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
1. 한국어 품사 분류 기준 품사는 한자어로 '品詞'라고 씁니다. '물건 품', '말 사'라는 글자입니다. 한국어에서 성질이 비슷한 낱말끼리 모아 분류해 놓은 것을 '품사'라고 합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낱말들을 모두 모아놓고 성질이 비슷한 것끼리 묶어 놓으면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것을 우리는 품사라고 부릅니다. 한국어의 품사는 총 9가지로 나눕니다. 이것을 9 품사라고 부릅니다. 명사, 대명사, 수사, 관형사, 부사, 동사, 형용사, 조사, 감탄사가 있습니다. 한국어의 품사는 '형태', '기능', '의미'를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2. 형태 변화에 따른 분류 문장에서 사용될 때 형태가 변하는 것을 가변어, 변하지 않는 것을 불변어라고 부릅니다. 형태가 변하지 않는 단어: 형, 책, 나무,..
2023. 8. 9.
한국어 형태소, 언어의 기초 이해
1. 형태소란 무엇인가? 한국어를 이해하려면 형태소라는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형태소란 한국어에서 가장 작은 의미 단위로, 원어를 더 이상 분리할 수 없는 언어적 성분을 말합니다. 이 설명을 좀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예시를 들어 보겠습니다. '사랑스러운'이라는 단어에서 '사랑'이라는 명사와 '스럽'이라는 어간, 그리고 'ㄴ'이라는 어미는 각각 독립적인 형태소입니다. 하늘이 참 높고 푸르다. 위의 문장에서 형태소는 7개입니다. '하늘', '이', '참', '높', '고', '푸르', '다'를 형태소로 나눌 수 있습니다. 다시 한번 정리하면 형태소란 뜻을 가진 가장 작은 말의 단위입니다. 2, 자립 형태소와 의존 형태소, 무슨 차이? 한국어 형태소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됩니다. 그것은 '자립 형태소'와 '..
2023. 8.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