 기근을 이겨 내기에 십상인 구황 작물입니다. ​사전 준비 없이 배낭여행을 떠났다간 낭패를 보기 십상입니다. ​그렇게 무리하다간 감기에 걸리기 십상입니다. ​이 말을 '쉽상'이라고 쓰는 이유는 '쉽다'라는 말 때문입니다. '넘어지기 십상이다.'라는 말을 '넘어지기 쉽다.'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 하지만 '십상'이라는 말은 '쉽다'라는 말과 전혀 관련이 없습니다. ​3. 십상팔구 (十.. 2023. 10. 17.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1.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우리나라'와 '저희 나라'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우리 한민족이 세운 나라를 스스로 이르는 말'이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 ​ 2. 우리나라 ​ '우리나라'라고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저희 나라'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우리나라는 우리가 스스로 '한국'을 나타낼 때 쓰는 말입니다. 이 말을 '저희 나라'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잘못된 표현입니다. ​​ 왜냐하면 '저희'라는 말은 '우리'를 스스로 낮추는 말이기 때문입니다. ​​ 세상에 있는 모든 나라와 민족들은 다 동등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나 다른 민족들 앞에서 우리를 낮추어 표현하는 것은 안 되는 것입니다. ​​ 당당하.. 2023. 10. 17.
육개장 육계장 닭개장 닭계장 어떻게 쓰는 것이 맞을까요? 1. '육개장'과 '육계장' '육개장'과 '육계장'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현일까요?​ ​ '쇠고기를 삶아서 알맞게 뜯어 넣고, 얼큰하게 갖은양념을 하여 끓인 국'을 표현하는 말입니다. ​ 2. 육개장 ​'육개장'이 맞는 말입니다. ​​ '육개장'을 가끔씩 '육계장'으로 오해하시는 분들은 이 음식의 재료를 혼동해서 그럴 수 있습니다. ​​ 중간에 있는 '개'를 '계'로 오해를 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닭 계(鷄)'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 하지만 '육개장'은 닭고기가 들어가 있는 음식이 아니랍니다. 소고기가 들어 있습니다. 그러니 '닭'이 나올 이유가 없겠지요? ​​ '육개장'은 '소고기를 삶아서 넣고 끓인 얼큰한 국'이라는 말이니까 '육계장'으로 잘못 쓰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 그.. 2023. 10. 16.
일찍이 일찌기 올바른 표기 1. '일찍이'와 '일찌기' '일찍이'와 '일찌기'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표기일까요?​ ​'일정한 시간보다 이르게'라는 뜻으로 사용하는 말입니다. 2. 일찍이 '일찍이'라고 쓰는 것이 올바른 표기입니다. 이 말을 '일찌기'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일찍이'라는 말의 기본 의미는 '시간상 일정한 기준보다 이르게'라는 뜻입니다. ​남편은 술도 마시지 않고 퇴근하자마자 일찍이 집으로 들어왔다. 또한 '이른 시기에, 또는 매우 오래전에'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는 일찍이 부모를 여의고 작은아버지 밑에서 자랐다. ​그리고 비슷하지만 '이전에, 또는 이전까지'라는 뜻도 있습니다. ​그는 내가 ​일찍이 알지 못했던 세계를 나에게 보여 주었다. ​3. 일찍 '일찍이'라는 말은 '일찍'과 비슷한 .. 2023. 10. 1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