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정말 좋은 정보260

도치법, 설의법, 인용법, 대구법, 생략법, 문답법, 돈호법, 반어법, 역설법 변화법 정리 1. 변화법 표현 방법 중 도치법, 설의법, 인용법, 대구법, 생략법, 문답법, 돈호법, 반어법, 역설법 등의 변화법을 예시와 함께 정리해 보겠습니다.​ ​2. 변화법 - 변화 주기 ​ 변화법은 표현의 단조로움을 피하고 신선함을 주기 위해서 어구나 서술에 변화를 주는 표현 방법입니다. 문장에 새로운 느낌을 주거나 의미를 강조하는 효과를 얻기 위해 변화를 주는 것입니다. 문장의 어순을 바꾸거나, 질문의 형태를 취하거나, 비슷한 내용을 대칭적으로 배열하는 등 ​다양한 표현 방법이 있습니다. ​3. 도치법 도치법은 문법에 맞는 정상적인 문장의 어순을 바꾸는 변화를 주어서 표현하는 방법입니다.​ 아아, 누구던가? 이렇게 슬프고도 애달픈 마음을 맨 처음 공중에 달 줄을 안 그는. 《유치환, 깃발》 나 보기가 역겨.. 2023. 8. 26.
'장맛비'와 '장마비' 중 바른 표현은? 사잇소리 현상 1. '장맛비'와 '장마비' '장맛비'와 '장마비'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장마 때에 오는 비'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올바른 표현과 사잇소리 현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장맛비 ​ '장맛비'라고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장마비'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장맛비'라는 말은 '장마'라는 말에 '비'라는 말이 합쳐진 말입니다. 둘 사이에 'ㅅ'을 넣어야 하는 낱말인 것입니다. 앞말과 뒷말 사이에 있는 이 'ㅅ'을 사이시옷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을 '사잇소리 현상'이라고 합니다. ​장맛비가 예년보다 오래 계속되면서 곳곳에서 비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어요. ​우리는 쏟아지는 장맛비를 맞으며 운동장.. 2023. 8. 26.
시의 운율과 그 형성 방법에 대한 이해 1. 운율 시의 운율과 운율 형성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시는 마음속에 떠오르는 생각이나 느낌을 함축적이고 운율적인 언어로 형상화한 글입니다. 그렇다면 운율은 무엇일까요? ​ 운율은 시에서 느껴지는 말의 가락 즉 시의 음악성을 뜻하는 말입니다. ​2. 외형률과 내재율 운율은 크게 외형률과 내재율로 나눌 수 있습니다. 외형률은 시를 읽을 때 말의 가락이 겉으로 드러나는 운율입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 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 시조》 내재율은 말의 가락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고 안에서 은근히 느껴지는 운율입니다. ​내 마음은 호수요, 그대 노 저어 오오 ​ 《김동명, 내 마음은》 시의 운율은 특정한 위치에 같은 음운이 규칙.. 2023. 8. 25.
짓궂다 짖굳다 짖궂다 중 올바른 표현 찾기 1. 짓궂다, 짖굳다, 짖궂다 '짓궂다'와 '짖굳다'와 '짖궂다'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올바른 표현일까요? '장난스럽게 남을 괴롭고 귀찮게 하여 달갑지 아니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 2. 짓궂다 ​ '짓궂다'라고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말을 '짖굳다' 또는 '짖궂다'라고 잘못 적지 않도록 조심해야 합니다.​ ​ '짓궂다'라는 말은 '짓'과 '궂다'라는 말이 합쳐진 말입니다. ​우리 아이가 조금 짓궂어서 데리고 계시기 힘드셨죠? ​그는 지나가는 사람에게 짓궂은 장난을 하여 혼쭐이 났어요. ​ 3. 짓​- ​'짓-'이라는 말은 접사로 일부 동사 앞에 붙어서 '마구', '함부로', '몹시'의 뜻을 더하는 접두사로 쓰입니다. 예를 들어 '짓누르다, 짓밟다, 짓이기.. 2023. 8. 25.
'떨어트리다'와 '떨어뜨리다' 올바른 표현 1. '떨어트리다'와 '떨어뜨리다' '떨어트리다'와 '떨어뜨리다'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일까요? 기본 의미로 '위에 있는 것을 아래로 내려가게 하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는 말입니다. ​2.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라고 쓰는 것 모두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표현입니다. 이 두 말은 같은 뜻을 가지고 있으며 둘 다 맞는 표현입니다.​ ​ '위에 있는 것을 아래로 내려가게 한다', '뒤에 처지게 하거나 남게 한다'는 뜻을 가진 말입니다. ​​ 우리는 너무 놀라서 들고 있던 책을 바닥에 떨어트렸어요. ​선생님의 호된 꾸지람에 아이들은 눈물을 떨어트렸어요. ​필통을 어디에 떨어뜨리고 왔는지 가방 안을 아무리 뒤져도 없어요. ​기업이 서로 경쟁을 하면 회사는 유사.. 2023. 8. 24.
국어의 단모음, 이중 모음, 반모음 1. 모음 국어의 모음은 소리를 낼 때 공기의 흐름이 발음 기관의 장애를 받지 않고 만들어지는 소리를 말합니다. 국어의 단모음, 이중 모음, 반모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단모음, 이중 모음 국어의 모음 중에서, 소리를 낼 때 중간에 입술이나 혀의 모양이 바뀌지 않는 모음을 단모음이라고 합니다. ​ 그리고 ​소리를 낼 때 중간에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일정한 자리에서 시작하여 다른 자리로 옮겨 가면서 나는 소리가 있는데, 이것을 이중 모음이라고 합니다.​ ​ 단모음 10개 소리 내는 방법 : 발음할 때 입술이나 혀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음. ​해당 모음 : ㅏ, ㅔ, ㅓ, ㅐ, ㅗ, ㅚ, ㅜ, ㅟ, ㅡ, ㅣ 이중 모음 11개 소리 내는 방법 : 발음할 때 입술 모양이 바뀌거나 혀가 움직임 ​ 해.. 2023. 8. 24.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 1.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 우리가 다 잘 알고 있을 것 같지만, 사실 잘 모르고 있는 한글 자음과 모음의 순서와 이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한글 맞춤법은 문교부 고시 제88-1호(1988.1.19)에 따라 1989년 3월 1일부터 시행하게 된 맞춤법이 2014년 10월 27일 의 용법을 보완하여 일부 개정 고시되고,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규정을 다시 2017년 3월 28일 문화체육관광부 고시 제2017-12호로 일부 수정한 것이 현재의 《한글 맞춤법》입니다. ​​ 2. 한글 맞춤법 제4항 ​ 한글 맞춤법 제4항에 한글 자모의 이름이 함께 표기되어 있는데 일부러 이름을 표기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름을 어떻게 쓰는 것이 맞는지 한번 맞춰보시기 바랍니다. ​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 2023. 8. 23.
'비음 동화'와 'ㄹ비음화' 1. 비음 동화, ㄹ비음화 우리말 음운의 변동 현상 중에 비음화(비음 동화)와 'ㄹ'의 비음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동화 동화(同化)는 한 음운이 앞이나 뒤에 있는 음운의 영향을 받아 서로 닮는 현상입니다. 말 그대로 '같아진다'라는 뜻입니다. ​※ 同 : 한가지 동 化 : 같을 화 ​ ​ 비음화(비음 동화)와 유음화를 합쳐서 자음동화라고 합니다. 국 → [국] 물 → [물] 국물 → [궁물] 위의 두 발음을 비교했을 때 달라지는 소리를 찾아보시기 바랍니다.​ ​ 맞습니다. '국'의 발음이 달라졌습니다.​ ​ 이것은 안울림소리인 받침 [ㄱ] 뒤에서 이어서 오는 울림소리 [ㅁ]을 편하게 발음하기 위해서, [ㄱ]이 자신의 성격을 버리고 같은 위치에서 소리 나는 울림소리 [ㅇ]이 된 것입니다. ​​ 이.. 2023. 8. 23.
육하원칙 개념과 적용하는 방법 1. 육하원칙 개념 육하원칙이란 보도 기사 등의 문장을 쓸 때 지켜야 하는 기본적인 원칙입니다.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어떻게, 왜'의 여섯 가지를 뜻하는 말입니다. 육하원칙(5 W1 H)은 정보를 체계적으로 조직하고 전달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기자와 작가 등 많은 전문가들이 이를 업무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육하원칙'이라는 이름은 영어 '5 W1 H'의 번역으로서, 각 글자는 그 첫 글자를 따온 것입니다. 이 원칙은 이렇게 6가지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1. 누가 (Who) - 누가 관련이 있는지, 주체를 파악하는 질문입니다. 1.2. 무엇을 (What) - 어떤 사건이나 현상, 행동 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입니다. 1.3. 언제 (When) - 사건이나 현상이 발생한 .. 2023. 8. 22.
논설문의 개념과 필요한 자료 수집, 근거를 제시하는 방법 1. 논설문의 개념 논설문은 어떤 주제에 관하여 자기의 생각이나 주장을 체계적으로 밝혀 쓴 글입니다. 흔히 주장하는 글이라고도 합니다. 논설문의 목적은 독자를 설득시키는 것입니다. 논설문이란 주로 각종 신문지나 잡지에 게재되는 글로, 사람들이 흔히 '칼럼'이라고도 부릅니다. 이 글들은 언론을 통해 여론을 형성하거나 화두를 던지는 등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 논설문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1.1. 주제 선정: 논설문 작성자들은 시사 이슈, 경제, 정치,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에 걸친 다양한 주제를 다룹니다. 이를 통해 독자들의 관심을 끌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1.2. 독자와의 대화: 논설문은 작성자의 의견을 전달하는 동시에 독자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습니다. 따라서 논설문에.. 2023. 8. 2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