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정말 좋은 정보260

낫다 낳다 한글 맞춤법에서 헷갈리는 두 어휘 잘 알고 사용하기 1. '낫다'와 '낳다' '낫다'와 '낳다'는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 단어입니다. 이 두 단어의 의미와 맞춤법에 적절한 사용법을 공부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2. 낫다와 낳다의 기본적인 의미 '낫다'는 상태가 좋아지다, 개선되다, 더 나은 선택을 의미합니다. '낫다'는 물건이나 무엇인가의 특성, 가치 등이 더 좋게 지향되는 것입니다. 반면에 '낳다'는 동물이나 사람이 새끼를 태어나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말입니다. 더 넓은 의미로 생각이나 생명을 형성하다, 또는 어떤 사건, 결과를 가져오다로도 사용됩니다. 예문 1) 서민들 살기에는 아무래도 겨울보다 여름이 낫다. 예문 2) 형보다 동생이 인물이 낫다. 예문 3) 그는 전에 다니던 회사보다 대우가 더 나은 회사로 옮겼다. 예문 4) 집안 살림이 전보다.. 2023. 7. 13.
날 내 대 대로 띄어쓰기 1. '날', '내', '대', '대로' 띄어쓰기 '날, 내, 대, 대로' 헷갈리는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소풍날'과 '소풍 날', '개학날'과 '개학 날', '학교 내'와 '학교내', '일 대 일'과 '일대일', '너대로'와 '너 대로', '있는 대로'와 '있는대로' 이 말들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올바른 띄어쓰기인지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날 먼저 정답부터 공개하겠습니다. '소풍날'과 '개학 날'이 맞는 말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보니 좀 이상한 생각이 드실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소풍날'이라는 말에서의 '날'은 붙여 적었고, '개학 날'이라는 말에서의 '날'은 띄어 적었기 때문입니다. 도대체 왜 그러는 것일까요? 그것은 국어사전을 찾아보면 바로 알 수 있습니다... 2023. 7. 12.
구나 그동안 그중 띄어쓰기 1. '구나', '그동안', '그중' 띄어쓰기 '예쁘구나'와 '예쁘 구나' 중 어떻게 쓰는 것이 올바른 띄어쓰기일까요? '그동안'과 '그 동안' 중 어떻게 쓰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띄어쓰기일까요? '그중에서'와 '그 중에서' 중 어떤 말이 바르게 사용한 말일까요? '구나, 그동안, 그중'이라는 말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구나 '-구나'라는 말은 '어미'입니다. 우리말의 '어미'는 용언, 즉 동사와 형용사가 활용할 때 변하는 부분입니다. 어미는 단어의 끝에 오는 '어말 어미'와 어말 어미 앞에 오는 '선어말 어미'로 나눌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구나'라는 어미는 '이다'의 어간, 형용사 어간 또는 어미 '-으시-', '-었-', '-겠-' 뒤에 붙어서 쓰입니다. 그 뜻으로는 '해라'라고 .. 2023. 7. 12.
건투 권투 교제 교재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맞춤법 '건투'와 '권투'라는 말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맞춤법에 맞는 것일까요? '교제'와 '교재'라는 말도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릴 수 있는 말입니다.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건투'와 '건투', '교제'와 '교재'라는 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건투 건투는 '건승'과 '투지'의 합성어로, 어떤 도전이나 고난을 이겨내기를 희망하며 응원하는 말입니다. 이 단어는 주로 시험, 입시, 경기, 연주회 등 중요한 일을 앞두고 성공을 기원할 때 사용됩니다. 예문 1: "수능을 잘 볼 수 있게 건투를 빌어!" 예문 2: "오늘 공연도 파이팅! 건투를 기원합니다!" 2. 권투 권투는 두 선수가 경기장에서 가죽 장갑을 착용해 승부를 겨루는 스포츠입니다. 공격과 방어를 균형 있게 전개하며 상대를 제압하는.. 2023. 7. 5.
그러므로 그럼으로 맞춤법 형태와 의미 구별하기 '그러므로'와 '그럼으로'는 발음이 같고 뜻도 비슷해서 혼동되는 단어입니다. 하지만 분명히 의미가 다른 말입니다. 이들은 발음으로는 구별이 되지 않지만 형태와 의미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러므로'와 '그럼으로'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러므로 '그러므로'라는 말의 품사는 '부사'입니다. 앞의 내용이 뒤의 내용의 이유나 원인, 근거가 될 때 쓰는 접속 부사입니다. 접속부사라는 것은 앞의 체언이나 문장의 뜻을 뒤의 체언이나 문장에 이어 주면서 뒤의 말을 꾸며 주는 부사를 말합니다. 예를 들어 '그러나', '그런데', '그리고', '하지만'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그러므로'는 문장과 문장을 연결할 때 쓰입니다. '그러므로' 앞에 놓인 문장이 원인이 되고 뒤에 놓인 문장이 결과가 되는 것.. 2023. 7. 5.
거치다 걷히다 곧 곳 차이 알아보기 1. 거치다, 걷히다, 곧, 곳 자주 사용하는 말이지만 평소에 헷갈리기 쉬운 '거치다, 걷히다', '곧, 곳'이라는 말의 차이는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한글 맞춤법에 익숙해지는 방법은 바른말에 대해 정확하게 알고 자주 사용하는 것입니다. 2. 거치다 우리에게 익숙한 '거치다'란 단어는 '어디를 지나다'의 뜻을 가집니다. 그리고 '어떠한 과정이나 단계를 거쳐 가는 것'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면, "학교에서 학원으로 가려면 문구점을 거쳐야 해", "일을 시작하기 전에 교육을 거쳤다"와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것은 노력이나 시간 등이 사용되는 과정이 도입되어, 목표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단계를 표현할 때도 쓰입니다. '거치다'는 여러 상황에서 적합한 표현이므로 다양한 문맥에서 사용됩니다. .. 2023. 7. 4.
띄어쓰기 필요성 원칙 1. 띄어쓰기 한글 사용 시 띄어쓰기의 필요성과 띄어쓰기의 원칙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띄어쓰기를 잘하기 위해서는 한국어의 다양한 문법적 체계와 특성을 이해해야 하는 만큼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날마다 국어사전을 가까이하며 우리말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익히면 누구나 잘할 수 있습니다. 2. 띄어쓰기의 필요성 띄어쓰기가 필요한 이유는 첫 번째, 독서의 효율을 높여줍니다. 예를 들어 붙여 쓴 '아버지가방에들어가신다.'라는 말과 띄어 쓴 '아버지가 방에 들어가신다.'라는 말은 읽는 사람에 따라 다른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한글에 있어서 모든 말을 붙여서 사용한다면, 들인 노력과 얻은 결과의 비율인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이해하기 어려운 말을 해석해 내기 위해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기 .. 2023. 7. 4.
개 거야 걸 것 겸 띄어쓰기 1. 개, 거야, 걸, 것, 겸 띄어쓰기 자주 혼동되는 띄어쓰기 '개, 거야, 걸, 것, 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개' 띄어쓰기 '한 개', '두 개' 할 때의 '개'는 물건을 세는 단위로 띄어 씁니다. 이 말은 의존 명사이고, 낱개로 된 물건을 세는 단위를 나타내는 말입니다. 예문) 의존 명사 '개' 띄어쓰기 사탕 한 개. 사과 몇 개. 빵 한 개만 사 오너라. 별을 한 개 두 개 다 세려면 얼마나 오래 걸릴까요? 이 물건은 세 개씩 묶어서 팝니다. 볼이 네 개가 연속하여 들어오면 타자는 일루에 진루할 수 있다. 그러나 '1, 2, 3'과 같이 아라비아 숫자가 앞에 올 때는 앞말에 붙여서 씁니다. '2개, 3개'처럼 쓰는 것이 맞습니다. 3. '거야' 띄어쓰기 '거야'라는 말은 '것이야'라는.. 2023. 7. 3.
가 이 간 같이 조사 접사 의존 명사 띄어쓰기 1. 가, 이, 간, 같이 띄어쓰기 평소에 헷갈리기 쉬운 '가, 이, 간, 같이'의 띄어쓰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먼저 띄어쓰기를 잘하고 싶다면 단어와 조사, 이 두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한국어의 띄어 쓰는 원칙은 단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각 단어는 띄어 씀을 원칙으로 한다. 두 번째,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쓴다. 다시 말하면 '단어'는 띄어 쓰고, '조사'는 앞말에 붙여 쓰는 것입니다. 이 두 가지를 기억하면서 한국어의 띄어쓰기를 익혀야 합니다. 3. 가, 이 띄어쓰기 우리말 문장에는 '행동'과 '그 행동을 하는 주체'가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우리는 이 행동의 주체를 '주어'라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어떤 단어를 '주어'로 만드는 조사의 이름을 '주격 조사'라.. 2023. 7. 3.
'껍데기'와 '껍질' 헷갈리는 한글 맞춤법 오늘은 국어를 공부하면서 헷갈릴 수 있는 두 단어 '껍데기'와 '껍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두 단어는 비슷한 의미를 가지지만 사용되는 맥락이나 상황이 약간씩 다릅니다. 그렇다면 이 글을 통해 이 두 단어를 확실하게 구분하고 정확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익혀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껍데기'와 '껍질'의 기본적인 의미와 차이점 껍데기: 껍데기는 주로 동물, 곤충 또는 식물의 외래층을 가리키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게나 꽃게의 외부 완장 같은 곳에 사용되기도 하고, 콩이나 견과류의 외층을 가리키는 데 사용되곤 합니다. 껍질: 껍질은 껍데기와 비슷한 의미를 가지면서 주로 과일이나 채소 등 식물의 외부 층을 설명할 때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사과나 오렌지의 껍질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으.. 2023. 6. 29.
728x90