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정말 좋은 정보260

주제 한자말 순우리말 1. 주제 한자말과 순우리말 '주제'라는 말은 흔히 사용하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 '주제'라는 말을 국어사전에서 찾으면 1번에서 7번까지의 '주제'가 나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그 '주제'라는 말은 한자말일까요? 아니면 순우리말일까요? 여기서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두 가지 '주제'라는 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한자말 '주제' '주제'라는 말 중에 한자로 된 주제라는 말은 국어사전에 4번 단어입니다. 하지만 인터넷 사전에서 찾아보면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말이라서 맨 앞에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주제'라는 말은 한자로 '主題'라고 쓰는 말입니다. '주인 주, 제목 제'라는 한자어입니다. 이 말의 사전적 의미는 '대화나 연구 따위에서 중심이 되는 문제', '예술 작품.. 2023. 8. 9.
한국어 체언 이해하기 1. 한국어의 체언이란 무엇인가 오늘은 한국어의 체언에 대해 알아볼까 합니다. 체언이라는 말은 문장에서 '주어' 등의 기능을 하는 말입니다. 체언(體言)은 '몸 체'라는 글자에 '말씀 언'이라는 글자입니다. 말 그대로 문장에서 '몸'의 역할을 하는 단어들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글 속에서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명사, 대명사, 수사를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이야기를 풀어보겠습니다. 2. 명사: 사물, 생각, 감정을 그린 단어 명사는 한국어 체언 중 가장 기본적인 구성 요소입니다. 이름, 생활 속의 물건,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들이 명사가 됩니다. 애완견 '뽀삐', 컴퓨터를 나타내는 '노트북', 그리고 방탈출 게임에서 아슬아슬하게 승리한 순간의 '감동'까지 넓은 범위의 단어들이 명사를 이룹니다.. 2023. 8. 9.
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 1. 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 품사는 한자어로 '品詞'라고 씁니다. '물건 품', '말 사'라는 글자입니다. 한국어에서 성질이 비슷한 낱말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낱말들을 모두 모아놓고 성질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놓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품사라고 부릅니다. 한국어의 품사는 총 9가지로 나눕니다. 이것을 9 품사라고 부릅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동사, 형용사, 조사, 감탄사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2. 형태 변화에 따른 분류 문장에서 사용될 때 형태가 변하는 것을 가변어, 변하지 않는 것을 불변어라고 부릅니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형, 책, 나무,.. 2023. 8. 9.
한국어 형태소, 언어의 기초 이해 1. 형태소란 무엇인가? 한국어를 이해하려면 형태소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형태소란 한국어에서 가장 작은 의미 단위로, 원어를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언어적 성분을 말합니다. 이 설명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사랑스러운'이라는 단어에서 '사랑'이라는 명사와 '스럽'이라는 어간, 그리고 'ㄴ'이라는 어미는 각각 독립적인 형태소입니다. 하늘이 참 높고 푸르다. 위의 문장에서 형태소는 7개입니다. '하늘', '이', '참', '높', '고', '푸르', '다'를 형태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형태소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입니다. 2,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무슨 차이? 한국어 형태소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그것은 '자립 형태소'와 '.. 2023. 8. 8.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1. 한글 띄어쓰기의 필요성 여러분은 띄어쓰기의 필요성을 체감해 보신 적 있으십니까? 생활 속에서 일어날 법한 예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이 비서님, 미안하지만 나물좀갖다주세요! A 회사에서 비서로 일하는 이 모 씨, 어느 날 팀장님으로부터 메시지 한 통을 받게 됩니다. 이 메시지를 받은 이 모 씨는 그 순간 당혹스러웠습니다. 이는 팀장님이 가져다 달라는 것이 물인지 나물인지 판단하기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이와 같이 띄어쓰기는 문자와 인터넷이 발달한 현대 사회에서 더욱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2. 띄어쓰기 필요성에 대한 과거의 예 그렇다면 과거에는 어땠을까요? 띄어쓰기의 필요성은 1896년에 창간된 『독립신문』에서부터 강조되었습니다. 국문으로만 글을 쓰되, 구절을 띄어 씀으로써 글 읽기의 편의를 도.. 2023. 8. 8.
한국어 띄어쓰기의 유래 1. 한국어 띄어쓰기 ‘사랑해보고싶어.’ 여러분은 이 문장을 어떻게 해석하시겠습니까? 사람에 따라 ‘사랑해. 보고 싶어.’로 해석할 수도 있고, ‘사랑, 해 보고 싶어.’가 될 수도 있습니다. 이처럼 문장은 띄어쓰기에 따라 의미하는 바가 달라집니다. 여기서는 띄어쓰기란 무엇이며 어떻게 유래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 올바른 언어생활의 기본은 띄어쓰기입니다. 하지만 문법에 따라 알맞게 쓰기가 좀처럼 쉽지 않습니다. ‘함께 하다’와 ‘함께하다’ 둘 중 어떤 표기가 맞을까요? 정답은 ‘둘 다’입니다. 하지만 이 띄어쓰기에 따라 뜻이 다르게 해석됩니다. ‘회의를 함께 하다’처럼 구체적인 행위를 한꺼번에 할 때, 혹은 구체적인 행위를 누군가와 함께 하는 경우에는 부사인 ‘함께’와 동사인 ‘하다’.. 2023. 8. 7.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과 다른 언어와의 차이점 1.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과 다른 언어와의 차이점 오늘은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과 다른 언어와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한국어는 독특한 문장 구조와 표현 방식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한국어의 아름다움을 더해주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한국어와 다른 언어를 비교하는 것은 그 언어의 특징을 더 잘 이해하고, 학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2. 한국어의 통사적 특징 통사적 특징은 언어의 문장 구조와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다루는 것으로, 각 언어의 문법 체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어는 주로 다음과 같은 통사적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SOV (Subject-Object-Verb) 언어: 한국어는 주어-목적어-동사 순서를 따르는 언어입니다. 이는 문장의 서술어(보통 동사)가 문장의 끝에 위.. 2023. 8. 7.
한글의 형태론, 첨가어와 교착어의 역할과 활용 예시 1. 한글의 형태론과 언어 다양성 이해하기 한글은 음운론, 표기체계, 질서 및 통사적 특성 등 다양한 형태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첨가어와 교착어는 한글의 언어 다양성과 활용성을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첨가어는 접사를 통해 단어의 의미나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내는 형태를 말하며, 교착어는 접사가 단어의 의미를 변화시키거나 문법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형태를 의미합니다. 이들을 이해하고 적절하게 활용함으로써 언어 표현력을 향상할 수 있습니다. 2. 첨가어의 활용 예시 한글에서 첨가어는 단어에 접사를 추가하여 의미나 문법적인 기능을 나타냅니다. 첨가어의 활용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1) 동사 '가다'에 '-ㄴ' 접사를 붙여 '가는'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는 학교에.. 2023. 8. 6.
도와드리다 도와 드리다 붙여쓰기 띄어쓰기 1. '도와드리다'와 '도와 V 드리다' '도와드리다'라고 붙여 쓰는 것이 맞을까요? '도와 V 드리다'라고 띄어 쓰는 것이 맞을까요? 평소에 자주 사용하는 '드리다'라는 말의 의미와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도와드리다'와 '도와 V 드리다' 중 올바른 말 먼저 정답부터 공개합니다. '도와 드리다', '깨뜨려 버리다', '써 보다', '해 주다' 등의 말들은 띄어 쓰는 것이 원칙이지만 붙여 쓰는 것도 가능합니다. 정답을 아시고 놀라시는 분들도 있으시리라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왜 붙여 써도 맞고 띄어 써도 맞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3. 드리다 먼저 '드리다'라는 말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어사전에서 '드리다'라는 말을 검색하면 드리다는 1번에서부터 7번까지의 '드리다'로 설명하.. 2023. 8. 6.
나들목 뜻 역할 인터체인지 순우리말 1. 나들목 '나들목'은 드나들 때 거치게 되는 길목입니다. 여기서는 '나들목'이라는 순우리말의 뜻과 '나들목'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나들목 뜻 '나들목'이라는 말의 품사는 명사입니다. 주로 교통 용어로 쓰이는 말이입니다. 도로나 철도 등에서, 사고가 일어나거나 교통이 지체되는 것을 막기 위해 교차 지점을 입체적으로 만들어서 신호 없이 다닐 수 있도록 한 시설입니다. 교통이 혼잡한 곳이나 고속도로 등에 설치합니다. 비슷한 말로는 아이시(IC), 인터체인지(interchange), 입체 교차 등이 있습니다. 예문 1) 서울로 향하는 버스는 나들목에서 고속도로에 들어섰습니다. 예문 2) 나들목 부근에 정체가 있어요. 예문 3) 나들목 부근의 교통 정체로 차들이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2023. 8.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