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정말 좋은 정보260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 쉽게 알아보기 1.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 세종대왕은 조선의 제4대 왕(1397~1450, 재위 1418~1450)입니다. 이름은 도(祹)이고, 자는 원정(元正)이며, 시호는 장헌(莊憲)입니다. 1418년에 왕세자에 책봉되고, 그해 8월에 22세의 나이로 태종의 왕위를 받아 즉위하였습니다. 집현전(集賢殿)을 두어 학문을 장려하였고, 유교 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 제도를 정비하였으며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 사업을 이루었습니다. 또한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 농업과 과학 기술의 발전, 의약 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의 제정, 국토의 확장 등 수많은 사업을 통하여 민족 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였습니다. 여기서는 세종대왕의 생애와 업적에 대해 누구나 이해할 수 있는 쉬운 말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세종.. 2023. 8. 14.
훈민정음의 이해, 만들어진 이유, 한글 발전에 미친 영향, 한글 사랑을 실천하는 방법 1.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리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입니다. 1443년에 세종대왕이 창제한 우리나라 글자입니다. 조선 세종 28년인 1446년에 훈민정음 28자를 세상에 반포할 때 찍어 낸 목판본 해설서가 있습니다. 전권 33장 1 책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세종이 훈민정음 창제의 취지를 밝힌 '어제 서문', 자음자 17자와 모음자 11자로 모두 28자의 음가와 운용 방법을 설명한 '예의', 훈민정음을 해설한 '해례', 정인지 '서'로 되어 있습니다. 훈민정음은 1997년에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자랑스러운 우리나라의 국보입니다. 참고로 1962년에 국보로 지정되었습니다. 2. 훈민정음의 이해 세종대왕은 조선 시대의 네 번째 왕으로, 그의 업적 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2023. 8. 14.
목적에 따른 글 읽기, 설명문과 논설문 1. 목적에 따른 글 읽기 목적에 따른 글 읽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어떤 목적으로 쓰인 글인지를 미리 알고 그에 맞게 글을 읽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정보를 전달하는 글, 설득하는 글, 사회적 상호 작용의 글, 정서 표현의 글로 구분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가장 많이 만나게 되는 설명문과 논설문에 대해서는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정보를 전달하는 글 정보를 전달하는 글은 글쓴이가 어떤 대상에 대한 정보를 알리고 설명하려는 목적으로 쓴 글입니다. 예를 들어 설명문, 보고문, 전기문, 기사문, 기행문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글들의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내용이 쉽고, 정확하며, 신속하게 전달하는 것이 중요함 개요, 목차, 제목, 요약문 등이 글의 내용을 이해하는 .. 2023. 8. 13.
인문 사회 과학 기술 예술 분야 제재에 따른 글 읽기 1. 제재에 따른 글 읽기 제재(題材)라는 것은 '제목 제'와 '재목 재'라는 한자어입니다. 문학이나 예술 작품에서 주제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선택되는 이야기의 재료를 뜻하는 말입니다. 비슷한 말로는 소재, 재료, 거리, 주제 등이 있습니다. 다양한 글 읽기에서 그 분야에 대한 이해를 먼저 하고 책이나 글을 읽는 것은 아주 중요합니다. 여기서는 인문 분야의 글, 사회 분야의 글, 과학 · 기술 분야의 글, 예술 분야의 글에 대한 배경지식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또한 어떤 방향으로 읽어야 하는지에 대한 방법도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런 후에 글을 읽으면 좀 더 효율적인 독서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2. 인문 분야의 글 읽기 인문 분야의 글은 인간 존재에 대한 철학적 탐구와 인간의 지적 활동을 담고 있습.. 2023. 8. 13.
독서의 수행 사실적 추론적 비판적 감상적 창조적 독해 1. 독서의 수행 독서의 수행에 있어서 읽기의 사실적, 추론적, 비판적, 감상적, 창조적 독해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독해'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글을 읽어서 뜻을 이해함'이라는 말입니다. 2. 사실적 독해 사실적 독해는 글에 드러난 정보를 확인하는 읽기입니다. 다시 말해 글에 나타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들 사이의 의미 관계와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사실적'이라는 말의 사전적 의미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려 내는 것'이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글의 전개 방식과 구조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 지식과 경험, 글에 나타난 정보, 맥락 등을 이용하여 중심 내용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또한 독서 목적에 따라 글의 특정 부분을 선별하여 정보를 파악하는 것과 .. 2023. 8. 12.
독서의 특성 및 절차 1. 독서의 특성과 독서의 절차 독서의 특성과 독서 절차에 대해 알아보면서 깊이 있는 독서의 세계를 함께 탐험하도록 하겠습니다. 독서의 매력을 풀어보는 여정에 함께 동참해 보시기 바랍니다. 2. 독서의 특성 소개 독서는 단순히 글자만 읽는 것이 아닌, 인간의 개성 발현, 소통 강화, 세계 이해, 인간 이해, 철학적 사유, 언어능력 향상 등 여러 가지 면에서 효과가 있는 활동입니다. 이제 하나씩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성 발현: 고요한 밤, 혼자서 시를 읽고 있는 독자를 상상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에서 느낀 감동과 공감과 웃음을 자신만의 글로 표현한다면 얼마나 행복할까요? 독서를 통해 창의력과 상상력을 키우며 자신만의 감성을 표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2) 소통 강화: 독서를 통해 다양한 이.. 2023. 8. 12.
'본데, 본때' 없다 정확한 뜻은 무엇일까? 1. 본데없다? 본때 없다? ‘본데없다’와 ‘본때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본데’와 ‘본때’를 혼동해서 사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이 두 표현의 정확한 뜻은 혼동된 체 사용되는 경우도 참 많은 것 같습니다. 여기서는 '본데'와 '본때'라는 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본데 ‘본데’라는 말은 명사로 순우리말입니다. 그 사전적 의미는 ‘보아서 배운 범절이나 솜씨 또는 지식’을 말합니다. 비슷한 말로는 '교양, '예의', '지식' 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본데없다’라고 하면, 보고 배운 것이 없다든지, 행동이 예의범절에 어긋나는 데가 있다는 뜻입니다. 예문) 그는 숫기가 없어 모르는 사람들로부터 본데를 가지지 못했다는 오해를 많이 받습니다. 3. 본데없다 그런.. 2023. 8. 11.
해수욕장 불꽃놀이는 불법이라는 말 1. 해수욕장 불꽃놀이 해수욕장 불꽃놀이는 불법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말에 대한 사실 여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불꽃놀이는 해수욕장에서 정말 많이 합니다. 해수욕장 근처 가게에서 버젓이 불꽃놀이용 폭죽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가벼운 마음으로 불꽃놀이를 구매해서 즐기고 있는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해마다 해수욕장 불꽃놀이로 인한 부상 등 사건사고 소식도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과연 해수욕장 불꽃놀이는 불법일까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을 가지고 와봤습니다. 2. 해수욕장법 해수욕장 불꽃놀이가 불법이라는 보도도 굉장히 많이 나옵니다. 이 보도들은 빠짐없이 관련 법이 등장을 합니다. 바로 해수욕장에 이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줄여서 해수욕장법이라고 부르는 법이라고 합니다. 이 법 .. 2023. 8. 11.
띄어쓰기를 잘하는 방법 1. 띄어쓰기를 잘하는 방법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우선 단어가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단어에 대한 지식이 바탕이 되어야 이를 문장이나 의미로 확대 적용하여 띄어쓰기를 바르게 할 수 있습니다. 더불어 사전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2. 띄어쓰기란 무엇인가 띄어쓰기는 근본적으로 단어 단위를 인식하여 표기에 반영하는 언어활동입니다. 어떤 단어를 써서 어떤 구조로 문장을 쓸 것인지 판단할 수 있어야 띄어쓰기를 정확하게 할 수 있습니다. 3. 단어의 개념 단어의 개념을 알아볼 수 있도록 잠깐 문제를 풀어 보겠습니다. 다음 중 띄어쓰기가 올바른 것은 무엇일까요? 1번: 70 V 여송이 V 장미 2번: 70여 V 송이 V 장미 두 번째, ‘70여 송이 장미.. 2023. 8. 10.
막내동생 막냇동생 등교길 등굣길 사이시옷 사잇소리 현상 1. 막내동생? 막냇동생? 등교길? 등굣길? 최근에 "방송인 박 OO 씨의 막냇동생 부부가 큰형 부부의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해 자신의 명의로 된 급여 계좌가 있는지 몰랐다고 주장했다."라는 신문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이 기사를 보고 지인분께서 "오타 아닌가?"라고 말씀하시는 것을 들었습니다. 그래서 사이시옷과 사잇소리 현상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의 뉴스 속보 제목으로 "하늘길, 뱃길, 등교길'도 끊는 태풍 '카눈'이라는 제목이 눈에 들어옵니다. 우리는 신문 기사나 TV에 나오는 글들은 다 맞춤법에 올바른 글이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인들도 따라 쓰는 경우가 참 많습니다. 하지만 모두 다 맞지는 않는다는 것이 사실입니다. 신문 기자님도 헷갈리는 한국어의 사잇소리 .. 2023. 8. 1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